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천시의 읍면동)] ||<-2> '''[[파일:영천시 CI.svg|height=15]] [[영천시|{{{#000000,#dddddd 영천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신녕면}}}'''[br]新寧面 | Sinnyeo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영천시 신녕면&zoom=10,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영천시]] || || '''행정표준코드''' || 5100079 || || '''관할 법정리''' || 11리 || || '''하위 행정구역''' || 25행정리 102반 || || '''면적''' || 81.09㎢ || || '''인구''' || 3,675명[* 2023년 10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45.32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영천시·청도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만희(정치인)|이만희]] ,,(재선),, || ||<-2> '''경상북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춘우(1970)|이춘우]] ,,(재선),, || ||<-2> '''영천시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상호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종욱 ,,(초선),,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이영우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화성중앙길 30 (화성리 419) || || [[https://www.yc.go.kr/portal/contents.do?mId=0408030000|신녕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영천시]]의 [[면(행정구역)|면]]. 동쪽은 화산면, 서쪽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산성면]], 남쪽은 [[청통면]]과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북쪽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과 접해 있다. [[대구광역시]] [[군위군]] 방면으로 갑티재라는 꼬부랑길 [[고개]]가 있어서 교통이 불편했던 지역이지만, 2011년 12월 [[28번 국도]] [[영천시]]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구간의 확장이 완료되어 교통이 편리해졌으며 이전 부터 운전실력이 떨어지더라도 화서리나 삼산리(백학) 쪽으로 우회하면 되었기 때문에 군위군 방면 교통이 아주 불편했던건 아니다. 다만 현재도 꼬부랑길 갑티 옛 고갯길이 있으며, 갑티고개는 원인불명으로 흉가가 많은 곳이다. 하지만 확장되어도 군위읍내까지는 아주 멀다. 군위군 방면의 길은 세 갈래로 나뉜다. 우선 신녕면소재지에서 부산리와 치산계곡을 거쳐[* 부계면, 효령면, 사유원, 창평저수지 등으로 갈거면 이곳을 통해 가야한다.] [[부계면]]으로 가는 [[919번 지방도]]와 화서리에서 [[산성면]] 봉림리로 가는 [[908번 지방도]][* [[화본역]] 등지로 갈거면 이곳을 통해 가야한다.], 화서리에서 직진하여 갑티를 직선화해 [[삼국유사면]]으로 가는 [[28번 국도]]로 나뉜다. 단, 버스는 [[28번 국도]]로만 다닌다.[* 예전에는 294번이 화서리에서 봉림리와 삼산리를 거쳐 부계면사무소까지 들어갔지만 지금은 시경계인 화서리에서 회차하여 600m 정도 걸어야 군위 버스를 탈 수 있다.] 908번의 경우 화서리로 넘어와 이후 방향을 다시 북쪽으로 바꾸어 바로 다시 군위로 나간다. [[상주영천고속도로]] [[신녕IC]]가 있으며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팔공산]][* 당장 나무위키에 등록된 거의 대부분의 대구 지역 방송국 송신소 주소가 신녕면으로 표기되어 있다.]을 두고 접하지만, 등산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만 다닐 수 있다. [[문화재]] 및 관광지는 [[팔공산국립공원]] 소재 치산폭포, [[수도사(영천)|영천 수도사]], 신녕향교, [[권응수]] 장군 유물관 등이 있다. 또한 팔공산 비로봉 정상이 신녕면에 있다.[* 정확히는 [[군위군]] [[부계면]]과 걸쳐있다.] [[2018년 폭염]]으로 인해 40℃를 넘나드는 기온을 자랑하고 있다. 경북 최고 혹서지라고 봐도 될 정도로 2018년 7~8월 동안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관내 유명관광지로 치산관광지가 있다. 치산계곡으로 알려진 이곳은 사시사철 물이 시원하며 수도사가 있고 진불암까지는 편하게 등산할 수 있다. 여담으로, 진불암 가는길 중간에는 작은 출렁다리가 있다. 신'''녕'''면을 신'''령'''면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어서 혼란을 겪고 있으며, [[http://news.imaeil.com/SocietyAll/1999122215050169828|실제로 이정표에 신'''령'''면으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기차역 등지에서는 [[신녕역]]이라고 나오며, 공식적으로도 신'''녕'''으로 적는 것이 맞다. 신녕면을 기점으로 [[대구광역시]] [[군위군]]을 거쳐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까지 이어지는 길이 '''70km 이상'''의 대규모 단층인 신령단층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 연혁 ==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영천군에 병합되었으며, 1995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영천군이 영천시에 통합됨에 따라 영천시에 속하게 되었다. == 주요 시설 == * 신녕면행정복지센터 * [[신녕버스터미널]] * 치산관광지 * 신녕우체국 * [[영천경찰서]] 신녕파출소 * 서부영천새마을금고 본점 * 신녕공업단지 * [[팔공산도립공원]] * 팔공산 비로봉 * [[수도사(영천)|영천 수도사]] * 신녕[[향교]] * 치산[[계곡]] * 권응수 장군 유물[* 보물 제 668호.] * 영천 화남리 삼층석탑[* 보물 제 675호.] * 영천 화남리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 676호.] == 교육 == === 초등학교 === * [[신녕초등학교]] === 중학교 === * [[신녕중학교]] === 고등학교 === * [[경북바이오마이스터고등학교]] === 대학교 === * [[성운대학교]] == 교통 == === 도로 === * [[상주영천고속도로]] [[신녕IC]][* 톨게이트 및 진출입부지는 화산면에 있다.] * [[28번 국도]] * [[908번 지방도]] * [[919번 지방도]] === 버스 === *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 * [[경산 버스 하양-와촌1#s-1.2|경산 버스 와촌1]] * [[경산 버스 818 #s-1.2|경산 버스 818]][* 일부 시간대에만 운행.] * [[군위 버스 군위-신녕|군위교통 신녕행 노선]] === 철도 === * [[신녕역]][* 무궁화호가 현재 1일 상하행 3회 정차한다.][* 2024년에 안동~영천간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효정신호장으로 업무를 옮기고 폐역 예정이다. 단, 효정신호장의 유래가 된 효정리는 여기가 아닌 [[화산면]]에 위치해 있어 신녕역보다는 화산역의 업무를 더 많이 옮겨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설 후 중앙선은 신녕면을 연정리만 통과하며 그거 마저도 산지만 지날 예정이다. 중앙선 선로가 지날곳 바로 밑으로 화산산성이 있다.](무궁화호) 참고로 현재 [[중앙선]] 선로는 [[908번 지방도]]와 유사하게 가지만 이설 후에는 [[28번 국도]]와 유사하게 갈 예정이다. 이 외에도 [[갑현역]]이 있으나 애초에 신호장 목적으로 세워졌기 때문에 여객 목적은 상실했다. == 특산물 == [[파일:영천 양파.jpg|align=center]] 이 지역에서 재배되는 양파가 유명하다. 과거에 비해서 재배 면적이 줄었고 현재는 양파보다 마늘 농사를 더 많이 짓기는 하지만 1980년대부터 영천을 대표하는 주요 특산물 가운데 하나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천시/행정, version=179, paragraph=3.2)] [[분류:영천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