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ite '''《신사협정》의 수상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선정 영구 보존 영화, 연도=2017)] ---- [include(틀: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e5d85c 골든글로브 시상식}}}]]''' }}} || ||<#ffffff,#191919><-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0c0000><-5> [[골든글로브 시상식/영화 작품상|{{{#e5d85c '''영화 작품상'''}}}]] || || '''제4회[br](1947년)''' || {{{+1 → }}} || '''제5회[br](1948년)''' || {{{+1 → }}} || '''제6회[br](1949년)''' || || [[우리 생애 최고의 해]] || {{{+1 → }}} || '''신사협정''' || {{{+1 → }}} || 조니 벨린다[br][[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 ||<#0c0000><-5> || ---- }}} || ||<-2>
{{{#000000,#dddddd '''{{{+1 신사협정}}}''' (1947)[br]Gentleman's Agreemen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사협정.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 || '''감독''' ||[[엘리아 카잔]] || || '''각본''' ||모스 하트[br][[엘리아 카잔]](각본 수정)^^(uncredited)^^ || || '''원작''' ||로라 Z. 홉슨 - 소설 ''Gentleman's Agreement'' (1947) || || '''제작''' ||대릴 F. 재넉 || || '''주연''' ||[[그레고리 펙]][br]도로시 맥과이어[br][[존 가필드]][br]셀레스트 홈[br]앤 리비어[br]준 하복[br]앨버트 데커[br]제인 와이어트[br][[딘 스톡웰]] || || '''촬영''' ||아서 C. 밀러 || || '''편집''' ||하몬 존스 || || '''음악''' ||[[알프레드 뉴먼]] || || '''제작사''' ||[[20세기 스튜디오|20세기 폭스]]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세기 스튜디오|20세기 폭스]] || || '''개봉일''' ||[[파일:뉴욕시 기.svg|width=20]] 1947년 11월 11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48년 3월 || || '''상영 시간''' ||118분 || || '''제작비''' ||'''198만 5천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780만 달러''' || [목차] [clearfix] == 개요 == [[1947년]] 개봉한 [[미국 영화|미국]]의 [[드라마]] 영화.[* [[뉴욕시]] 등 일부 지역에서만 먼저 개봉했다. 전국 개봉은 이듬해인 1948년.] 로라 Z. 홉슨이 쓴 동명의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유대인]]으로 위장하고 미국 내 [[반유대주의]]를 조사하는 [[기자]] 필립 스카일러 그린의 이야기를 다루는 영화다. [[아카데미 작품상]]과 [[아카데미 감독상|감독상]],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여우조연상]] 수상작이며, 그 외에도 [[골든글로브 시상식|골든글로브상]]과 뉴욕비평가협회상 등에서도 작품상을 비롯해 많은 상을 받았다. 2017년부터 [[미국 국립영화등기부]]에서 영구히 보존하고 있다. == 예고편 == [youtube(E2eAXa7rNXw)] == 줄거리 == >촉망받는 작가 필립은 '스미스 주간지'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고 뉴욕으로 온다. 편집장 미니피는 필립을 매우 신뢰하며 새롭게 기획하고 있는 "[[반유대주의]] 연재" 기사를 그가 맡아주기를 희망한다. [[유대인]]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 유대인들을 옹호하는 글을 연재한다는 것이 모험인 것은 알고 있지만 필립은 그 일을 맡기로 한다. 한편 미니피의 집에서 그의 조카인 캐시를 만난 필립은 한눈에 그녀에게 사로잡히고 둘은 곧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 한편 글의 구상이 떠오르지 않던 차에 그는 결국 자신이 유대인의 입장에서 글을 쓰기로 결심한다. 어머니와 캐시, 그리고 편집장, 친한 유대인 친구 데이브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이 유대인이라고 속이고 사람들의 반응을 보면서 직접 체험한 경험을 글로 적어나간다. 유능한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유대인에 대한 크고 작은 멸시와 부당함을 피부로 느낀 그는 점점 이 일에 빠져들어 간다. 그러나 그런 필립에게 불만이 쌓여가는 캐시와 학교 친구들로부터 유대인이라고 놀림 당하는 아들 톰을 보자 그는 당초 6개월로 예정했던 기간을 8주로 마감하고 글을 발표한다. "나는 8주동안 유대인이었다"라는 제목의 글은 사람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키는데... >---- >[[https://tv.apple.com/kr/movie/신사협정/umc.cmc.7hdmnti5f7fmbn1apyp0sohwl|출처 (Apple TV)]]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gentlemans_agreement, tomato=82, popcorn=78)]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39416, user=7.2)] == 기타 == 영화가 만들어질 당시 [[미국]]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과 싸운 나라였지만 여전히 사회 곳곳에서 [[반유대주의]]가 기승을 부리고 있었다. 제작자 대릴 F. 재넉도 [[유대인]]으로 오해받아 [[컨트리클럽]] 회원 자격을 박탈당한 경험이 있었다. 영화업계의 유대인 임원들은 혹여 이 영화가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까 걱정했지만,[* 당시 [[할리우드]]의 [[검열]]기관인 [[헤이즈 오피스]]의 실장 조셉 브린이 유대인 비하발언을 일삼았기에 검열을 통과하지 못할거란 걱정도 있었다.] 영화는 보란듯이 개봉해서 비평과 흥행 양측 모두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영화의 정치적인 내용 탓에 이후 제작진과 배우들이 [[반미활동조사위원회]]에 불려가는 일도 있었다. 제목인 《[[신사협정]]》은 반유대주의에 적극적으로 동조하지는 않지만 그런 현실을 외면하며 자신은 선량하다고 믿는 [[방관자]]들의, 반유대주의가 계속 이어지게 만들고 있는 '암묵적인 약속'을 가리킨다. == 외부 링크 == * [[영어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Gentleman%27s_Agreement|#]] * [[KMDb]]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F/08518|#]] * [[왓챠]] [[https://watcha.com/contents/mOgN7nW|#]] [[분류:1947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언론을 소재로 한 영화]][[분류:흑백영화]][[분류:20세기 스튜디오]][[분류:반유대주의]][[분류: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