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청주(술))] [include(틀:한국의 전통주)] || [[파일:신도주1.jpg|width=100%]] || || 복원된 신도주의 모습 || {{{+1 '''新稻酒'''}}} [목차] == 개요 == 한국의 [[전통주]]로 [[청주(술)|청주]]계열의 술이다. 신곡주(新穀酒), 백주(白酒)[* 청주를 걸러내고 남은 신도주의 [[술지게미]]를 [[탁주]]의 형태로 마실 때.]라고도 부른다. [[추석]] 무렵에 그 해의 첫 수확물인 '''햅쌀로 만든 술'''이라서 '새로울 신'에 '벼 도' 자를 써 신도주라 이름지어졌다. 신도주의 [[순우리말]]의 형태인 '''햅쌀술'''이라고도 불렸다. [[조선시대]] 후기에 활발히 제조되었는데, 보통 대용량으로 만들어져 [[마을]] 공동의 추석 차례주 및 잔치용으로 사용되었다. 즉, 특별히 정해진 제조법이 있는게 아니라 각각의 마을마다 자신들만의 특색있는 신도주를 빚었다고 볼 수 있다. == 상세 == 농경사회에선 첫 수확물을 거두고 감사의 의미를 담아서 하늘과 조상에 [[차례]]를 지내는 풍습인 천신(薦新)이 있는데, 벼를 처음 수확할 때인 [[추석]]에 천신의 차례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드는 술이 바로 신도주다. 또한 마을 주민들도 마시는 것은 물론 마을 [[잔치]]에 찾아오는 많은 [[손님]]들을 대접하기 위한 용도도 있어 한번에 많은 양이 만들어지는 술이기도 했다. 그런데 제사용 신도주와 잔치용 신도주는 큰 차이가 있었다. 한번 빚을 때 소량으로만 나오는 [[청주(술)|청주]]는 차례상에 올리는 용도로 사용하고, 청주를 뜨고 남은 [[술지게미]]에는 물을 섞어 대량의 [[막걸리]]로 만들어서 수요를 충족시켰다. 이 술을 '백주(白酒)'라고도 부르는 것은 주민들이 신도주를 이렇게 막걸리로 많이 소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신도주(청주)는 '차례주'로서의 의미가 더 크고, 주민들이 마시는 신도주(탁주)는 [[청주(술)|청주]]를 뜨고 남은 [[술지게미]]를 밑술로 사용해 만든 [[막걸리]]로 보기 때문에 일단 '''청주 부분만을 신도주로 본다.''' == 빚는 방법 == > 햅쌀을 가루 내어 흰 무리떡을 찌고 끓인 물을 독에 붓고 흰무리 찐 것을 독에 넣어 더울 때 고루 풀고, 다음 날 햇누룩가루와 밀가루를 섞어 버무려 넣었다가, 3일 후에 햅쌀을 쪄서 식힌 후에 끓인 물과 함께 밑술과 합하여 10일 후에 맑게 익으면 마신다. >---- >《[[양주방]]》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도 이 술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빚는 방법이 나와있지는 않다. [[공주시|공주]] 지역에서 햅쌀이 나오면 담그는데 4~5일만에 술이 완성된다는 내용만 나와있다. 그때는 지역마다 신도주를 빚는 문화가 있었으므로 굳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여담 == * 다른 [[전통주]]들에 비해 만들기가 무척 간단한 편이라 집에서 제조를 도전해 볼만한 술이기도 하다. 유튜브에도 관련 영상이 몇개 올라와 있다. [[https://youtu.be/gq6rkJvHv3g|#]] * 일제강점기와 군사독재 시절을 거치며 신도주 문화는 사라졌으나 제조법은 기록으로 남아있으므로 술 자체는 여기저기서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5827670|복원되었다.]] == 관련문서 == * [[한국의 전통주]] * [[청주(술)|청주]] * [[막걸리]] * [[추석]] [[분류:청주(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