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남구의 법정동]][[분류:동남구의 행정동]] [include(틀:동남구의 읍면동)] [include(틀:천안시의 도시구조 및 지역)] ||<-2> '''[[천안시|{{{#000000,#dddddd 천안시}}}]] [[동남구|{{{#000000,#dddddd 동남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신방동}}}'''[br]新芳洞 | Sinb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천안시 동남구 신방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충청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천안시 || || '''일반구''' || 동남구 || || '''행정표준코드''' || 4413111600 || || '''관할 행정동''' || 신방동 || || '''면적''' || 5.00㎢ || [목차][clearfix] == 개요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다. 면적은 5.00㎢이며, 주위에 [[쌍용동]], [[다가동]], [[용곡동]], [[청당동]], [[구룡동(천안)|구룡동]], [[풍세면]], [[아산시]] [[배방읍]]과 접한다. == 역사 == 1914년, 군남면에 있던 여러 리가 통폐합되면서 환성면 신방리가 되었다. 1963년,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해 천안시로 승격하면서 신방동이 되었고, 다가동, 용곡동과 더불어 신용동이 신방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2007년에는 신용동이 폐지되는 대신 행정동 신방동과 일봉동이 새로 생겼고, 행정동 신방동이 신방동과 용곡동 남부를 관할하게 되었다. == 관할 행정동 == === 신방동 === ||<-2> '''[[천안시|{{{#000000,#dddddd 천안시}}}]] [[동남구|{{{#000000,#dddddd 동남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신방동}}}'''[br]新芳洞 | Sinbang-dong || || '''광역자치단체''' || 충청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천안시 || || '''일반구''' || 동남구 || || '''행정표준코드''' || 5650022 || || '''관할 법정동''' || 용곡동, 신방동 || || '''하위 행정구역''' || 59통 174반 || || '''면적''' || 5.47㎢ || || '''인구''' || 43,321명[*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7,919.7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천안시 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정문(1973)|이정문]] ,,(초선),, || ||<-2> '''충청남도의원 | 제9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정수 ,,(초선),, || ||<-2> '''천안시의원 | 자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영한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종갑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천안천변길 129-41[* 신방동 719-3] || || [[https://www.cheonan.go.kr/cop/bbs/BBSMSTR_000000000177/selectBoardList.do|신방동 행정복지센터]] || 신방동과 용곡동 남부를 관할하는 행정동이다. [clearfix] == 설명 == 1990년대 이전까지는 말 그대로 근교 전원마을이었다. 유일하게 있던 아파트가 현재 통정지구에 위치한 현대까치아파트였을 정도. 그나마 이 아파트도 교통이 불편하고 평형수가 작은 아파트였던 탓에 거주를 기피하던 곳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천안시 인구 유입이 증가하면서 신방동 북부지역(새말)에 아파트 단지가 생기기 시작했고, 2000년대 중반부터는 신방통정택지지구가 개발되었다. 비교적 최근부터 개발되고 있는 탓에 신방통정택지지구 같은 동 외곽지역에서는 자연마을과 논, 밭을 많이 볼 수 있다. [[홈플러스 스페셜 천안신방점]]이 있는데, [[까르푸/대한민국|까르푸]]와 [[홈에버]]를 거쳐 홈플러스가 되었다. 한 때 까르푸 천안점과 이후 오픈한 [[이마트 천안점]]은 가까운 위치에 있어 서로 경쟁 관계였지만 홈플러스로 바뀐 지금은 매출이나 서비스 질 등에서 이마트가 앞서고 있다. 이마트 천안점의 매출은 전국 이마트 TOP5~10위 권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 교육 == === 초등학교 === * [[천안신용초등학교]][* 1997년에 개교한 신용초등학교는 한때 많은 학생수로 악명이 높았다. 2000년대 초반 학생수가 2000명을 넘었으며, 이 학생들을 모두 수용하고자 수업을 오전반과 오후반으로 나눠서 했고, 컨테이너로 임시 교실을 만들어서 수업을 했어야 할정도로 과밀학급 학교였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들어서 주변에 학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학교당 학생수가 많이 줄면서 문제가 해결되었다.] * [[천안신촌초등학교]] * [[천안새샘초등학교]] * [[천안수곡초등학교]][* 쌍용동인지 신방동인지 논란이 있다. 주변 아파트 단지는 쌍용동이지만 학교는 신방동 소재이다.] === 중학교 === * [[천안신방중학교]] * [[천안새샘중학교]] * [[천안용곡중학교]] == 교통 == [[21번 국도]]가 동 한 가운데를 지난다. 이 구간은 천안과 아산을 오가는 길이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 자주 막혀 8차선으로 확장했다. == 주거 == * [[대우건설]] 신방 푸르지오 - 2009년 1월 입주 * 대주건설 신방 대주피오레 - 2006년 3월 입주 * [[한라건설]] 신방 한라비발디 - 2009년 9월 입주 * 한성건설 천안 신방 한성필하우스 - 2010년 6월 입주 * 초원주택 초원그린타운아파트 - 1998년 12월 입주 * 성지건설 성지새말1단지아파트 - 1997년 3월 입주 * 성지건설 성지새말2단지아파트 - 1997년 3월 입주 * 신동아건설 신동아목련아파트 - 1996년 4월 입주 * [[현대건설]] 두레현대1차아파트 - 1997년 6월 입주 * [[현대건설]] 두레현대2차아파트 - 1997년 6월 입주 * [[현대산업개발]] 향촌현대아파트 - 1997년 12월 입주 * [[한라건설]] 한라동백2차아파트 - 1998년 9월 입주 * [[현대산업개발]] 현대2차아파트 - 1992년 11월 입주 * 삼일주택공사 삼일원앙아파트 - 1997년 8월 입주 * 문장건설 천안하나리움아인스파크아파트 - 2016년 4월 입주 * 보광종합건설 보광그랑베르아파트 - 2012년 8월 입주 * [[극동건설]] 천안신방LH1단지아파트 - 2018년 11월 * [[삼부토건]] 천안신방삼부르네상스아파트 - 2023년 5월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