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조선 삼도수군통제사)] 申瀏 [[1619년]]([[광해군]] 11) ~ [[1680년]]([[숙종(조선)|숙종]] 6) [목차] == 개요 == [youtube(GAl_LM2imiI)] 조선 후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평산 신씨|평산]](平山)[* 제정공파 23세.]으로, 평산 신씨의 시조이자 [[고려]]의 개국 공신 [[신숭겸]]의 23대 후손이다. 주요 참여 전투는 [[나선정벌]]이 있으며 주요 서적은 [[북정일기]]가 있다. == 주요 행적 == 1619년 [[경상도]] [[인동(구미)|인동도호부]] [[약목면]] 복성리(현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 [[평산 신씨]] 집성촌이다.][* 이곳에 그의 이름을 딴 길이 있다.]에서 아버지 신우덕(申祐德, 1581 ~ 1663)[* 문헌에 따라 신우덕(申𣐞德) 또는 신우덕(申佑德)으로 표기되어 있기도 한다.]과 어머니 [[벽진 이씨]] 이정립(李廷立)의 딸 사이의 4형제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http://chilgok.grandculture.net/chilgok/toc/GC02300413|#]]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여러차례 문과에 응시 했으나 번번히 낙방하고 1645년([[인조]] 23) 무과에 급제해 1648년 선전관이 되었고 1650년 비변사 낭청직을 거쳐 1655년(효종 6년) 훈련원 부정 겸 내승이 되었다. 1656년 혜산진첨절제사로 나갔으며 이듬해 함경북도 병마우후(兵馬虞侯 : 종3품 무관)가 되었다. 이후 1658년 신류는 함경도의 총포수 250여 명을 거느리고 나선 정벌에 참전, 흑룡강까지 원정하여 큰 승리를 얻었다. 자세한 전투 기록은 [[나선정벌]] 문서 참고. 이후 나선 정벌 때의 공으로 가선대부에 올랐고, 이후 경상도 김해 부사를 지내고 1669년(현종 10년) 경상좌도 병마 절도사, 1674년(현종 15년) 황해도 병마 절도사를 지내면서 선정을 펼쳤고 그 영향으로 이듬해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되었다. 1677년(숙종 3년) 포도대장에 임명되었다가 1679년(숙종 5년) 역모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파직되었고 이후 1680년 고향으로 낙향하였다가 사망하였다. [[분류:조선의 무관]][[분류:칠곡군 출신 인물]][[분류:평산 신씨]][[분류:1619년 출생]][[분류:168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