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튜버, rd1=KD키드)]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cfa547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민주한국당|[[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width=88]]]] {{{#ffffff '''사무총장'''}}} || || 창당 || → || '''초대[br]신상우''' || → || 제2대[br][[유한열]] || ---- [include(틀: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include(틀:해양수산부장관)]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보건복지위원회|{{{#cfa547 보건사회위원장}}}]]'''}}} || || 제12대 후반기[br][[박준병]] || → || '''제13대 전반기[br]신상우''' || → || 제13대 후반기[br][[황명수]]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회|{{{#cfa547 국방위원장}}}]]'''}}} || || 제14대 전반기[br][[유학성]] || → || '''제14대 전반기[br]신상우''' || → || 제14대 후반기[br][[황명수]]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정보위원회|{{{#cfa547 정보위원장}}}]]'''}}} || || ''신설'' || → || '''제14대 후반기[br]신상우''' || → || 제15대 전반기[br][[김종호(1935)|김종호]]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8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양산시(선거구)|{{{#cfa547 제14선거구}}}]])'''}}} || || 제7대[br][[노재필]] || → || '''제8대'''[br]'''신상우''' || → || ''선거구 개편''[br]'''신상우'''[*A 김해군·양산군 선거구의 [[제9대 국회의원]] 이다.][br][[김영병]][*A][br][[김원규(1925)|김원규]][*B 경남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의 [[제9대 국회의원]] 이다.][br]'''최형우'''[*B]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김해군·양산군|{{{#cfa547 제7선거구}}}]])'''}}} || || ''선거구 개편''[br]'''신상우'''[* 경남 양산군·동래군 선거구의 [[제8대 국회의원]] 이다.][br][[김영병]][* 경남 김해군 선거구의 [[제8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9대'''[br]'''신상우'''[br][[김영병]] || → || '''제10대'''[br][[김택수]][br]'''신상우''' || || '''제9대'''[br]'''신상우'''[br][[김영병]] || → || '''제10대'''[br][[김택수]][br]'''신상우''' || → || 제11대[br][[이재우]][br][[신원식]]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광역시|{{{#cfa547 부산}}}]] [[북구 을(부산)|{{{#cfa547 제6선거구}}}]])'''}}} || || ''선거구 개편''[br][[정해영]][*C 부산진구·북구 선거구의 [[제10대 국회의원]] 이다.][br][[김임식]][*C] || → || '''제11대[br]신상우'''[br][[장성만]] || → || 제12대[br][[장성만]][br][[문정수]]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광역시|{{{#cfa547 부산}}}]] [[북구 을(부산)|{{{#cfa547 북구 을}}}]])'''}}} || || ''선거구 개편''[br][[장성만]][*D 부산진구·북구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br][[문정수]][*D] || → || '''제13-14대[br]신상우''' || → || ''선거구 개편''[br][[정형근]][* [[북구·강서구 갑]]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br][[한이헌]][* [[북구·강서구 을]]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br][[권철현]][* [[사상구 갑]]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br]'''신상우'''[* [[사상구 을]]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광역시|{{{#cfa547 '''부산'''}}}]] [[사상구 을|{{{#cfa547 '''사상구 을'''}}}]]) ''' }}} || || ''선거구 개편''[br][[문정수]][* [[북구 갑(부산)|북구 갑]]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 [[부산광역시장]] 선거 출마로 인한 의원직 사퇴. 잔여임기 1년미만으로 재선거 미실시.][br]'''신상우'''[* [[북구 을(부산)|북구 을]]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15대[br]신상우''' || → || ''선거구 통합''[br][[권철현]][* [[사상구(선거구)|사상구]]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 || ---- [include(틀:KBO/역대 총재)]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80009 0%, #580009 20%, #580009 80%, #580009)" '''[[대한민국 국회부의장|{{{#cfa547 대한민국 제15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br] {{{#cfa547 {{{+1 신상우}}} [br] 辛相佑 | Shin Sang-w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상우 전 부의장.jpg|width=100%]]}}} || ||<|2> '''출생''' ||[[1937년]] [[5월 20일]][* 영산·영월신씨대동보 4권 549쪽에는 6월 23일생으로 등재돼 있다.] || ||[[경상남도]] [[양산군]] [[하북면]] 순지리 556번지 || || '''사망''' ||[[2012년]] [[1월 26일]] (향년 74세) || || '''본관''' ||[[영산 신씨]][*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99&contents_id=GC04215722|#]]. 초당공파(草堂公派) 28세 상(相) 항렬.] || || '''호''' ||범중(凡中) || ||<|6> '''재임기간''' ||초대 [[해양수산부장관|해양수산부 장관]] || ||[[1996년]] [[8월 8일]] ~ [[1997년]] [[8월 6일]] || ||제15대 후반기 [[대한민국 국회부의장|국회부의장]] || ||[[1998년]] [[8월 17일]] ~ [[2000년]] [[5월 29일]] || ||제10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2003년]] [[5월 27일]] ~ [[2004년]] [[2월 6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부산사범학교부속국민학교 {{{-2 (졸업)}}}[br][[부산대신중학교]] {{{-2 (졸업)}}}[br][[개성고등학교|부산상업고등학교]] {{{-2 (졸업 / 43회)}}}[br][[고려대학교 정경대학|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정경학부]] {{{-2 ([[정치외교학]] / [[학사]])}}}[br][[고려대학교 대학원]] {{{-2 (수료)}}} || || '''종교''' ||[[개신교]] || || '''신체''' ||179cm || || '''의원 선수''' ||'''7''' || || '''의원 대수''' ||[[제8대 국회의원|'''8''']], [[제9대 국회의원|'''9''']], [[제10대 국회의원|'''10''']], [[제11대 국회의원|'''11''']], [[제13대 국회의원|'''13''']], [[제14대 국회의원|'''14''']], [[제15대 국회의원|'''15''']] || || '''약력''' ||[[부산일보]] 기자[br][[제8대 국회의원]] {{{-2 (경남 14선거구 / [[신민당(1967년)|신민당]])}}}[br][[제9대 국회의원]] {{{-2 (경남 7선거구 / 신민당)}}}[br][[제10대 국회의원]] {{{-2 (경남 7선거구 / 신민당)}}}[br][[제11대 국회의원]] {{{-2 (부산 북구 / [[민주한국당]])}}}[br]민주한국당 부총재[br][[제13대 국회의원]] {{{-2 (부산 북구 을 / [[통일민주당]])}}}[br]제13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보건사회위원회]] 위원장[br][[제14대 국회의원]] {{{-2 (부산 북구 을 / [[민주자유당]])}}}[br]제14대 국회 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장[br]제14대 국회 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장[br][[제15대 국회의원]] {{{-2 (부산 사상구 을 / [[신한국당]])}}}[br]제1대 [[해양수산부장관]] {{{-2 ([[문민정부]])}}}[br][[한나라당]] 부총재[br][[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최고위원[br]제10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2 ([[참여정부]])}}}[br]제15~16대 [[한국야구위원회/역대 총재|KBO 총재]][br][[대통합민주신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최고고문[br][[통합민주당]] 상임고문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7선 의원, 해양수산부 장관, 15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 등을 역임한 인물로 대중들에게는 전직 [[한국야구위원회]] 총재로 알려져 있다. [[신달수]] 전 국회의원은 작은아버지이다. == 생애 == === 정치계 입문 전 === 1937년 5월 20일 경상남도 양산군(現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 556번지에서 아버지 신인수(辛寅洙, 1915 ~ 1962. 2. 15)와 어머니 [[김해 김씨]] 김성란(金成蘭, 1900 ~ 1987. 4. 15) 사이에서 두 아들 중 장남으로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99&contents_id=GC04215722|태어났다]]. 부산사범학교부속국민학교(現 부산 화랑초등학교)[* [[구자경(기업인)|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이 교사일 때 그의 제자였다.], [[개성고등학교|부산상업고등학교]](43회), [[고려대학교 정경대학|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정경학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재학 중이던 [[1960년]] [[이기택]][* 고려대학교뿐만 아니라 부산상업고등학교(現 [[개성고등학교]]) 동기동창이기도 하였다.]과 함께 [[4.19 혁명]]을 주도하였다. 그 뒤 약 10년 동안 [[부산일보]] 정치부 기자로 재직하였다. === 정치 활동 === ==== [[신민당(1967년)|신민당]] ====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민당(1967년)|신민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하였고, 그 선거에서 경상남도 동래군-양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국회의원인 [[민주공화당]] [[노재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0월 유신]]으로 이뤄진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양산군-[[김해시|김해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김영병]]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이후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김택수(1926)|김택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초창기에는 [[김영삼]]의 비서를 지냈지만 [[10월 유신]] 이후에는 [[신도환]] 계보인 신우회에 속하였다. 그리고 김영삼이 신민당 총재로 있을 때의 지도노선 등을 비판하여 왔다. ==== [[민주한국당]]의 가짜 실세 ==== [[1980년]] [[전두환]]의 신군부가 집권하고 나서도 정치규제를 당하지 않았다. 정치계에서 별다른 두각을 나타내지 않아서 그랬던 것. 이듬해인 [[1981년]] [[구색정당|관제 야당]]인 [[민주한국당]] 소속으로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장성만]] 후보와 '''무투표'''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농촌지역 선거구 관리가 도시지역 선거구 관리보다 어렵다는 점, 당 사무총장으로서 당 운영에 좀 더 많은 힘을 쏟아야 한다는 점, 어릴 적 양산에서 부산으로 이주하였던 점, 양산 출신인 [[민주정의당]] [[이재우]] 후보가 출마할 예정이라는 점 등을 이유로 신설 선거구인 부산직할시 [[북구(부산)|북구]]에 출마하였다. 사무총장을 거쳐 [[1985년]] 민주한국당 부총재로 사실상 [[유치송]]을 대신할 수 있는 막후 실세나 다름없었다. 그러다가 그 해 2월 [[제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으로부터 [[신한민주당]] 입당을 제의받았다. 그러나 [[국가안전기획부]] 서울[[분실]]장 방준필의 협박으로 인해 김영삼의 제의에 응하지 못하였다. 만일 민주한국당을 탈당하면 구속시켜 버리겠다는 경고를 받았다고.[*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 드라마]]에 의하면 방준필은 '''"우린 이 세상 누구라도 만신창이로 만들 수 있습니다. [[국가안전기획부|우리가]] [[보안사|동원할 수]] [[군사경찰|있는]] [[검찰|공권력은]] [[경찰|아주 많습니다]]. [[멸족|의원님은 물론 사돈에 팔촌까지]] 훗, 약점은 만들면 되는거 아니겠소?"'''라는 섬뜩한 말을 곁들여가며 협박했다고.] 특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2&aid=0000285619|숙부인 신달수 경남버스 사장의 사업까지도 방해하겠다는 협박을 받았다]][* 정작 [[신달수]]는 전두환 정권 당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자문위원이었음에도 [[이철승]]과의 인연으로 신한민주당 전국구 1번 국회의원이 되었다.]. 결국 신한민주당 돌풍으로 인해 득표율 3위[* 당시는 [[중선거구제]]라서 2위까지 당선되었다. 득표율은 1위 [[민주정의당]] [[장성만]] 후보, 2위 [[신한민주당]] [[문정수]] 후보.]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하였다. 그리고 나서야 어느 정도 국가안전기획부로부터 자유로워졌고 민주한국당을 탈당하여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다. 어쨌거나 민주한국당에 있었던 이력 때문에 상도동계에서도 비주류에 속했다. --방준필 때문에 본전도 못 건졌다-- 그래도 [[김영삼|문민정부]]시절에 1980년대 당시 안기부 사실상의 공천명단을 넘겨주었고 그에 따랐을 뿐이라는 사실을 고백하는 등의 반성행보를 보였다. 1986년 민주한국당 시절을 회고하고 참회하는 '''고독한 증언'''이란 책을 저술하였다. ==== 보수 본류 ==== [[1987년]]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김영삼의 [[통일민주당]]에 참여하였다. 이듬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990년]]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이 창당되는 이른바 [[3당 합당]]이 일어나자 이에 동참해 민주자유당 소속 정치인이 되었다. 합당에 반대한 소수파 [[김정길(1945)|김정길]]/[[노무현]]과 행보를 달리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계속 YS계, 속칭 (통일)민주계로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그렇게 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 계보로 당직으로는 부총재, 행정직으로는 [[https://www.mof.go.kr/content/view.do?menuKey=418&contentKey=276|초대]] [[해양수산부장관]](임기 1996. 8. 8 ~ 1997. 8. 6), 국회에서는 부의장[* 사실 여소야대에 야당 중 오세응과 더불어 최다선(7선)이었지만 [[자유민주연합]]의 [[박준규(1925)|박준규]](9선) 의원이 여당 의원으로서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을 맡으면서 제15대 국회 후반기 부의장(98~00)에 그친 것이었다.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6008|#]] 사실 정권도 바뀐 마당에 [[김대중]]과 [[새정치국민회의]]가 미쳤다고 국회의장을 내줬겠냐만은..]을 지내는 등 보수정당 내 민주계의 실질적 수장으로서 영달을 누렸다. ====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의 실패와 [[노무현]] 지지 ==== 그러나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회창]] 후보에 의하여 공천에서 탈락했다. [* 이는 3김시대를 정리하고 국민들에게 신선함을 줘야 한다는 [[윤여준]] 선거대책위원회 상임부본부장의 주장에 힘입은 것이다.] 그러자 왕년의 고등학교, 대학교, 정치 동지이자 [[통합민주당(1995년)|꼬마민주당]]계의 수장이었던 [[이기택]], 민정계이자 왕년의 라이벌(...) [[김윤환(1932)|김윤환]]과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을 창당하였다. 그리고 본인은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권철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2월 19일에 [[이기택]]을 만난 자리에서 [[담배]]를 피우며 신당 창당에 대해 말하기를, '''[[https://imnews.imbc.com/replay/2000/nwdesk/article/1858944_30735.html|"한 가지 대한민국이 좋다고 느끼는 거는, 정당 창당에 대해 특허낸게 없으니까."(1:30 부터)]]'''][* 원래 권철현이 사상구 갑. 신상우가 사상구 을을 나눠먹고 있었는데, 인구기준에 미달해서 선거구가 통합되었고, 그 과정에서 당 지도부가 상대적으로 젊고 신선한 권철현을 밀어주면서 한나라당 공천에서 떨어졌다.] 이후 다른 여러 보수정치인들과 다른 행보를 보여, [[2001년]] 9월, 자신의 고교(부산상업고등학교) 후배이자 통일민주당에서 한솥밥을 먹었던[* 인연이 하나 더 있다면 초대 [[해양수산부장관]]으로서도 선배이기도 하다.] 노무현의 [[제16대 대통령 선거]] 출마 소식을 듣고 그의 부산지역 후원회장을 맡았다. 당시 그의 형편을 생각하면 신상우의 보는 눈, 즉 정치적 감각은 비슷한 연배의 거물들 중 탁월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자신을 내친 [[이회창]]에 대한 복수심이었을 가능성도 높다. 부산 출신인 [[이기택]]도 비슷한 행보를 보였다. 다만 이기택의 경우 이후에는 이후 참여정부의 실정을 보고 지지철회하여 이명박을 도왔고, [[이명박]] 정부에서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을 맡았다. [[2000년]]에 같이 팽당했던 민정계의 대표주자 [[김윤환(1932)|김윤환]] 역시 이회창에 대한 복수심에 불타 '영남 후보론'을 구상했으나 건강 악화로 대선 무렵에는 활동을 거의 하지 못했고 이회창이 낙선한 것을 지켜본 후 이듬해 가을에 숨을 거둔다.] [[2002년]] 노무현이 경선 승리를 거쳐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문민정부 때보다도 더 강력한 원로가 된 신상우는, 심지어 [[참여정부]]의 유력한 초대 [[국정원장]][[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71160|#]][* 설왕설래 끝에 [[고영구]] 원장으로 결정되었다. 야당의 반발을 살까 두려워 막판 철회가 된 건데, 사실 두 사람은 절친했으며 [[https://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60|# 이런]] 인연이 있었다.]으로 거론 되었으며, 이듬해인 [[2003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을 맡았다.[* 참고로 의장은 대통령이다.] 장관급의 꽤 괜찮은 간판을 얻은 셈이었다.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에서 물러난 후에는 [[열린우리당]] 상임고문을 맡았다. [[2005년]] 김영삼 전 대통령이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전화로 병문안을 하는 데 동교동계 정치인들과 함께 막후에 힘을 쏟았다. 이후 [[대통합민주신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최고고문[* [[https://www.mediawatch.kr/mobile/article.html?no=182992|#]]],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상임고문을 맡았다. === [[KBO/역대 총재|한국야구위원회 총재]] === [[2005년]] 말,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에 내정되었으며, [[2006년]] 1월 취임하였다. 참여정부 임기를 불과 2년 남짓 앞둔 시점에서 참여정부의 실세 정치인이 --비록 퇴직 직업이긴 하지만-- KBO 총재에 취임하는 것은 전형적인 [[낙하산 인사|낙하산 보은 인사]]라는 비난이 많았으나, 신상우 총재는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일본]], [[미국]] 등을 꺾는 등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정치적 수완을 발휘해 선수들의 [[병역특례]]라는 성과를 내면서 [[논란]]을 잠재웠다. [[2008년]] 시즌에는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500만 관중 돌파 등 프로야구의 중흥기를 가져오는 등 운이 좋은 시대를 보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그는 안팎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한다. [[현대 유니콘스]]의 해체 이후 제8구단의 창단을 둘러싼 과정에서 미숙한 대응과 [[서울 히어로즈]]의 창단 과정에서 매끄럽지 못한 일처리, 히어로즈 [[장원삼]] 투수의 [[삼성 라이온즈]]로의 현금 [[트레이드]] 논란, 일부 프로야구 선수들의 도박 파문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하일성]] 사무총장과 더불어 [[비난]]을 받았다. 결국 2008년 12월, KBO 총재를 [[사퇴]]하게 된다. === 사망 === [[2012년]] [[1월 26일]] 74세에 [[간암]]으로 사망했다. == 여담 == [[한국여자프로농구]](한국여자농구연맹;WKBL)의 [[김원길]] 총재와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막판에 자신이 있었던 정당에 반대되는 후보를 지지한 점, 은퇴 후 스포츠 인사로 갔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단 김원길 총재의 경우 이회창 후보를 지지해 이후 정계 은퇴로 내몰린 상황에서 스포츠 인사로 훌륭한 성과를 남긴 반면, 신상우 총재는 정치적으로나 스포츠 쪽으로나 모두 '영전'되어 성공했으나 마지막에는 사퇴로 쓴 뒷맛을 보게 되었다. 군사정권 때문에 정치판이 독재 대 반독재, 민주 대 반민주의 극단으로 흐른 채 지속되고 있다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2&aid=0000005255|비판하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CFA547 연도}}} || {{{#CFA547 선거 종류}}} || {{{#CFA547 선거구}}} || {{{#CFA547 소속 정당}}} || {{{#CFA547 득표수 (득표율)}}} || {{{#CFA547 당선 여부}}} || {{{#CFA547 비고}}}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14[* 양산군, 동래군] ||<|3>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5,218 (51.87%)''' ||<|2> '''당선 (1위)''' || '''초선'''[* [[10월 유신]]으로 인해 자격정지]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2> 경남 7[* 김해군, 양산군] || '''34,555 (38.23%)''' || '''재선'''[* [[민주공화당]] [[김영병]] 후보와 동반 당선]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38,343 (29.42%)''' || '''당선 (2위)''' || '''3선'''[* [[민주공화당]] [[김택수(1926)|김택수]] 후보와 동반 당선]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2> 부산 6[* 북구] ||<|2> [include(틀:민주한국당)] || '''무투표 당선''' || '''당선''' || '''4선'''[* [[민주정의당]] [[장성만]] 후보와 동반 당선]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48,893 (23.86%) || 낙선 (3위) ||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2> 부산 [[북구 을(부산)|북 을]] || [include(틀:통일민주당)] || '''66,709 (62.48%)''' ||<|3> '''당선 (1위)''' || '''5선'''[* 1990.1.22 [[3당 합당]]]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3,728 (56.15%)''' || '''6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사상구 을|사상 을]] || [include(틀:신한국당)] || '''26,255 (47.59%)''' || '''7선'''[* 2000.3.8 민주국민당 창당]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사상구(선거구)|사상]]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18,823 (17.85%) || 낙선 (2위) || || || {{{#CFA547,#CFA547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우8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우9대.jpg|width=100%]]}}} || || [[제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8대 총선}}}]] {{{#000000,#e5e5e5 (경남 14[* 양산군, 동래군])}}} || [[제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9대 총선}}}]] {{{#000000,#e5e5e5 (경남 7[* 김해군, 양산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우10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우11대.jpg|width=100%]]}}} ||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0대 총선}}}]] {{{#000000,#e5e5e5 (경남 7[* 김해군, 양산군])}}}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1대 총선}}}]] {{{#000000,#e5e5e5 (부산 6[* 북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우12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우13대.jpg|width=100%]]}}} ||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2대 총선}}}]] {{{#000000,#e5e5e5 (부산 6[* 북구])}}}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3대 총선}}}]] [[북구 을(부산)|{{{#000000,#e5e5e5 (부산 북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우14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우15대.jpg|width=100%]]}}}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4대 총선}}}]] [[북구 을(부산)|{{{#000000,#fff (부산 북구 을)}}}]]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5대 총선}}}]] [[사상구 을|{{{#000000,#fff (부산 사상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상우16대.jpg|width=100%]]}}} ||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6대 총선}}}]] [[사상구(선거구)|{{{#000000,#fff (부산 사상구)}}}]] || ||}}}}}}}}} || == 소속 정당 == || '''{{{#ffc224,#db9e00 소속}}}''' || '''{{{#ffc224,#db9e00 기간}}}''' || '''{{{#ffc224,#db9e00 비고}}}'''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71 - 1980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80 - 1981 || 정당 해산 || || [include(틀:민주한국당)] || 1981 - 1985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85 || 탈당[* [[신한민주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신한민주당)] || 1985 - 198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87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987 - 1990 || 창당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0 - 1995 || 합당[*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5 - 1997 || 당명 변경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2000 || 합당[*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0 || 탈당[*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2000 - 2001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1 - 2002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2 - 2003 || 입당[* [[노무현]] 대통령 후보 지지 선언.]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0 - 2012 || 탈당[br]정계 은퇴[br]사망 ||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 [[KBO/역대 총재]] * [[고려대학교/출신 인물]] == 둘러보기 == [include(틀:문민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제8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9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0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1대 국회의원/부산직할시)] [include(틀:제13대 국회의원/부산직할시)]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 국회부의장]][[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1937년 출생]][[분류:2012년 사망]][[분류:2010년 은퇴]][[분류:영산 신씨]][[분류:KBO 총재]][[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양산시 출신 인물]][[분류:개성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제8대 국회의원]][[분류:제9대 국회의원]][[분류:제10대 국회의원]][[분류:제11대 국회의원]][[분류:제13대 국회의원]][[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7년) 국회의원]][[분류:민주한국당 국회의원]][[분류:통일민주당 국회의원]][[분류:민주자유당 국회의원]][[분류:신한국당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민주국민당(2000년) 국회의원]][[분류:해양수산부 장관]][[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간암으로 죽은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