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신영일}}}'''[br]'''申永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영일(독립운동가).jpg|width=100%]]}}} || || '''이명''' ||신영철(申永澈, 申永徹) || || '''본관''' ||[[평산 신씨]][* 34세 '''철(澈)''' 식(湜) 순(淳) 영(泳) 항렬.] || ||<|2> '''출생''' ||[[1880년]] [[11월 6일]] || ||[[평안도]] [[숙천군|숙천도호부]] 우상방 미남리[* 1896년 숙천군 우상면 미남리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평원군 숙천면 미남리 → 1952년 [[군면리 대폐합]], 숙천군 장흥리][br](현 [[평안남도]] [[숙천군]] 장흥리)[* 인근의 통덕리·백로리·도덕리와 함께 [[평산 신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신언준]]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사망''' ||미상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1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신영일은 1880년 11월 6일 평안도 숙천도호부 우상방 미남리(현 평안남도 숙천군 장흥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5년 [[하와이]]로 건너가 1년간 노동자로 일하다가, 이듬해인 1906년 [[미국]] 본토로 건너갔다. 1907년 4월 미주 공립협회(共立協會) [[샌프란시스코]]지방회(桑港地方會)에 신입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같은 해 12월 [[유타 주]] [[솔트레이크 시티]]로 이주하였으며, 1908년 11월 9일 솔트레이크 시티 지방회를 설립하고 서기로 활동하다가 1909년 1월 지방회 회장에 선임되었다. 그해 10월에는 아세아실업주식회사 발기인이 되어 취지서를 발표하였다. 이 회사는 공립협회가 [[블라디보스토크]] 등 [[연해주]] 지역에 독립군 기지 개척을 위한 재정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한 것이었다. 1910년 그는 대한인국민회 솔트레이크 시티 지방회 학무원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12월 '신영철'이라는 동명이인이 있어 '신영철'에서 '신영일'로 개명하였다. 이 즈음 [[캘리포니아 주]] [[새크라멘토]]로 이주하여 같은 달 27일 새크라멘토에서 [[흥사단]]에 입단하고 제124단우가 되었으며, 1924년와 1925년, 2년 연속으로 새크라멘토 지방회 학무원에 선임되었다. 이후 새크라멘토 지방회에서 1927년 실업부원, 1928년 학무원, 1929년 법무원을 역임한 뒤, 1931년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이후 [[양식당]] 사업 부진으로 폐업한 뒤에는 활동을 한동안 중단했다. 이후 1941년 공립협회 새크라멘토 지방회에 집행위원 겸 선전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41년 및 1942년 [[3.1절]] 기념식에서 각기 「독립운동사」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이 밖에도 1907년부터 1942년까지 수십 차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한 행적이 확인된다. 그러나 1942년 이후의 행적 및 그의 최후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201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1880년 출생]][[분류:평산 신씨]][[분류:숙천군 출신 인물]][[분류:몰년 미상]][[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