[[분류:PlayStation 2 게임]][[분류:대전 격투 게임]][[분류:2006년 게임]][[분류:호혈사일족]] [[파일:external/thumbnail.image.rakuten.co.jp/317004599.jpg|width=350]] [youtube(4wMJiXjrmcU)] 오프닝 애니메이션 新 [[호혈사일족|豪血寺一族]] 煩惱解放 [목차] == 개요 == [[노이즈 팩토리]]에서 개발하고 [[익사이트재팬]]에서 2006년 5월 25일 발매한 [[호혈사일족#s-4.5|신 호혈사일족 투혼]]의 [[플레이스테이션 2]] 이식판. 기본적으로 투혼의 이식작이지만, 스토리 전개는 사실상 속편에 해당된다. 이유는 후술. == 상세 == 우선 저작권 문제로 투혼에서 히든 캐릭터로 등장했던 [[레이지 오브 더 드래곤]]의 캐릭터들이 삭제되었고[* 레이지 오브 더 드래곤 자체가 저작권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는 게임이었기 때문이다. 게임 컨셉이 [[더블 드래곤 시리즈]]의 속편을 표방하고 있는데, 정식 라이센스를 받아 제작한 것이 아니라 원 저작권 소유사인 [[테크노스 재팬]]이 도산하고 시리즈의 판권이 허공에 뜬 틈을 타서 급조된 게임이었다. 이후 밀리언즈에서 더블 드래곤 시리즈의 판권을 정식으로 사들였기에, 이미 레이지 오브 더 드래곤 캐릭터들이 참전한 전작인 투혼이야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후속작 격인 번뇌해방에서는 더 이상 캐릭터 활용이 불가능하게 된 것. 때문에 스토리도 '약간만 최강전설'처럼 일부 변형을 거쳐야 했다.], [[안젤라 벨티]]와 코쿠인 킨타로가 부활했으며 투혼에서 삭제되었던 할머니들과 [[하나코우지 쿠라라]]의 변신 모드가 다시 추가되었다. 포치는 킨타로의 부활에 따라 킨타로의 변신 형태가 되고, [[코쿠인 칸지]]는 근육질 탈모가 된 구작의 모습[* 선조공양에서는 변신 형태가 되어 사실상 키 큰 할머니 포지션이 되었다.]으로 바뀌었다. 킨타로는 다운 모션에서 [[검열삭제]]가 가려졌고, 올로프의 대기 모션은 팔의 붕대와 피를 보여주는 도트가 삭제되었다. 투혼의 대회가 끝나고, 시시는 고케츠지 일족들을 모아 최후의 1인에게는 왕국의 왕위 계승권을 대신할 소원을 하나 들어준다는 것을 전제로 다시 한 번 일을 벌인다.[* 레이지 오브 더 드래곤 캐릭터들을 삭제하는 대신 시상을 거부하고 재대결을 하는 전용 엔딩을 공식 스토리에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스 캐릭터를 새로 갈아치웠기에 정작 시시 본인은 비중이 많지 않다. [[최홍만]]에게 초살당한 것으로 유명한 이종격투기 선수 [[바비 올로건]][* 사실 전문적인 이종 격투기 선수는 아니었고, 일본의 한 버라이어티 방송에서 우연치 않게 이종 격투기 도전을 하게 되면서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일반인'이라는 별명으로 전성기 시절의 K-1에 출전하여 승리를 거둔 것으로 유명하다.]이 최종 보스. 사실 그는 [[나이지리아]] 출신 '''개그맨'''으로 이 쪽이 본업이다.[* 올로건은 현재 정식으로 일본에 귀화한 상태이다.] 누가 개그 게임 아니랄까봐 격투기 선수치고 하는 짓을 보면 [[진상]]이 따로 없지만, 나름 라이센스 캐릭터라고 신경은 많이 썼는지 스테이지 배경에는 전광판에 대놓고 [[아프리카]] 지도와 나이지리아 국기가 나온다. == 시스템 == 공격이 막히거나 얻어맞을 때만 채워지던 스트레스 게이지 시스템이 공격에도 적용되어, 전작보다 공격적인 플레이가 가능해졌다. 대신 그만큼 분노 폭발도 자주 일어난다. 공격 이펙트 및 오라가 기존의 [[네오지오]] 특유의 스프라이트에서 하나의 레이어로 통일이 되었다.[* 이 부분은 선조공양 편이 [[NESiCAxLive]]로 재발매되면서 일부가 조금이나마 돌아왔다.] 이 부분은 호불호가 갈리는 [[다운그레이드]]적 요소. 그 외에도 일부 등장인물[* [[진념(호혈사일족)|진념]]만 확인.]의 기술표도 상당수가 바뀐 것으로 보인다. 투혼에서 배틀마다 E~SSS의 등급을 매겨 최대 10만점까지 추가 지급되던 보너스 시스템[* 정작 선조공양에서 이 시스템은 부활하지 않았다.]이 사라지고 번뇌 포인트를 도입했다. 싱글 플레이, 미션 모드 등을 성공하면 일정량 지급된다. 온라인 대전은 확인 불가. == 카드 콜렉션 == 번뇌 포인트를 지불하여 캐릭터별 엔딩, 유니크 캐릭터 해금 파츠[* 시시와 바비. 해금해도 스토리 모드는 못 고르고, 미션 모드와 트레이닝만 가능하다.], PV영상, 유령 마스코트, 컬러 파츠[* 연습 모드에서 캐릭터 옷이나 피부색을 교체한다. 황금색, 무지개 색, '''좀비 색'''도 있다.], '''[[쿠로코(호혈사일족)|쿠로코]]'''[* 연습 모드에서 공격을 막거나 발사할 수 있다. 투혼의 오마주.] 등을 구입할 수 있다. 물론 처음부터 살 수는 없고, 캐릭터별로 엔딩을 보거나 미션 달성 등의 조건이 필요하다. == OST == 담당은 [[다나카 토시카즈|Studio AQUA]].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C0D7B63193196363|투혼]]의 보컬 가사를 2,3절까지 작사[* 구작에서도 [[https://www.youtube.com/watch?v=nSkrkeYKZF4|풀 어레인지 버전]] 등이 발굴되는 걸 보면 아예 시리즈 전통인 듯 싶다.]하여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3FF2B3F9C493BB28|리메이크]]하고 PV 영상을 3D로 제작하는 등 이상한 쪽으로 [[팬 서비스]]가 좋은 게임이 되었다. 리메이크한 곡도 여느 음원 사이트에서 볼 법한 정규 음반 못지 않은 퀄리티다. 디폴트로 투혼의 OST가 먼저 나오지만, 2000포인트 내외로 PV를 구매하면 격투 스테이지도 [[https://www.youtube.com/watch?v=9MdgxC4FPUo|투혼 버전]]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rbOQ_2BYRms|PV 버전]]으로 재생된다. == 미션 모드 == 본작만의 특별한 미니게임. A와 B가 있으며, 특정 카드는 이곳의 미션을 클리어해야만 언락할 수 있는 조건이 있다. === 미션 A === 특정 상대와 맞붙어서 이기는 것이 주요 모드. 사실상 이 목록이 번뇌해방의 등장인물이라 봐도 무방하다. 각 성공시 번뇌 포인트 200이 주어진다.[* 성공하고 나중에 재도전을 해도 [[파밍|지급이 된다.]]] > 豪血寺お梅を倒せ! - [[고케츠지 오우메]]를 쓰러트려라 > 弧空院干滋を倒せ! - [[코쿠인 칸지]]를 쓰러트려라 > 花小路クララを倒せ! - [[하나노코우지 클라라]]를 쓰러트려라 > 大山!礼児を倒せ! - [[오오야마 레이지]]를 쓰러트려라 > キース·ウェインを倒せ! - [[키스 웨인]]을 쓰러트려라 > アニー·ハミルトンを倒せ! - [[애니 해밀턴]]을 쓰러트려라 > 陳念を倒せ! - [[진념(호혈사일족)|진념]]을 쓰러트려라 > アンジェラ·ベルテを倒せ! - [[안젤라 벨티]]를 쓰러트려라 > 豪血寺お種を倒せ! - [[고케츠지 오타네]]를 쓰러트려라 > 破鳥才蔵を倒せ! - [[핫토리 사이조]]를 쓰러트려라 > ホワイト·バッフアローを倒せ! - [[화이트 버팔로]]를 쓰러트려라 > 弧空院金田朗を倒せ! - 코쿠인 킨타로를 쓰러트려라 > 九戸文太郎を倒せ! - 쿠노 분타로를 쓰러트려라 > 九戸真太郎を倒せ! - 쿠노 신타로를 쓰러트려라 > オロフ·リンデロードを倒せ! - 올로프 린데로드를 쓰러트려라 > 城門光を倒せ! - [[죠몬 히카루]]를 쓰러트려라 > プリンセス·シシーを倒せ! - [[프린세스 시시]]를 쓰러트려라 > ボビー·オロゴンを倒せ! - 바비 올로건을 쓰러트려라 === 미션 B === 특정 조건 및 커맨드를 성공시키는 것이 주요 모드. 후반으로 갈수록 내용이 병맛이다. 각 성공시 번뇌 포인트 300이 주어진다. > 対戦中にカウンターをとれ! - 카운터 히트를 성공시켜라 노리고 하면 하기 힘든 미션. 평소대로 하면서 트라이를 몇번 거쳐야 한다. > 必殺技でK.O.をとれ! - 필살기 후 K.O. 시켜라 필살기를 쓰되 피니시하면 안 된다. 무적 반격(방어 후 C+D)도 인정되지 않는다. > ストレスシユートでK.O.をとれ! - 스트레스 슛으로 K.O. 시켜라 피를 깎다가 스트레스 슛으로 피니시해야 한다. > 一発奧義でK.O.をとれ! - 일발오의로 K.O. 시켜라 일발오의 피니시. 게이지를 2단계까지 모으는 것부터가 어려운 난이도 있는 미션. 이 미션을 성공하면 [[Let's go! 음양사]] PV를 구입할 수 있다. > タイムアツプ勝ちせよ! - 타임아웃으로 승리하라 넉다운되지 않게끔 적당히 때리고 피하면서 버텨야 한다. 제한시간은 60초. > ドローグームを狙え! - 드로우 게임을 노려라 같은 체력으로 타임 아웃이 되거나 더블 K.O.로 비겨야 한다. 인내심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 > 通常技のみで勝利せよ! - 통상기술만으로 승리하라 특수 기술 없이 [[짤짤이]]만 써서 이겨야 한다. 짤짤이에 약한 캐릭터는 짬이 많이 필요하다. == 온라인 대전 == 네트워크 PVP 대전. == 기타 == 각 캐릭터별 엔딩은 [[https://www.youtube.com/watch?v=6UNxU6Ce1WU|이곳]]을 참조. 바카게의 한계에 막힘과 동시에 구작의 병맛은 어느정도 퇴색했기 때문에 투혼부터가 평가가 박해져서 흥행은 사실상 말아먹은 실정이었지만, 이런 애매한 게임이었음에도 PV 중 하나인 '''[[Let's go! 음양사]]가 [[니코니코 동화]]에서 히트를 치고''' [[베타 시대의 영웅]]이 되면서 역주행을 탔다. 게임보다 테마곡이 더 유명한, 게임만큼 해괴한 케이스로, 이쯤되면 바카게보다 한술 더 뜬 [[저세상]] 게임. 덧붙여 최신작인 선조공양이 제작될 수 있었던 계기가 순전히 이 테마곡 덕이었다고 한 개발진이 게임 잡지에서 밝히기까지 했으며, 작곡가는 음양사 분장을 하고 [[Animelo Summer Live]] [[Animelo Summer Live#s-2.3|2007]]에서 스페셜 게스트로 출연하여[[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811F89250C3B96C3D1B11AEC7FC67DCED3E8&outKey=V128c0f2c4a0d21e90db392b3e8799dce9e7a1df0d3e69aea364792b3e8799dce9e7a&width=500&height=408|라이브로 공연까지 했다.]] 투혼부터 담당 일러스트가 바뀌었지만, [[무라타 렌지]]의 이름은 선조공양까지 스탭롤에 계속 올라가 있다. 사실 새로 그린 일러스트도 구작과 큰 차이 없이 비슷하긴 하다.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powerinstinct/images/6/6e/Thinnenface.PNG/revision/latest?cb=20090418073907|무라타 렌지 버전]]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powerinstinct/images/2/26/S1-chinnen.jpeg/revision/latest?cb=20090505032636|나카노 토모카즈 버전]] 같은 예로 투혼 스탭롤에는 [[레이지 오브 더 드래곤|오마 분시치로]]도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