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575년 출생]][[분류:1643년 사망]][[분류:평산 신씨]][[분류:조선의 공신]][[분류:조선의 무관]][[분류:영의정]][[분류:좌의정]][[분류:우의정]][[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인조-경종))] || '''{{{#f0ad73 신경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인조-경종))] ---- [include(틀:조선 정사공신(인조))] ---- [include(틀:종묘 배향공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영의정}}}]][br]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충익공(忠翼公)[br]{{{+1 신경진}}}[br]申景禛'''}}} || || '''출생''' ||[[1575년]] [[12월 12일]][* [[율리우스력]] [[12월 2일]].][br](음력 [[선조(조선)|선조]] 8년 11월 1일)|| || '''사망''' ||[[1643년]] [[4월 28일]] (향년 67세)[br](음력 [[인조]] 21년 3월 11일)|| || '''[[봉호|{{{#fff 봉호}}}]]'''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 '''[[시호|{{{#fff 시호}}}]]''' ||충익(忠翼)|| || '''[[본관|{{{#fff 본관}}}]]''' ||[[평산 신씨]]|| || '''[[자(이름)|{{{#fff 자}}}]]''' ||군수(君受)|| || '''부모''' ||부친 - [[신립]][br]모친 - [[전주 최씨]] 최필신(崔弼臣)의 딸|| || '''형제자매''' ||남동생 - 신경유(申景礻+谷)[br]남동생 - 신경인(申景禋)[br]여동생 - 군부인(郡夫人) 신씨({{{-3 1578 ~ 1622}}})[* [[선조(조선)|선조]]의 4남 [[신성군]]의 정부인.](郡夫人여동생 - [[광주 이씨]] 이대엽(李大燁)[* [[이이첨]]의 차남.]의 처|| || '''부인''' ||[[순창 조씨]] 조효경(趙孝敬, {{{-3 1573 ~ ?}}})[* 조정현(趙廷顯)의 딸로, [[성종(조선)|성종]]의 3녀인 [[휘숙옹주]]의 외고손녀다.]|| || '''자녀''' ||'''슬하 2남 4녀'''[br]장남 - 신준(申埈, {{{-3 1592 ~ ?}}})[br]장녀 - 신씨({{{-3 1595 ~ ?}}}) - 고흥 류씨 류우엽(柳于燁)의 처[br]차남 - 신해(申垓, {{{-3 1598 ~ ?}}})[br]차녀 - 신을생(申乙生, {{{-3 1605 ~ ?}}})[* [[밀양 박씨]] 박천구(朴天球)의 처.][br]3녀(서녀) - 이봉령(李鳳齡)의 처[br]4녀(서녀) - 이일(李佾)의 처||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무관#武官]]. [[임진왜란]] 당시 [[탄금대 전투]]에서 사망한 [[신립]]의 아들이다. == 생애 == [[광해군]]이 즉위하여 [[대북]]이 정권을 장악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다. 그러던 중 [[1623년]](광해군 15) 음력 3월에 [[김류]], [[이귀]], [[이괄]], [[최명길(조선)|최명길]] 등과 함께 [[인조반정]]을 계획했다. 정작 본인은 반정에 직접 참여하지 못했으나 그래도 반정을 가장 먼저 계획했다라는 이유로 인조반정 공신인 [[공신#정사공신(靖社功臣)|정사공신]]에 올랐다. 흔히 이야기하는 인조 반정의 4대장 중 한 명이다. [[이괄의 난]] 당시에 [[흥안군|흥안군 이제]]를 처형했고, [[정묘호란]] 시기에는 [[인조]]를 옆에서 모시고 따라가 그 공으로 부원군이 되었다. [[병자호란]]때는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할 기회를 마련해주었다. [[1643년]](인조 21) [[영의정]]이 되고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다. [[김류]]와는 대를 이어서 친분이 깊었는데 아버지들과는 서열이 바뀌었다. ~~삼국지의 [[관흥]]과 [[장포]]?~~ 신경진의 아버지 [[신립]]이 도순변사이고 [[김류]]의 아버지 [[김여물]]이 신립의 부장이었다. 신경진은 나이가 김류보다 4살 어리고, 명목상 반정시 대장은 김류이기도 했다. 게다가 조선은 문치의 나라로 문신인 김류가 위일 수 밖에 없었다. 영의정도 김류가 신경진보다 먼저 올랐고, 심지어 최명길도 신경진보다 먼저 영의정을 역임했다. == 묘역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94호 ||<|2> ← || '''95호''' ||<|2> → || 96호 || || [[이정영(1616)#s-5|효간공 이정영 묘역]] || '''충익공 신경진 묘역''' || [[유창(조선)#s-4|문희공 유창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5호}}}]]''' || ||<-2> {{{#fff {{{+1 '''충익공 신경진 묘역'''}}}[br]{{{-1 忠翼公 申景禛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 69-1,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 69-1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분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1基, 석물 8基, 토지 402.2㎡ || || '''{{{#fff 지정연도}}}''' || [[1995년]] [[1월 2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경진_묘역_전경.jpg|width=100%]]}}} || || {{{#f0ad73 ''' 신경진 묘역[*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77&ccbaKdcd=21&ccbaAsno=0095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현재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에 신경진의 묘가 있다. 봉분은 하나이며 봉분 하단에는 호석이 둘러져있다. 묘 앞에는 묘비, 상석이 각기 1기 씩 있고, 망주석 1쌍과 문인석 2쌍이 있다. 문인석 2쌍 중 1쌍은 상석 양 옆에 있는데, 굉장히 크기가 아담해서 귀여운 느낌마저 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경진신도비.jpg|width=100%]]}}} || || {{{#f0ad73 ''' 신경진 묘역 근처에 있는 신경진의 신도비와 비각[*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79&ccbaKdcd=21&ccbaAsno=0095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신경진의 묘 서북쪽에 그의 일생과 업적을 적은 신도비가 있다. 너비는 99cm, 두께는 32cm이며, 총 높이는 368cm로 그 중 비신의 높이는 189cm이다. [[거북이]] 형상을 한 받침돌 위에 비신을 올리고 그 위에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머릿돌은 팔작지붕 형태로, 그 위에 이무기 두 마리를 조각해두었다. [[송시열]]이 비문을 짓고, 박태유[* [[박세당]]의 장자. [[박태보]]의 형]가 글씨를 썼다. 한동안 이 신도비가 누구 것인지 알려지지 않은 적이 있었는데, 그때 사람들이 받침돌의 모양을 따서 '거북비'로 불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