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구(대구)의 고등학교]][[분류:일반계 고등학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1902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개신교계 고등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 '''{{{#fff 신명고등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구광역시 중구의 고등학교)] ---- }}} || ||<-2> '''{{{#white {{{+1 신명고등학교}}}[br]信明高等學校[br]SINMYEONG HIGH SCHOOL}}}''' || ||<-2> [[파일: 신명고등학교.jpg|width=50%]] || ||<-2> [include(틀:지도, 장소= 신명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교훈'''}}} ||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라''' || || {{{#white '''개교'''}}} || [[1902년]] [[10월 23일]] '''신명여자소학교''' || || {{{#white '''설립자'''}}} || '''마르다 스캇 브루엔''' || || {{{#white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 --여자고등학교--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사립]] || || {{{#white '''종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 {{{#white '''법인'''}}} || 학교법인 신명학원 || || {{{#white '''교목'''}}} || [[은행나무]] || || {{{#white '''교화'''}}} || [[목련화|목련]] || || {{{#white '''교장'''}}} || 황진길 || || {{{#white '''교감'''}}} || 권준한 || || {{{#white '''대표 연락처'''}}} || 053-235-8440 || || {{{#white '''학생 수'''}}} || 547명[br](2023.03.01) || || {{{#white '''교직원 수'''}}} || 61명[br](2023.03.01) || || {{{#white '''관할 교육청'''}}} || [[대구광역시교육청]] || || {{{#white '''주소'''}}} ||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 국채보상로102길 48 ([[동산동]]) || || {{{#white '''홈페이지'''}}} || [[http://www.s-m.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소재의 [[개신교]]계열 [[사립고등학교]]. [[1907년]] [[10월 23일]] 선교사 마르다 스캇 브루엔 여사가 신명여자중학교를 설립하여 처음 문을 열었다. [[1907년]]부터 [[2003년]]까지 여학교로 운영되다가 [[2004년]] 남녀공학으로 변경된 후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서울]]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3.1 운동]] 정확히 7일 후 [[3월 8일]] 신명학교 교사 이재인과 50여명의 전교생을 필두로 만세운동을 전개했다. 신명학교 학생들을 비롯한 통학생들은 동산교 근처에서, 20여명의 기숙사생들은 [[약전골목]]에서 합류하며 만세운동에 동참했다. 이를 기념하여 학교에서는 [[기념비]]를 세우고 매년 [[3.1절]]기념행사를 연다. [[2017년]] 음악중점과정 1회 졸업생을 배출한 이래로 음악중점과정을 진행중이며, 음악전공 학생들은 각 학년 9반[* 2020년 졸업생 기준까지는 10반이었다.]에 배정된다. 매년 수 차례의 연주회와 발표회를 개최한다. [[2022년]] 졸업생 기준 4년 연속으로 [[서울대학교]]에 입학하는 등 좋은 실적을 내고있다. [[성명여자중학교]]와 같은 재단[* 신명여자중학교는 학교법인 남산학원이며, 남산고등학교와 같은 재단이다.]이며 일부 건물과 운동장을 공유한다. == 연혁 == * 1902-05-10: 선교사 Martha Scott Bruen(부마태 傅馬太)여사가 의료선교사 Woodbridge O. Johnson M.D(장인차) 부인 Edith M. Parker의 바느질반(Sewing Class)과 놀스양(Miss Nourse)이 가르치던 매주 월요일 오후반의 15세미만 소녀 14명을 인수하여 대구 선교지부(Daegu mission center)에 신명여자소학교(Girls' Primary School)를 설립 개교 * 1907-03-31: 신명여자소학교 제1회 졸업생의 배출을 계기로 상급학교인 신명여자중학교 태동의 바탕이 됨 * 1907-06-01: 신명여자소학교가 선교사 Martha Scott Bruen 여사의 주도 경영에서 미국 예수교 북장로파 선교회 경영으로 이관 * 1907-10-23: 대한제국 중학교령(1899년 4. 4 제정)에 의거 선교사 Martha Scott Bruen 여사가 남산정 동산(南山町 銅山: 현 동산길 17)소재에 신명여자중학교를 설립 개교 * 1911-04-22: 한일병합(1910. 8. 29)에 의한 사립학교 재등록 강요에 의거 사립 “신명여자학교” 로 교명 변경되었으나 “신명여자중학교”를 그대로 사용 * 1912-05-31: 제1회 졸업생 3명(이금례, 박연희, 임성례)배출 * 1913-04-20: 본관 2층 벽돌조 신축 낙성 * 1916-10-23: 기숙사 2동(2층 양옥 ; 기혼자용, 단층한옥 ; 미혼자용)과 목욕실 신축 * 1919-03-08: 이재인 선생 지도로 전교생이 대구 3ᆞ8 만세 운동에 참가 * 1927-04-01: 대구신명여학교로 교명 변경 * 1934-04-01: 미국 북장로교 선교회와 경북노회 공동 경영 * 1939-04-01: 일제 탄압으로 선교회가 철수하고 조선 예수교 장로회 경북노회가 인수경영 * 1944-04-01: 일정 당국의 강요에 의해 교명을 대구남산여학교로 변경 * 1944-04-30: 대구남산고등여학교로 인가 * 1944-05-18: 재단법인 대구남산여학교 유지재단 설립(제5대 이사장 김충학 취임) * 1945-08-15: 광복과 동시에 교명을 신명여자중학교로 환원 * 1945-10-20: 〈신명의 노래〉 제정(황윤섭 작사, 황희문 작곡) * 1950-07-13: 6.25 전쟁으로 학교 건물이 미5공군에 징발(임시교사로 제일교회, 서문교회 등에서 수업) * 1951-08-31: 학제 변경(문교부 승인: 문보 502호)에 따라 신명여자고등학교와 신명여자중학교로 분리 개편 * 1952-08-30: 재단법인 경북노회 신명여학교 교육재단 설립인가 * 1952-09-15: 경상북도 지사로부터 신명여자고등학교 경영권을 인수하여 신후식 목사를 교장으로 추대 * 1953-01-31: 신명여자중학교가 환원되지 않아 성명여자중학교로 설립인가 * 1953-04-15: 서문교회에서 신입생 120명 2?3학년 보결생 각 120명 등 전교생 360명으로 성명여자중학교 개교식 거행 * 1954-04-18: 6ㆍ25 전쟁의 휴전으로 동산 본교사로 환교(還校) * 1957-10-23: 개교 50주년 기념사업으로 대강당 신축 준공(1,795.38㎡) * 1974-09-27: 학교법인 신명여학교 교육재단으로 변경인가 * 1976-09-07: 체육관 준공 * 1988-10-02: 80주년 기념관 개관 * 1997-11-01: 학교법인 신명학원으로 법인명칭 변경 * 2001-10-10: M. S. Bruen동산 조성 * 2003-03-25: 폴라드관 (강당) 준공(연면적 1.144.3㎡, 1200석) * 2004-03-01: 남녀공학 시행ㆍ신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2004-11-27: 부르엔관(다목적 체육관) 준공(연면적 1,461.67㎡) * 2007-02-23: 제1차 개교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중ㆍ고 보통교실 PDP TV 50대 설치 * 2007-04-11: 제2차 개교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휘경 도서관 개관(80주년 기념관동 1층 485㎡) * 2007-10-23: 제3차 개교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역사관 개관 및 주위조경 공사준공(역사관 291.61㎡, 조경공사 960.74㎡) * 2007-10-23: 개교 100주년(창학 105년) * 2012-10-23: 기숙사 권정순관(신명학사) 준공 * 2015-06-11: 음악중점학급 개인연습실 구축 완료(20실) * 2015-11-17: 교문 설치 및 가사실 현대화 사업 * 2019-03-08: 3.8 만세운동 100주년 * 2019-12-12: 김영화관(다기능교실) 준공(982.91m²) * 2020-10-23: 개교 118주년 * 2022-12-31: 교육활동(장학) 유공학교 선정 == 상징 == [[파일: 신명고등학교 학교상징.png]] == 출신 인물 == * [[강연재]] * [[박경원]] (중퇴): 최초의 여성 비행사로 알려져 있으나, [[친일반민족행위자]]였다는 논란이 있다. * [[박영옥]] * [[서사랑]]: 걸그룹 [[써스포]], [[에이치투엘]], [[오마주(아이돌)|오마주]], [[멜로디핑크|노래하는 말괄량이]]의 前 멤버. * [[이경애(1957)|이경애]] * [[이진숙(기자)|이진숙]]: 전 [[대전MBC]] 사장, 전 종군기자. * [[조명희(교수)|조명희]]: 경북대학교 교수, 21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뚜밥]] == 여담 == 학교 위치가 좋다. 주변에 대구 최대 중심가 [[동성로(대구)|동성로]]가 불과 도보 10분거리에 있으며, [[더현대 대구]], [[동아백화점]], [[반월당 지하상가]]가 넘어지면 코닿을 거리에 있고, [[대구광역시]] 최대의 [[전통시장]]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이 5분거리에 있다.[* 위치가 너무 좋아 많은 학생들이 오후 자습을 째고 시내에 놀러간다.] 지하철 1,2호선의 교차역 [[반월당]]과 3호선 정차역 [[청라언덕역]] 사이에 있고 버스정류장도 급행이 정류하는 버스정류장까지 10분이내로 접근성이 매우 좋다.[*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장은 3분이면 도착한다.] 비교적 내신따기 수월한 학교로 유명하다. 매년 거의 절대다수가 수시로 대학에 진학하며 선생님들도 정시얘기는 꺼리는 편이다.[* 어느정도냐면 많은 선생님들이 '정시=재수'라는 공식을 사용한다.] 과목 선택의 폭이 매우 좁다. 2022년 기준 불과 2년 전까지만 해도 [[사회탐구]] 과목의 선택권이 없었다. 2023년 졸업생의 경우엔 이과에서 [[기하]]과목이 수강생이 너무 부족한 탓에 폐강되기도 했다. [* 덕분에 모든 문과생들은 마이너 과목인 [[정치와 법]]을 수강해야 했다. 05년생 학생들부터는 차츰 개선되고 있고 2022년 현재는 3학년을 제외한 학년들이 타 고등학교와 다를 바 없는 커리큘럼을 따라가고 있다.] 2023년부터 학교 본관을 리뉴얼한다. 이로 인해 1학년은 진리관, 2학년은 80주년 기념관, 3학년은 권정순관에서 수업을 진행한다. 매주 목요일마다 폴라드관에서 예배를 드린다. 반강제 참여라[* 1학년때 예배 참가 동의서를 작성한다. 1년에 1~2명정도는 예배를 거부하고 도서관이나 반에서 자습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개신교 문화에 큰 거부감이 있거나 다른 종교적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이때 곰곰히 생각해보고 결정하도록 하자. 그러나 기독교 신앙을 강요하지 않을 뿐더러 즐기고 좋은 말씀이나 듣자라는 분위기가 강하니 웬만하면 참가하는 것이 좋다.] 평판이 안 좋을 듯하지만 경직되지 않는 예배 분위기 덕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한다.[* 찬양 인도는 교내 동아리인 하늘향기가 진행하는데 신나는 곡을 하는 날이면 콘서트장을 방불케한다.] [* 현재는 폴라드관을 공사하기 때문에 각 반에서 '목요채플'만 틀어주는 상황. 대부분의 학생을 자습을 한다. --(물론 노래를 따라부르는 애들도 있다.)--] 남녀성비가 약 1:3 정도로 남자가 적은 편이다. 운동장과 체육관을 [[성명여자중학교]]와 한 학기씩 번갈아가면서 사용한다. [[학년]]마다 명찰의 색이 달라 명찰로 학년을 구분한다. 2023년 기준 1학년은 [[파란색]], 2학년은 [[빨간색]], 3학년은 [[초록색]]이다. 수성구에 있는 [[대구남산고등학교]]와 뿌리가 같다.[* 비슷한 경우로 [[국민대학교]]와 [[경남대학교]]가 있다.] 신명고는 [[성명여자중학교]]와 같이 있는데, 남산고는 [[신명여자중학교]]와 같이 있어서 신명고와 남산고 두 학교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은 듯하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매일신문사/성명여중 정류장: [[대구 버스 323, 323-1|323-1]], [[대구, 경산 버스 840|840(경산방향)]], [[대구 버스 동구2|동구2]], [[경산 버스 990|990(경산) (경산방향)]], [[경산 버스 991|991(경산) (경산방향)]] * 서문시장/동산의료원 정류장: [[대구 버스 300|300]], [[대구 버스 323, 323-1|323]], [[대구 버스 405|405]], [[대구 버스 651|651]], [[대구 버스 808|808]], [[대구 버스 836|836]], 840(대구방향), [[대구 버스 북구2|북구2]], [[대구 버스 성서2|성서2(서문시장 지원운행)]], [[대구 버스 급행6|급행6]], [[성주, 칠곡 버스 250|250(성주)]], [[고령 버스 606|606(고령)]], 990(경산) (대구방향), 991(경산) (대구방향) * 섬유회관 정류장: [[대구 버스 156|156]], [[대구 버스 240|240]], [[대구 버스 309|309]], [[대구 버스 425|425]], [[대구 버스 524|524]], [[대구 버스 623|623]], [[대구 버스 653|653]], [[대구 버스 724|724]], [[대구 버스 909|909(경산방향)]], [[대구, 경산 버스 939|939]], [[대구 버스 급행1|급행1]], [[대구 버스 급행3|급행3]], [[대구 버스 급행5|급행5]] * 엘디스리젠트호텔 정류장: [[대구 버스 609|609]], 909(신남역방향) === 도시철도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월당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반월당역]], [[청라언덕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청라언덕역]], [[서문시장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