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평택선의 역, rd1=신대신호소)] ||<-5> [[은률선]] ||<|2>'''관리 주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br]'''소속''' : 평양철도총국 || || [[은파역|은 파]] 방면[br][[과일역|과 일]] || {{{+1 ←}}} || 신 대 || {{{+1 →}}} || [[철광역|철 광]] 방면[br][[운성역|운 성]] || {{{+1 新大驛 / Sindae Station}}} || {{{+2 '''신대역'''}}} || || [include(틀:지도, 장소=38.506830 125.077771, 너비=100%, 높이=225px)] || [목차] == 개요 == [[은률선]]의 철도역. [[황해남도]] [[과일군]] 신대리 소재. == 상세 == 신촌리의 '신'과 대야리의 '대'에서 따온 리. 두 리 모두 광복 이전에는 과일군 천동면 소재였다. 신촌리는 현 신대리 중심부의 동쪽 부분에 위치하고 있었고, 대야리는 현 신대리 중심부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시골 역이지만, 북쪽 멀리 포진해 있는 여러 시골역에 비하면 역세권의 규모가 꽤 크다. 역시 따뜻한 황해도라서 그런 듯하다. 하기사, 멀리 [[장진역]] 같은 곳은 한파만 잘못 닥쳤다 하면 영하 40도를 오르락내리락하는 마당에... 북한의 전형적인 지선 철도상의 역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좁고 긴 승강장, 평균 1면 4선 정도의 크기에 딱 들어맞는 크기의 역. 다만 지선 철도라 약 250m 정도의, 간선 철도망보다는 약간 짧은 정도의 승강장이 있다. [각주] [[분류:은률선]][[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