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新沙驛 / Sinsa Station}}} ||<-3> {{{+2 '''신 사'''}}} || ||<-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30]] || || [[대화역|{{{#!html
대화 방면}}}]][[압구정역|압구정]][br]← 1.5 ㎞ || [[수도권 전철 3호선|{{{#!html
3호선
(337)
}}}]] || [[오금역|{{{#!html
오금 방면}}}]][[잠원역|잠 원]][br]0.9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html
시종착}}}[* [[용산역|용산]] 방향으로 [[한남역]]이 2028년 개통 예정] || [[신분당선|{{{#!html
신분당선
(D04)
}}}]]{{{#ffffff (미개통)}}} || --[[광교역|{{{#!html
광교 방면}}}]][[논현역|논 현]]--[br]0.7 ㎞ → || || {{{#!html
시종착}}} ||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html
위례신사선
(WS10)
}}}]]{{{#ffffff (계획중)}}} || --[[위례중앙역|{{{#!html
위례중앙 방면}}}]][[을지병원역|을지병원]]--[br] -.- km → ||}}}}}}}}} || ||<-3>[include(틀:지도, 장소=3호선 신사역, 너비=100%, 높이=100%)]||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Sinsa || || [[한자]] ||<-2><|2> 新沙 || || [[중국어]] || || [[일본어]] ||<-2> [ruby(新沙, ruby=シンサ)] || ||<-3> '''주소''' || ||<-3>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 ||<-3>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지하 102 ([[신사동(강남구)|신사동]] 667번지) || ||<-3> --[[신분당선|{{{#ffffff 신분당선}}}]]-- || ||<-3>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지하 310 ([[신사동(강남구)|신사동]] 663-1번지)~~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 --[[신분당선|{{{#ffffff 신분당선}}}]]-- ||<-2> [[네오트랜스|[[파일:Neotrans_logo.png|width=15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3호선|{{{#ffffff 3호선}}}]] ||<-2> 1985년 10월 18일 || || --[[신분당선|{{{#ffffff 신분당선}}}]]-- ||<-2> 2022년 5월 21일 (예정)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노선거리표''' || || {{{-1 ~~{{{#585858,#a7a7a7 기점}}}~~}}} || ~~'''[[신분당선]]'''~~[br]신 사 || [[광교역|{{{-1 {{{#585858,#a7a7a7 광교 방면}}}}}}]][br]~~[[논현역|논 현]]~~[br]0.7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신사역1.png|width=500]] [[수도권 전철 3호선]] 337번[* 개정 전 27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지하 102 ([[신사동(강남구)|신사동]] 667번지)[* 신사동 667번지] 소재. ~~[[신분당선]] D04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지하 310 ([[신사동(강남구)|신사동]] 663-1번지) 소재 예정.~~ == 역 정보 == [[파일:20190422_074352.jpg|width=500]] 공사 중인 신사역 옛 폴사인. 한남대교 남단에서 남쪽으로 400m 가량에 위치해 있는 [[도시철도]]역이다. [[강남구]] 신사동, 논현1동과 [[서초구]] 잠원동에 걸쳐 있다. 역 주변에는 [[서초구]] 잠원동 아파트 지역 등 주변 거주자들을 위한 상권이 발달해 있다. == 역 주변 정보 == 인근에 있는 주요 시설로는 학동공원이 있는데, 논현1동 신동아아파트 옆에 위치한다. 8번 출구에서 동쪽으로 300m 정도 걸어가면 [[가로수길]]이 나온다. 이 곳 주변에 위치한 클럽들은 흥망성쇠가 심한 편인데, 대표적으로 영동호텔 지하에 위치한 홀릭 등이 있다. 4번 출구쪽에는 신사동간장게장골목이 있다. 신사역이 있는 [[강남대로]]의 시내버스중앙차로에 있는 신사역 버스 정류장은 신사역에서 멀기로 악명높다. 심지어 [[한남대교]](북쪽) 방향 정류장은 신사역보다도 한 블럭 아래에 있는 [[논현역]]이 더 가깝다. 그리고 정작 [[논현역]] 중앙차로 정류장 앞에 [[신논현역]]이 있다는 것도 함정. 나오는 방향이 은근히 헷갈린다. 가만 보면 올라오다가 주변 보고 다시 내려가는 사람을 종종 볼 수 있다. 주변에 성형외과가 많아 역내에 성형광고가 즐비하다. 성형 박물관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 특히 플랫폼보다는 출입구 쪽이 가장 심한데, 대형 성형외과로 향하는 방향에 뚫려 있는 8번과 1번 쪽은 아예 대놓고 출입구 전체가 성형외과 광고로 도배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 아이돌 생일축하 광고판이 자주 올라와 지나가는 행인들의 발걸음을 서두르게 하고 있다. 현재 [[신분당선]]이 용산 미군기지 이전 문제 때문에 용산역까지의 착공이 어려워, 1단계로 신사역까지 [[강남대로]] 구간을 뚫기로 결정한 상태다. [[2016년]] 8월 30일에 착공했다. 다만 다른 [[논현역|두]] [[신논현역|역]]들과는 달리 신사역은 처음부터 환승을 대비하기 위한 구조로 만들어져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환승은 십자환승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며 지하 2층에 있는 3호선 승강장에서 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한마디로 [[여의도]]역과 비슷하게 만들어질 예정이며 출입구는 따로 만들지 않고 3호선과 같이 공동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우선 개통되고 나면 지하 4층으로 역사 구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신분당선]] [[강남역]] 이북구간이 완공되면 환승역으로 변경될 예정이어서, 3호선 [[고속터미널역]]의 드리프트와 혼잡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다. 역 남북으로는 강남대로인만큼 버스가 어마어마하게 많이 다니고, 동쪽에도 꽤 다니는데, 역 서쪽에는 버스가 단 하나도 다니지 않는다. 서쪽의 경부고속도로 너머 잠원동을 다니는 버스는 마을버스이기도 하고 배차간격이 너무 길어서 의미가 없는 [[서울 버스 서초01|서초01번]]을 제외하면 [[서울 버스 143|143번]], [[서울 버스 362|362번]], [[서울 버스 4318|4318번]]이 있는데 모두 역 한 블럭 위의 한남IC를 통해 [[압구정역]]과 통한다. 추후 [[위례신사선]] 계획이 확정될 경우 3개 노선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일평균 이용객 == 신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57,849명 || 52,540명 || 53,286명 || 51,739명 || 51,641명 || 50,349명 || 50,292명 || 49,540명 || 48,855명 || 50,116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54,807명 || 59,621명 || 63,767명 || 66,299명 || 68,391명 || 65,810명 || 65,649명 || 63,649명 || 66,532명 || 68,540명 || || 2020년 || || '''50,859명''' ||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0년대 초반에 [[신사동 가로수길]] 상권이 뜨면서 반짝 상승을 경험했다. 2000년까지 5만명대 후반이던 것이 2000년대 초반에 5만명대 초반으로 내려가고, 2007년에는 일평균 5만명대가 무너지며 4만명대 후반까지 감소했으나 2009년에 5만명대를 회복한 이래 2012년에 6만명을 돌파하고, 불과 2년 뒤인 2014년에는 7만명 선까지 넘보는 등 약 5년간 드라마틱한 상승세를 기록했다. 2018년에 근처에 생긴 [[애플 가로수길]]의 영향으로 갑자기 승하차량이 3천 명 가까이 뛰었다. 그리고 그 기세는 2019년에도 이어져 일평균 승하차량은 68540명으로 신사역이 세워진이래 최고치를 찍었다. 그리고 신분당선이 연장 개통되면 분당, 판교, 광교신도시 방면 승객을 더 가져올 전망이다. 추후 일평균 7만명이 넘어 3호선 전체의 최상위권역으로 발돋음할 가능성도 많다[* 현재로서는 양재역에서 환승해 3호선 타고 올라오는 승객들을 고려할 때 생각보다 적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으나, 애초에 비싼 신분당선의 운임을 생각해볼 때 환승 측면에서의 양재역의 지위를 가져올 가능성은 여전히 매우 크다.]. ==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3호선]] (지하2층) === [[파일:25신사.png|width=500]]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 바로 위 도로는 직선형태로 되어있지만, 반대로 이 역의 승강장은 특이하게도 곡선형태로 되어있다. ||<-4> [[압구정역|압구정]]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잠원역|잠원]]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충무로역|충무로]]·[[불광역|불광]]·[[구파발역|구파발]]·[[대화역|대화]] 방면|| || {{{#ffffff 하}}} ||[[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교대역(서울)|교대]]·[[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오금역|오금]] 방면|| === 신분당선 (지하4층 예정) === [[파일:신분당선 신사역.png|width=500]] ||<-4> --당역종착-- || || {{{#ffffff 상}}} || ㅣ || ㅣ || {{{#ffffff 하}}} || ||<-4> --[[논현역|논현]]--↓ || || {{{#ffffff 상}}} ||<|2>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당역종착--|| || {{{#ffffff 하}}} ||--[[강남역|강남]]·[[판교역(성남)|판교]]·[[정자역|정자]]·[[광교역|광교]] 방면--|| 이 역 뒤로 용산역 방면으로 동빙고~용산구간이 개통할 예정이지만, 착공을 안하고 있어 이마저도 2027년 개통이 불가능한 상태이고 연장을 할지도 불투명한 상태이다. == 기타 == 강남구에도 신사동(新沙洞)이 있고, 은평구에도 신사동(新寺洞)이 있는데 [[서울 지하철 3호선]] 신사역이 먼저 개통하면서 은평구 신사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은 신사(新寺)역 대신 '[[새절역]]'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졌다. 이는 新寺를 순우리말로 표기한 것. 대신 부역명을 '신사'로 지어서 '새절(신사)역'이 되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신사동은 단순한 지명으로써, 점잖은 남성을 뜻하는 신사라는 단어하고는 관련이 없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승강장 내부가 매우 어둡고 음침했었다. 지금은 평범한 형광등을 쓰지만, 당시에는 노란빛의 작은 포인트 조명만 간간히 달려있는 식으로 인테리어가 되어있었다. 역명이 [[신사|역명]]이다 보니 [[신사]]로 말장난 하는 사람이 있었다. [[분류:198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건설 중인 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구간]][[분류:신분당선]][[분류: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분류:서울 서초구의 교통]][[분류:서울 강남구의 교통]][[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