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청주 KB 스타즈/선수단)] ||<-2> '''W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 || '''{{{#000000 2022}}}'''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8b500 0%, #f8b500)" {{{+1 {{{#000000 '''청주 KB 스타즈 No. 40'''}}}}}}}}} || ||<-3> '''CHEONGJU KB STAR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layer_3_3.jpg|width=100%]]}}} || ||<-3> '''{{{+2 {{{#ffffff 신예영}}}}}}''' || ||<-2> {{{#000000 ''' 출생 ''' }}} ||[[2003년]] [[10월 26일]] ([age(2003-10-26)]세) || ||<-2> {{{#0000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000 ''' 출신지 ''' }}} ||[[서울특별시]] || ||<-2> {{{#000000 ''' 신체 ''' }}} ||173cm || ||<-2> {{{#000000 '''포지션''' }}} ||[[슈팅 가드]]|| ||<-2> {{{#000000 ''' 학력 ''' }}} ||[[선일초등학교(서울)]] {{{-2 (졸업)}}}[br][[숙명여자중학교]]{{{-2 (졸업)}}}[br][[숭의여자고등학교]] {{{-2 (전학)}}}[br][[선일여자고등학교]] {{{-2 (졸업)}}} || ||<-2> {{{#000000 ''' 프로 입단 ''' }}} ||[[2021-2022 WKBL 신입선수 선발회|2022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4순위, [[청주 KB 스타즈|청주 KB]])}}} || ||<-2> {{{#000000 ''' 소속 ''' }}} ||[[청주 KB 스타즈]] (2021~ ) || ||<-2> {{{#000000 ''' 응원가 ''' }}} ||[[소녀시대]] - [[소녀시대(음반)|소녀시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 선수 경력 == === 초중고 시절 === 초등학교 3학년 2학기에 선일초등학교로 전학을 가면서 농구를 시작하였고, 숭의여고 1학년 때까지 전국소년체전 3회 우승[* 고등학교 1학년 때 열린 전국체전에서는 동메달 획득]을 포함하여 총 14번의 전국 단위 대회 우승[* 서울시장기 대회 등은 제외]을 경험했다. 선일초 6학년 시절에는 선일초등학교의 전승전관왕을 이끈 포인트가드로, 숙명여중 시절에는 중학교 2학년 대회부터 3학년 전국소년체전까지 숙명여중의 전승전관왕을 이끈 슈팅가드로 맹활약을 했다. 그 중 초등학교 6학년 때 열린 제44회 전국소년체전과 중학교 3학년 때 열린 제47회 전국소년체전에서는 최우수상(MVP)를 수상하였고[* 동시대 활약한 선수 중 전국소년체전 MVP 2회 수상은 신예영 선수가 유일함] 숭의여고 1학년 당시 양쪽 발목 인대수술이라는 큰 수술을 받기 전까지 숭의여고의 2관왕(춘계, 연맹회장기)을 이끈 주역 중 한명으로 활약했다. 선일여고로 전학을 간 이후 발목 부상에 따른 재활을 위해 1년 가까이 쉬며 약간의 정체기를 가진 후, 헝가리에서 열린 U19 농구 월드컵 당시 출전 시간당 효율성(PER)[* Player Efficiency Rating(선수 효율성 지수) : 관련 문서 참조]에서 팀내 최상위권 활약을 펼쳤다. === 프로 시절 === 프로 드래프트 당시, 전문가들은 신예영 선수가 코트비전이 넓고, 볼핸들링과 스킬이 좋으며, 패스센스가 뛰어난 가드라는 평가를 했다. 나아가 가드이지만 실전에 바로 투입될 수 있을 정도로 힘이 좋다는 평가도 있었다. 그렇지만 슈팅 능력과 가드 치고 느린 기동력이 아킬레스건이다. 김완수 감독은 신예영 선수를 지명한 후 이어진 인터뷰에서 센터와의 2대2 플레이, 슛터를 찾는 능력(코트비전과 패스센스와 연결되는 듯함)이 좋은 가드라는 평가를 했다. [[2021년]] [[11월 11일]],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과의 원정경기에서 4쿼터 막판에 2분 48초간 출장[* 프로 데뷔전]하여 1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21년]] [[11월 21일]], [[부천 하나원큐]]와의 홈경기에서 7분 50초간 출장하여 프로 첫 [[3점슛]][* 중계진도 매우 놀랄 정도로 상당히 먼 거리에서 쏜 Deep 3] 포함, 5득점 1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22년]] [[3월 21일]], [[부천 하나원큐]]와의 원정경기에서 주전 라인업으로 32분 16초간 출장하여 16점 5리바 6어시 등 트리플더블급 활약을 하였다(경기 MVP 선정). 슈팅능력도 전보다 많이 향상된듯.[[https://sports.news.naver.com/basketball/vod/index?category=wkbl&tab=&listType=total&date=&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920279&page=1|이날 경기 활약상]] 2022년 박신자 컵에는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 [[허예은]]이 국대로 차출된 상태라 KB에선 1번으로 출정할 선수가 아무도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었다. 결국만 만 35세의 [[염윤아]]와 1번 포지션에 아직 적응하지 못한 신예영의 드래프트 동기 [[이혜주(농구선수)]]가 교대로 1번으로 경기에 나설 수 밖에 없었고, 심지어 부상으로 재활 중인 [[심성영]]까지도 만약을 위해 엔트리에 올릴 정도로 생고생할 수 밖에 없었다. 참고로 2022 박신자컵에서 KB는 신예영뿐만 아니라 [[박지수]]의 공황장애, [[김민정(농구)|김민정]]의 부상, [[강이슬]], [[김소담]] 국대 차출까지 겹쳐 감독인 [[김완수]]가 5대5 연습에 직접 뛰어야할 정도로 선수 부족에 시달렸다. === 국가대표 경력 === * 2021 FIBA U19 월드컵 13위 * 조별예선 첫 3경기에선 평균 8분 출장에 그쳤지만 예선 마지막 경기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심수현]]의 부상으로 이후 16강전부터는 많은 시간을 출장했다. * 특히 16강 말리[* 말리는 예선에서 강호 캐나다, 일본을 제압했고 8강에서 러시아까지 꺾은 돌풍의 주역으로 대회 최종 4위를 기록한 강팀]와의 경기에서는 14득점으로 팀내 최고 득점을 기록했고, 13-16위 결정전 아르헨티나전에서는 10득점으로 활약했다. [[http://basketkorea.com/news/newsview.php?ncode=1065622157944122|관련 기사]]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청주 KB 스타즈]] * [[PER(APBR메트릭스)]] [[분류:2003년 출생]][[분류:선일초등학교(서울) 출신]][[분류:숙명여자중학교 출신]][[분류:선일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농구 선수]][[분류:슈팅 가드]][[분류:2021년 데뷔]][[분류:청주 KB 스타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