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Mystical-Beast-Serket.jpg]] || 한글판 명칭 ||<-4>'''신성한 몬스터 셀케트'''|| || 일어판 명칭 ||<-4>'''[ruby(聖獣, ruby=せいじゅう)]セルケト'''|| || 영어판 명칭 ||<-4>'''Mystical Beast Serket'''|| ||<-5> 의식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불명 || 땅 || 천사족 || 2500 || ? || ||<-5>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으며, "영혼을 봉인한 성배" 또는 "셀케트의 문장"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의 절반만큼 올린다. 이 카드로 제물소환 할경우, 이 카드 1장으로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했던 몬스터의 수 만큼의 제물로 할 수 있다.(추정) || [[파일:MysticalBeastSelket-JP-Manga-DM-NC-color.png]]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 [[리시드]]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사용. 그의 에이스 몬스터로, [[왕가의 신전]], [[리시드#셀케트의 문장|셀케트의 문장]], [[리시드#영혼을 봉인한 성배|영혼을 봉인한 성배]] 3장이 전부 갖춰진 뒤에 특수 소환되었다. 자세히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셀케트를 소환할 때 ''''특수한 의식 소환''''이라 언급한 걸 보면 원작에서는 의식 몬스터였던 듯.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 능력치의 절반을 흡수해버리는 효과를 통해 죠노우치의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 [[베이비 드래곤(유희왕)|베이비 드래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곤충 여왕]], [[전설의 어부]]. 이것들은 모두 죠노우치가 배틀시티에서 상대방을 이기고 받은 카드들인지라, 이 몬스터들이 차례로 잡아먹히자 죠노우치는 카드의 원본 주인들을 떠올리며 미안해했다.]을 차례차례로 잡아먹으며 공격력을 522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5825.]까지 상승시켰다. 더 이상 꺼낼 몬스터가 남지 않은 죠노우치를 '''그대로 직접 공격만 해도 승리할 수 있는''' 상황까지 갔지만, 정체가 탄로날 위기를 느낀 [[마리크 이슈타르]]의 지시에 따라 이 카드를 제물로 바쳐서 [[왕가의 신전]]에 모셔둔 복제 [[라의 익신룡]]을 소환하게 되었다. 공격력 강화 효과명은 '성수진화(聖獣進化)'.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효과 적용시 몸의 일부가 잡아먹은 몬스터의 것처럼 변하는 것으로 연출된다.[* 사이코 쇼커를 먹었을 때는 신체 앞부분이 인간의 상반신으로 변하고, 곤충 여왕을 먹었을 때는 등에 곤충의 날개가, 전설의 어부를 먹었을 때는 꼬리에 지느러미가 생긴다.] 모티브는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전갈의 여신 [[세르케트]]. 천사족인데도 오히려 곤충족에 가까운 외관도 전갈의 몸을 한 셀케트의 모습에서 따온 것.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MysticalBeastSerket-GB8-JP-VG.png]] || 한글판 명칭 ||<-4>'''신성한 몬스터 셀케트'''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聖獣, ruby=せいじゅう)]セルケト'''|| || 영어판 명칭 ||<-4>'''Mystical Beast Serket'''||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흙마족 || 천사족 || 2500 || 2000 || ||<-5>적의 필드의 몬스터 1장을 체내로 받아들이고, 파워업하는 효과를 가졌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부터 등장. 상대 필드에 가장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공격력 / 수비력을 500 포인트 올리는 기동 효과를 가졌다. 우수한 효과이긴 하지만, 레벨에 비해 높은 능력치 때문인지 투입 코스트가 높다는 것이 단점.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聖獣セルケト2.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신성한 몬스터 셀케트, 일어판 명칭=聖獣(せいじゅう)セルケト, 영어판 명칭=Mystical Beast of Serket, 레벨=6, 속성=땅, 종족=천사족, 공격력=2500, 수비력=200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왕가의 신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는 제외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제단의 성궤에 잠든 신을 수호하는 자... 신성한 몬스터 셀케트를 소환!"''' >---- >[[리시드(유희왕 듀얼링크스)|리시드]],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스테이터스는 그럭저럭 높지만 [[왕가의 신전]]이 없으면 자괴하는 치명적인 디메리트가 있다. 왕가의 신전은 서치할 수단이 많지 않아서 필드에 내는 것 자체가 고역이다. 차라리 서치 수단이 비교적 많은 [[진격의 제왕]]을 발동하고 어드밴스 소환해서 효과 파괴로부터 지키는 편이 나을 수도 있다.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를 제외하면서 공격력이 상승하는 우수한 효과를 지녔다. 그러나 효과가 정말 그것 뿐이라 크게 쓸모가 없다. 이 카드보다 전투 능력도 뛰어나면서 서치가 쉽거나 내성을 가진 몬스터가 한둘이 아니기 때문. 굳이 이 카드를 사용할 이유를 찾는다면 [[왕가의 신전]]의 특수 소환 효과 발동을 위해 필요하다는 점 정도이다. [[왕가의 신전]]이 금지 카드였던 시절에는 필드에 내는 것조차 어려웠다. [[스킬 드레인]]으로 효과를 무효로 하거나 상기의 진격의 제왕을 사용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야 겨우 사용이 가능했다. 효과만 두고 보았을 때 하위 호환으로 [[밀레니엄 스콜피온]]이 있다. 일러스트도 비슷한 편이고 저쪽은 레벨과 공격력이 더 낮고 전투로 몬스터 제외를 못하는 대신 자괴 효과는 없다. 원래의 카드명을 직역하자면 '성수 셀케트'가 되지만,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수록 당시부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대원방송]] 방영판의 번역을 반영했는지 '신성한 몬스터'라는 특이한 이름이 되었다. 그나마 유희왕에서 "聖獣" 라는 카드명을 포함한 것은 이 카드를 포함해서 5종 있는데, 그 중 4종은 이미 공식적으로 전부 "성수"로 번역되었다. ([[숲의 성수]]) 하지만 발매된 파라오의 기억편에서, 게임판에서와 같이 '''신성한 몬스터''' 셀케트로 번역되었다. == 관련 카드 == === [[왕가의 신전]]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왕가의 신전,version=124)] [[분류:유희왕/OCG/천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