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식 명칭 |||| 신용보증기금 여자 농구단 || || 창단 |||| 1982년 || || 해체 |||| 199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용보증기금]]에서 운영했던 여자 실업 농구단. == 역사 == 남자 농구단과 여자 농구단 중 고심하다가 당시 마지막 인기의 불꽃을 피우던 여자 농구단 창단을 결정했다. 직원 중에 농구 선수 출신에 많아서 창단 과정에서 사내 반발[* 실업 구단은 은퇴 후, 일반 직장인이 되기 때문에 사내에서 TO가 없거나 승진 문제로 반발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은 없었다고 한다. 정부 승인 과정을 거쳐서[* 신용보증기금은 중소기업이나 창업하는 기업에게 보증을 서는 공기업이다.] 1982공에 창단했다. 창단 당시 화제를 불러 일으켰는데 감독이 한국 여자 농구의 전설인 [[박신자]]였기 때문이다. 은퇴 후 [[주한미군]] 문관과 결혼, 미국으로 건너간 전설이 감독으로 귀환한 것이 화제를 불러 모았다. 그리고 코치인 [[이옥자]], [[주희봉]]도 모두 여자여서 최초로 여성만으로 구성된 코치진을 만들었다. 다만 실제 선수들이 같은 여자라고 남자 감독보다 덜 따랐다던가, 판정에서 불이익을 받은 적이 있었다고. 성적은 창단 초기에는 하위권이었지만 이후 1990년대 들어오면서 [[다크호스]] 수준까지는 됐다. 다만, 정상을 넘볼 정도로 강력한 전력을 구축하지는 못했는데 아무래도 [[공기업]]이다보니 스카우트 책정에서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1997년에서 1998년 사이, [[1997년 외환 위기]]를 이유로 여러 기업이 구단을 해체할 당시 '''결과적으로''' 구단을 해체했다. 다만 처음부터 해체할 생각은 아니었다. 금융단 계열 농구단 중에서 가장 먼저 [[한국여자프로농구]] 가입을 의결할 정도로 농구단 운영에 대한 의욕도 있었다. [[옥은희]]라는 괜찮은 센터를 보유한 신용보증기금 구단은 [[해체 드래프트]]에도 참여해 1순위를 확보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1순위로 당시 191cm의 장신 유망주 센터 정진경을 지명했다. 문제는 정진경이 신용보증기금 행을 거부하고 [[대만]]으로 떠났다는 점이었다. 일설에는 정진경과 당시 갓 창단한 [[부천 신세계 쿨캣|신세계]]의 비밀 계약설도 있다. 실제로 7년 뒤에 계약을 하기는 한다. 다만 그 시점에서 그런 계약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당시 정진경은 [[한국여자농구연맹]]로부터 5년간 자격 정지라는 중징계를 받았다. 하지만 이 일로 김이 샌 [[신용보증기금]]은 농구단 운용에 대해서 재검토를 했다. 여기에 [[재정경제부]]에서 금융권 [[구조조정]]을 고강도로 추진하면서 그에 대한 제스쳐가 필요했고 결국 농구단이 끝내 희생양이 된다. 외환 위기 와중에 해체한 농구단 중에 가장 늦은 1998년 7월 31일에 해체했다. 드래프트 불복 사건 때문에 해체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그 사건이 농구단 운용의 의지를 꺾은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만일 존속했다면 프로 리그는 처음부터 6구단으로 시작했을 것이다. 여러모로 좀 아쉬웠던 곳이었다. [[분류:신용보증기금]][[분류:대한민국의 해체한 농구단]][[분류:1982년 창단]][[분류:1998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