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신민혁/선수 경력)] [목차] == 개요 == [[신민혁]]의 2023시즌 활약상을 담은 문서. == 시즌 전 == 새해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44&aid=0000862416|인터뷰]]를 통해 [[https://youtu.be/tOdsj5L1FHM|"올해는 무조건 규정이닝에 선발 10승을 채우고 싶다"]]는 목표를 밝혔다. 더불어 "초등학교 이후로 국가대표에 나가보지 못했다. 좋은 성적 내서 아시안게임 때는 제대로 한번 경쟁해보고 싶다"며 국가대표팀 승선에 대한 욕심도 드러냈다. CAMP 2를 위해 애리조나로 출국하는 공항에서 [[엔튜브]] [[https://youtu.be/JAZGkqZIxfM?t=434|영상]]을 통해 '''"올 시즌은 구종과 투구 스타일 등을 많이 바꿔보려 시도하겠다"'''고 인터뷰했다. == [[페넌트레이스]] == === 4월 === ==== 4월 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두산 베어스|두산]]전 [{{{#blue 승리}}}] ==== 4월 5일 잠실 두산전에서 시즌 첫 등판을 가졌다. 선취점을 내줬지만 한 이닝에 8득점을 하는 등 팀 타선의 든든한 지원을 받으면서 시즌 첫 승을 거뒀다. 기록은 6이닝 7피안타(1홈런) 3사사구 4탈삼진 3실점, 최고 시속은 146km/h까지 나왔다. ==== 4월 11일 : [[창원 NC 파크|창원]] [[kt wiz|kt]]전 [{{{#blue 승리}}}] ==== 4월 11일 홈 KT전에서 상대 선발 [[보 슐서]]를 상대로 6이닝 6피안타 무실점으로 맞서면서 두 경기 연속 QS로 쾌투했다. 네 번의 득점권 위기(1·2·4·6회)를 모두 무실점으로 처리하는 등 위기관리 능력이 돋보였으며, 7회부터 운영한 불펜진 [[김진호(야구선수)|김진호]], [[김시훈(야구선수)|김시훈]], [[이용찬]]이 3이닝 무실점을 합작하면서 짜릿한 한점차 승리를 지켜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34854584, height=281)]}}} || || 2023년 4월 11일 KT전 신민혁 H/L || 경기 후 [[https://sports.naver.com/news?oid=001&aid=0013874505|인터뷰]]에서 지난 시즌 부진의 이유로 "초구 스트라이크 비율이 낮다 보니 (뒤늦게) 스트라이크를 잡으려고 (공을) 밀어 넣다 보면 타자들이 장타를 쳤던 것 같다"고 짚으면서 겨우내 초구 스트라이크와 직구 비율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며, "볼이 빠르지 않다보니 스트라이크존 가운데로 밀어넣으려다 많이 맞았는데 지금은 힘 빼고 그 근처로만 넣는다 생각하고 던지고 있다. 목표는 그대로 규정이닝을 다시 하고 10승을 해보는 것이다.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 4월 22일 : [[창원 NC 파크|창원]]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red 패배}}}] ==== 4월 22일 롯데전에서 5이닝 7실점으로 부진하였다. 시즌 첫 패전 투수 ==== 4월 28일 :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대전]] [[한화 이글스|한화]]전 [{{{#blue 승리}}}] ==== 4월 28일 한화전 5이닝 2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되었다. 시즌 3승 === 5월 === ==== 5월 10일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kt wiz|kt]]전 [ND] ==== 5월 10일 kt전에서 5이닝 7실점으로 부진했다. 3회까진 퍼펙트였는데, 4회에만 실책 2개가 겹치며 5실점했고 이후 6회에도 등판했다 [[문상철]]에게 투런 홈런을 맞고 그대로 강판됐다. ==== 1군 엔트리 말소 ==== 결국 부진으로 한동안 2군에 있다가 6월 15일 창원 두산전에서 [[에릭 페디]]의 부상으로 공백이 생겨 대체 선발로 등판할 예정이다. 원래 [[이용준(야구선수)|이용준]]이 주 2회 등판이라서 휴식 차원에서 말소시키려 하고 신민혁이 18일에 등판하려 했으나, 계획을 바꾸면서 등판 일자가 3일 정도 당겨졌다.[* 다만 2군에서도 10일이 마지막 등판이었기 때문에 15일에 등판하면 4일 휴식 후 등판이다.] === 6월 === ==== 6월 15일 : [[창원 NC 파크|창원]] [[두산 베어스|두산]]전 [ND] ==== 6월 15일 창원 두산전에서 1군 복귀전을 치렀고, 승리투수 요건에 아웃카운트 하나만을 남겨놓고 무려 108구를 던졌으나 다행히 1자책으로 막아내긴 했다. 팀은 10-3으로 대승. ==== 6월 2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두산 베어스|두산]]전 [ND] ==== 6월 27일 잠실 두산전에서 6이닝 1실점으로 간만에 QS를 기록했으나 타선의 침묵 속에 ND를 기록했다. 팀은 2-3으로 석패. === 7월 === ==== 7월 2일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kt wiz|kt]]전 [{{{#red 패배}}}] ==== 7월 2일 수원 kt전에 선발 등판하여 4.1이닝 4피안타 1실점으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팀은 0:5로 패배. ==== 7월 8일 : [[창원 NC 파크|창원]]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red 패배}}}] ==== 7월 8일 창원 삼성전에 선발 등판하여 4이닝 4피안타 2실점(1자책)으로 또다시 패전투수가 되었다. 팀은 8:0으로 대패. ==== 7월 25일 : [[창원 NC 파크|창원]] [[KIA 타이거즈|KIA]]전 [ND] ==== 7월 25일 창원 KIA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5피안타 3실점을 기록했다. 팀은 [[제이슨 마틴|마틴]]의 극적인 그랜드슬램으로 3:5 승리. ==== 7월 30일 : [[창원 NC 파크|창원]] [[kt wiz|kt]]전 [{{{#red 패배}}}] ==== 7월 30일 창원 kt전에 선발 등판하여 4이닝 8피안타 3실점으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이로써 팀은 kt에게 2연속 스윕패라는 굴욕을 겪게 되었다. 7월 5경기 중 불펜으로 던진 창원 롯데전을 제외한 4경기에서 4.1이닝-4이닝-5이닝-4이닝으로 이닝을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대량실점을 하며 붕괴되지는 않은게 다행. === 8월 === ==== 8월 5일 : [[창원 NC 파크|창원]] [[키움 히어로즈|키움]]전 [ND] ==== 8월 5일 창원 키움전에서 6이닝 3실점으로 다시 한번 QS를 기록했으나 타선도 딱 3점을 지원해주며 이번에도 ND를 기록했다. 팀은 8회 김성욱의 결승 홈런으로 4-3 신승. ==== 8월 11일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kt wiz|kt]]전 [{{{#blue 승리}}}] ==== 8월 11일 수원 KT전에서 5이닝 1실점으로 105일만에 승리 투수가 되었다. 5회까지 투구수 단 66개로 완벽투를 선보였으나 6회 집중타를 얻어맞고 내려온게 아쉬웠다. ==== 8월 17일 : [[창원 NC 파크|창원]] [[한화 이글스|한화]]전 [ND] ==== 8월 17일 창원 한화전에 선발 등판하여 4.1이닝 7피안타 4실점으로 부진한 활약을 보였다. 9회말 [[손아섭]]의 동점 홈런으로 패전투수는 면하게 되었다. 팀은 연장전 [[김수윤(야구선수)|김수윤]]의 끝내기 안타로 9:10 승리. === 9월 === ==== 9월 6일 : [[창원 NC 파크|창원]] [[키움 히어로즈|키움]]전 [{{{#blue 승리}}}] ==== 이후 쭉 불펜으로 등판하다가 9월 6일 창원 키움전에 선발 등판하였다. 5이닝 3피안타 1실점(비자책)으로 승리투수가 되었다. ==== 9월 12일 : [[사직 야구장|사직]] [[롯데 자이언츠|롯데]]전 [ND] ==== 9월 12일 사직 롯데전에 선발 등판하여 6이닝 2피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했으나 7회 [[류진욱]]이 동점을 허용하여 시즌 6번째 승리는 무산되었다. 팀은 8회 [[박건우(1990)|박건우]]의 결승타로 4:3 승리. ==== 9월 24일 : [[창원 NC 파크|창원]] [[두산 베어스|두산]]전 [ND] ==== 9월 24일 창원 두산전에 선발 등판하여 4.2이닝 5피안타 2실점을 기록했다. 4회까진 잘 던졌으나 5회 갑작스럽게 흔들려 무사만루를 만든뒤 [[강승호]]에게 2타점 동점 적시타를 맞고 강판되었다. 팀은 연장끝에 루키 [[박한결(2004)|박한결]]의 동점 적시타 + 실책[* 끝내기 안타로 아는 사람들이 많지만 [[박계범]]의 포구 실책으로 기록상으로는 동점 적시타 + 실책으로 기록되었다.]으로 5:6 승리. === 10월 === ==== 10월 17일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광주]] [[KIA 타이거즈|KIA]]전 [ND] ====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인 17일 광주 KIA전에 선발 등판하였다. 5이닝을 무실점으로 틀어막았지만, 타선지원을 받지 못하였고 6회 최성영과 교체되면서 5이닝 소화에 그쳤다.[* 하지만 투구수는 고작 '''47개'''에 불과했다.] 하지만 3점대 평균자책점으로 시즌을 마무리하였다. == [[KBO 리그/2023년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 === [[KBO 준플레이오프/2023년|준플레이오프]] === ==== 10월 22일 : [[KBO 준플레이오프/2023년|준플레이오프]] 1차전 : [[인천 SSG 랜더스필드|인천]] [[SSG 랜더스|SSG]]전 [ND] ==== 1차전 선발 등판하여 5.2이닝 4피안타 1사사구 3탈삼진 무실점의 완벽한 피칭을 보여주며 [[로에니스 엘리아스|엘리아스]]와 완벽한 투수전을 보여줬다. 팀도 8회초 [[김성욱]]의 결승 투런으로 승리를 거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41733308, height=281)]}}} || || 2023 준플레이오프 1차전 신민혁 H/L || === [[KBO 플레이오프/2023년|플레이오프]] === ==== 10월 31일 : [[KBO 플레이오프/2023년|플레이오프]] 2차전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kt wiz|kt]]전 [{{{#blue 승리}}}] ==== '''6.1이닝 1피안타 1사사구 2탈삼진 무실점'''으로 완벽한 투구를 하며 지난등판보다 더 좋은 피칭을 했다. 7회에 볼넷과 야수 실책으로 책임주자 1명을 남기고 교체되었지만, 후속투수 류진욱이 병살로 이닝을 마무리하면서 실점은 없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42146716, height=281)]}}} || || 2023 플레이오프 2차전 신민혁 H/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42161140, height=281)]}}} || || 엠스플 신민혁 투구폼 분석 || 리드를 그대로 지킨 채 팀이 3:2로 승리하면서 '''커리어 첫 포스트시즌 승리 투수가 되었으며, 2차전 데일리 MVP로 선정되었다.''' 기자단 [[https://youtu.be/6-8xcAMv5eA|인터뷰]]에서 "지난 등판보다 더 떨렸지만 초구 스트라이크 비율을 많이 높여서 (투구 내용이) 좋았던 것 같다"면서 "체인지업이 잘 들어가서 (타자와) 승부할 때 편안했다"고 복기했다. 엔튜브 [[https://youtu.be/YXH04fzkwts|수훈인터뷰]]에선 정규시즌과 준비는 똑같이 하는데 집중이 더 잘 된다며 빅 게임 피쳐의 면모를 보였다. 강인권 NC 감독은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21&aid=0007145905|경기 후 인터뷰]]를 통해 "신민혁이 이 정도로 잘 던질 줄은 몰랐다. 가을에 강한 투수 같다"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에 대해 신민혁은 "가을에 처음 던져봐서 잘 모르겠다. 그냥 나도 모르게 잘 던진 것 같다"고 답해 웃음을 안겼다. 신민혁의 깜짝 호투로 NC는 페디-신민혁의 원투펀치를 구상할 수 있게 되었다. ==== 11월 5일 : [[KBO 플레이오프/2023년|플레이오프]] 5차전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수원]] [[kt wiz|kt]]전 [ND] ==== == 페넌트레이스 총평 == ||<-20> '''{{{#FFFFFF 2023년 정규시즌 신민혁 최종 성적}}}''' || || '''경기''' || '''이닝''' || '''승''' || '''패'''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ERA''' || '''WHIP''' || '''WAR''' || '''WPA''' || || 29 || 122 || 5 || 5 || 97 || 122 || 14 || 3.98 || 1.20 || 1.49 || 1.03 || 시즌 첫 2경기에서 든든한 피칭으로 NC 영건 선발진의 핵으로 떠오르는 듯 싶었으나 곧이어 극심한 부진에 빠졌고 이후 2군으로 내려갔다. 2군에 내려간 동안 자신의 대체 선발로 올라온 [[최성영]]과 [[이재학]]이 연이은 호투를 선보이며 다시 1군 복귀는 요원해 보였으나 두 선수가 모두 불의의 부상으로 인해 장기 결장을 하게 되면서 여름부터 다시 선발진에 합류하였고, 선발 합류 후에도 다소 기복이 있는 피칭을 했으나 토종 1선발인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까지 시즌 아웃된 상황에서 결국 페넌트레이스 내내 마운드를 지켰고, 최종적으로 토종 투수 이닝 1위로 마감하였다. == 포스트시즌 총평 == 외국인 선발 테너가 부진하는 사이 2경기 모두 인생투를 펼치며 내년이 기대되는 토종 선발 투수가 되었다. == 시즌 후 ==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대체 선수로 합류하였다. == 관련 문서 == * [[NC 다이노스/2023년]] [[분류:신민혁/선수 경력]][[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NC 다이노스/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