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서유기 시리즈(영화))] ||<-2> {{{#db2412 '''{{{+2 신서유기}}}'''(1982)[br]新西遊記 | ''New Pilgrims to the Wes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서유기(대만).png]]}}} || ||<-2> 대만판 포스터[* 포스터 상단에 "71年"은 대만 연호인 [[민국기년|민국]] 71년, 즉 1982년을 뜻한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한국판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서유기(1982).jpg]]}}} ||}}}}}}}}} || || '''감독''' ||천쥔량 (陳俊良) || || '''제작''' ||진창량 (金長樑) || || '''각본''' ||야오칭캉 (姚慶康) || || '''특수효과''' ||하두 (哈都) || || '''촬영''' ||쉬바오취안 (許寶全), 랴오칭쑹 (廖慶松) || || '''편집''' ||장황슝 (江煌雄) || || '''기획''' ||린진팡 (林金芳), 저우쑹린(周松林) || || '''음악''' ||황마오산 (黃茂山) || || '''출연''' ||류상첸 (劉尙謙), 량슈선 (梁修身), 양후이산 (楊惠姗), 마오잉 (茅瑛) || || '''개봉일''' ||[[대만|[[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1982년 2월 4일[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1990년 7월 21일 || || '''관객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8,068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전 소설 [[서유기]]를 원작으로 하는 1982년작 대만 영화다. 이 영화의 속편으로 한국·대만 합작으로 [[신서유기 손오공대전비인]](대만 제목은 '新西遊記續集 孫悟空大戰飛人國')이 제작되어 1983년 한국 국산 영화 흥행 1위에 올랐다. 국내에는 80년대 삼성(삼화비디오)에서 비디오로 출시되었다가(화질은...) 신서유기 손오공대전비인의 흥행덕분에 1990년 7월 21일 수색극장 등 중소상영관에서 뒤늦게 더빙판이 개봉하여 8,068명의 관객을 모았다. 이후 대영팬더에서도 비디오로 출시되었다. == 줄거리 == 2천년 전 중국, [[화과산]]에 사는 [[손오공]]이라는 돌원숭이는 꾀가 많고 72가지의 재주를 피운다. 손오공은 자신의 재주를 이용해 동해 [[용궁]]에서 훔쳐온 [[여의봉]]을 가지고 스스로를 [[제천대성]]이라고 칭하면서 천궁으로 쳐들어온다. [[옥황상제]]께서는 그를 잡도록 명한다. 한편 [[당나라]] [[태종(당)|태종]]은 [[불교]] 전파를 위하여 [[삼장법사]]에게 [[서역]]에 가서 [[불경]]을 가져오도록 명한다. 그해 9월 삼장법사는 서역을 향해 떠나게 되었다.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은 그를 수행하여 서역까지의 여행을 하면 천신만고를 겪게 되는데... == 출연진 == * 류상첸(劉尙謙) - [[손오공]] 역 * 량슈선(梁修身) - [[삼장법사]] 역 * 팡싼(胖三) - [[저팔계]] 역 * 팡정(方正) - [[사오정]] 역 * 천관타이(陳觀泰) - [[우마왕]] 역 * 양후이산(楊惠姗) - 철선공주 역 * 첸더먼(乾德門) - [[금각대왕]] 역 * 천쑹융(陳松勇) - [[은각대왕]] 역 * 마오잉(茅瑛) - 여우 요괴 역 [[분류:1982년 영화]][[분류:대만의 모험 영화]][[분류:연소자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