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연천군의 읍면)] ||<-2> '''[[연천군|{{{#000000,#dddddd 연천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신서면}}}'''[br]新西面 | Sinseo-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연천군 신서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연천군]] || || '''행정표준코드''' || 4140036 || || '''관할 법정리''' || 10리 || || '''하위 행정구역''' || 8행정리 68반 || || '''면적''' || 147.78㎢ || || '''인구''' || 2,497명[* 2023년 9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7.6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동두천시·연천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성원(정치인)|김성원]] ,,(재선),, || ||<-2> '''경기도의원 | 연천군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윤종영 ,,(초선),, || ||<-2> '''연천군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영철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심상금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재구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연신로 1130 (도신리 285-2) || || [[https://www.yeoncheon.go.kr/town/contents.do?key=4148|신서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연천군]] 최북단에 위치한 [[면(행정구역)|면]]. 남동쪽으로 [[포천시]] [[포천시/행정#s-3.1|관인면]], 북동쪽으로 [[철원군]] [[철원읍]], 남쪽으로 연천군 [[연천읍]], 남서쪽으로 연천군 [[중면]], 북서쪽으로는 [[군사분계선]]과 맞닿아 있다. 경기도 최북단인 연천군의 최북단 지역이라, '''경기도의 [[읍(행정구역)|읍]]/면/[[동(행정구역)|동]] 중 최북단 지역'''이다. 원래 경기도 삭녕군이 경기도 최북단이었으며 실제로도 몇몇 [[리(행정구역)|리]]들이 과거 [[삭녕군]]이었던 곳이다.[* 현재 옛 삭녕군 최북단은 옛 삭녕군이 [[군사분계선|휴전선]]으로 인해 잘려서 [[북한]]으로 넘어가 버렸다.] 반대로 경기도의 최남단 지역은 [[안성시]] [[안성시/행정#s-1.6|서운면]]. == 연혁 == * [[고구려]]: 소읍두현(所邑豆縣) * [[조선시대]]: 경기도 삭녕군 동면, 강원도 철원군 신서면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철원군 신서면으로 개편되었다. * [[1896년]] [[8월 4일]]: 강원도 철원군 신서면으로 개편되었다. * [[1914년]] [[4월 1일]]: 10리를 5리로 개편하였다.(대광리, 도신리, 내산리, 마전리, 답곡리) *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아갔다. *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철원군 신서면이 수복되었다. * [[1954년]] [[11월 17일]]: 철원군 인목면의 [[수복지구]](승양·도밀·갈현·덕산·신현리)를 편입하였다. * [[1963년]] [[1월 1일]]: 강원도 철원군 신서면이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되었다. 원래는 옆 동네인 [[강원도]] [[철원군]][* '신서(西)면'이라는 이름 자체가 과거 철원군 시절의 서쪽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그리고 그 당시 철원군의 중심은 당연히 현 철원읍이다.]에 속했지만, [[6.25 전쟁]] 이후에 철원으로 가는 길([[3번 국도]])이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으로 막히면서[* 물론, 지금은 민통선이 북상하면서 철원읍 대마사거리까지 규제 없이 갈 수 있다.] [[월경지#s-4|실질월경지]]가 되면서 1963년에 연천군으로 편입되었다. 참고로, 군사분계선에 인접해 있는 갈현리·덕산리·도밀리·승양리·신현리는 원래 경기도 삭녕군 인목면 소속으로 1914년에 강원도 철원군에 편입되었고, 1954년에 신서면으로 흡수되어 사라졌다. 참고로 현재 갈현리·덕산리·도밀리·신현리는 죄다 민통선 안으로 들어가버렸고 승양리만 유일하게 민통선 밖에 있다. == 하위 행정구역 == ||<#2350a9> {{{#ffffff '''법정리'''}}} ||<#2350a9> {{{#ffffff '''행정리'''}}} || || 내산리 || 내산리 || || 대광리 || 대광1~2리 || || 도신리[* 면소재지] || 도신1~5리 || === 거주 인구가 없는 리 === * 마전리(馬田里)[*A 옛 삭녕군][* =승양리] * 답곡리(畓谷里) * 도밀리(道密里)[*A] * 갈현리(葛峴里)[*A] * 덕산리(德山里)[*A] * 신현리(薪峴里)[*A] == 행정복지센터 안내 == * 총무팀 * 맞춤형복지팀 * 민원팀 * 산업팀 == 관공서 == * [[연천경찰서]] 신서파출소 * [[연천소방서]] 신서119지역대 * 신서보건지소 * 연천농협 신서지점 == 교육기관 == * [[대광초중학교]] == 교통 == * [[경원선]][*임시중단 [[2019년]] [[4월 1일]]부터 [[경원선]] [[동두천역|동두천]]~[[연천역|연천]] 구간 전철화 공사로 인해 [[2021년]]까지 임시적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 [[대광리역]] * [[신탄리역]] * [[경원선 대체운송버스]][* 직행 : 14회, 완행 : 22회] * [[연천 버스 37|37-1번 버스]] (연천역~대광리)[* 4회 운행] * [[연천 버스 39-2|39-2번 버스]] (신탄리~동두천역) * [[연천 버스 39-8|39-8번 버스]] (전곡~내산리)[* 5회 운행] * [[연천 버스 G2001|G2001번 버스]] (신탄리~도봉산역)[* 하루 24회 운행] == 관광 == * 역고드름 * [[고대산]] * 열쇠전망대 * 고대산캠핑리조트 * 고대산 자연휴양림 == 여담 == * [[제5보병사단]] 36여단과 27여단이 주로 주둔해 있는 곳이며, 대부분 주민들도 3번 국도 근처에 모여서 살고 있기 때문에, 교통도 잘 통하는 곳이라 이 곳에서도 인생의 단맛과 쓴맛을 다 볼 수 있다. * 신서면 대부분이 산지이지만, 그 중 내산리는 완벽한 산골짜기 자체로 산세가 험하여 공기의 순환이 방해되어 안팎의 온도가 정말로 다르다. 내산리 쪽은 경관과 계곡이 상당히 좋고 시원하기 때문에[* 하지만 [[군인]]은 그런 거 없다. [[유격 훈련]] 날짜 잘못 잡히면, 이 곳에서 물장구치며 노는 사람들을 보면서 입에서 온갖 단내를 머금으며 유격장으로 행군을 하는 경우도 있다.] [[여름]]철이 되면 의외로 피서를 오는 사람이 많다. 다만, 산 속에 [[살쾡이]]에서부터 [[들개]], [[멧돼지]]가 많으므로 [[나물]] 캐겠다고 길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주의.[* 실제로 한 주민이 나물 캐러 산속으로 들어갔다가 사망한 일이 벌어졌고, 군인들 중에서도 멧돼지 등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많다. 대표적으로 민통선 안으로 나물 캐러 온 민간인 쫓아내러고, 빈 총을 들고 갔다가 새끼가 딸린 멧돼지에게 쫓겨 인생 종칠 뻔한 사례도 있었다(...).] 또한 예나 지금이나 민통선이 많이 있고, 군사 지역이라 '''[[지뢰]]'''가 도처에 깔려 있으니 역시 조심해야 한다. 게다가 민통선 앞에 있는 지역의 산에는 유실되거나 매립된 지뢰가 있을지도 모른다. * [[1990년대]]까지는 제5보병사단의 [[위수지역]]이 면내였기 때문에 주말만 되면 많은 군인들이 길거리를 지나다닐 정도로 번성했지만, 이후 위수지역이 남쪽의 [[전곡읍]]까지 확대되자 군인들도 전곡읍으로 나가게 되면서 신서면은 점차 군인들의 인적이 끊기게 되었고, 당시까지만 해도 군인들을 상대로 하는 장사가 주류였던 지역 특성상 인구 유출이 심각해질 수밖에 없었다. [[2020년대]]인 지금은 리즈 시절의 1/3로 인구가 줄어 한 집 건너 하나가 빈 집일 정도이며, 빈곤층 비율도 연천의 다른 읍/면에 비해 높은 편이다. *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해 [[2014년]]을 기점으로 면의 북부인 신탄리 지역을 중심으로 인근의 고대산 개발과 마을 재건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독립 야구단인 [[연천 미라클]]도 이곳이 연고이고 야구장과 캠핑, 글램핑장도 꽤 잘 꾸며놓았다. 고대산 관광지구는 경원선 신탄리역에서 걸어서 10분도 안 걸리고 자동차로는 3번 국도 철원 방면으로 쭉 따라오면 한큐에 올 수 있으며, [[동두천역]]에서 20분마다 한 대씩 있는 39-2번 버스를 타면 환승 없이 올 수 있는 등 교통도 좋은 편이다. 만약 고대산을 올라간다면, 2코스와 3코스로 등산/하산하는 것이 좋다. 1코스는 딱히 볼 것이 없으며 2코스는 칼바위, 3코스는 표범폭포가 볼거리다. 그리고 고대산은 소요산과 달리 등산객도 거의 없어 혼자 조용히 등산가기에도 좋다. * 대광리의 구 5사단 신교대 자리에 [[국립서울현충원|서울]], [[국립대전현충원|대전]]에 이어 [[국립연천현충원|제3현충원]]을 유치해 [[2022년]]부터 공사에 들어가 [[2025년]]경에 완공할 예정이다.[* [[서울특별시|서울]]과 [[대전광역시|대전]] 현충원, 그리고 [[국립호국원]] 문서에도 나오지만, 현재는 다수의 묘역들이 만장이 된 상태라 더 넣을 곳이 없다고 한다. 물론 일부 지방에 소재한 [[국립산청호국원|호국원]]은 여유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포화 상태이다. [[국립현충원]] 문서의 논란 문단의 마지막에 나온 것처럼, 급에 따른 묘역 차이로 인해서 부족한 것이 원인이기는 하다.] * 연천 최북단이기도 하고 산지라서 그런지 이곳에서 연천 역대 비공식 최저 기온이 관측되었는데, [[2001년]] [[1월 15일]]에 '''-31.4℃,''' [[1월 16일]]에 '''-31.5℃'''가 기록되었다. 또한 [[2017년]] [[12월 27일]] -29.8℃가 기록되었고[* 당시 한 장병이 초소 경비를 서고 있었는데 너무 추웠다고...], [[2018년]] [[1월 26일]]에는 -27.3℃가 기록되기도 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연천군/행정, version=295)][[분류:연천군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