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c300 {{{+1 '''신부곡 나들목'''}}}[br]{{{-2 '''新富谷 나들목'''}}}[br]{{{-2 '''Sinbugok Interchange'''}}}}}} || || [[대공원IC|{{{#!html과천 방면}}}]][br][[의왕IC]][br]← 1.2 km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309)][[봉담과천로|{{{#!html
봉담과천로}}}]]'''{{{#000000 {{{+1 2}}}}}}''' || [[봉담IC|{{{#!html봉담 방면}}}]][br][[월암IC]][br]3.4 km → || ||<-3> [include(틀:지도,장소=신부곡IC,너비=100%,높이=225px)] || ||<-3> {{{#000 '''주소'''}}} || ||<-3> [[경기도]] [[의왕시]] [[부곡동(의왕)|부곡동]] || ||<-3> {{{#000 '''관리기관'''}}} || || [[봉담과천로|{{{#000222 봉담과천로}}}]] ||<-2> [[경기남부도로주식회사|경기남부도로(주)]] || ||<-3> {{{#000 '''개통'''}}} || ||<-3> [[1998년]] [[12월 15일]][* [[http://www.gg.go.kr/archives/1306462?curPage=2199&ggd_term_id=5107|봉담-의왕도시고속도로]] 개통 기준.] || ||<-3> {{{#000 '''접속도로'''}}} || ||<-3> 오봉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의왕시]] [[부곡동(의왕)|부곡동]]에 위치한 봉담과천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부곡동에서 유래했으며, 과천의왕간고속화도로 2단계 개통 당시 이미 [[영동고속도로]](당시 신갈안산고속도로)에 [[부곡IC]]가 있었기 때문에 신부곡IC라는 이름으로 개통하였다. 오봉로 및 덕영대로를 통하여 영동고속도로 [[부곡IC]]로 간접 연계된다. 개통 당시부터 명칭은 신부곡IC였는데 일자 불명에 '''의왕신부곡IC'''로 바뀌었다가 2012년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확장 공사 완료와 동시에 신부곡IC로 환원되었다. == 구조 == === [[봉담IC|봉담]] 방향 === * 진출 가능 : 오봉로 양방향 * 진입 가능 : 오봉로 양방향 === [[대공원IC|과천]] 방향 === * 진출 가능 : 오봉로 양방향 * 진입 가능 : 오봉로 양방향 == 역사 == * [[1998년]] [[12월 15일]] 과천의왕간고속화도로 의왕~봉담 구간이 개통되면서 신설되었다. == 특징 == * 진출 램프가 끝나자마자 오른쪽에 [[남부화물기지선]] [[오봉역]][* 원래는 수도권 남부순환선이라는 명칭으로 1978년부터 부곡~도농 구간 철도 연결 사업이 구상되기 시작하여 1984년 해당 계획의 일부로 부곡~의왕(오봉)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후 과천, 염곡, 양재, 잠실, 토평을 경유하여 도농 연장이 검토되었으나, 계속되는 도로교통의 발전으로 인하여 1988~1993년 최종 계획이 폐기되었다. 남부순환선은 전 구간 전철화가 예정되었으나 복선이 아닌 단선으로 계획되었다. 당시 남부순환선 철도 예정지의 일부를 활용하여 과천의왕간고속화도로가 개통된 것이다. 서울 송파구 문정동 철도부지 일부는 공원화되었다.] 이 위치해 있다.[* 이 역 주변에 의왕ICD 제1~2터미널을 비롯한 화물 기지 및 물류 창고들이 대거 산재해있다.] [[분류:봉담과천로]] [[분류:대한민국의 나들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