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e5d85c ''' 역대 [[베니스 영화제|{{{#e5d85c 베니스 영화제}}}]] ''' }}} || ||<-5> [[파일:silverlion.png|width=180]] || ||<-5>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대상|{{{#e5d85c '''심사위원대상'''}}}]] || || ''' [[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7회]] [br] ([[2020년]]) ''' || {{{+1 → }}} || '''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8회]] [br] ([[2021년]]) ''' || {{{+1 → }}} || ''' [[제79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제79회]] [br] ([[2022년]]) ''' || ||<:> [[뉴 오더(영화)|뉴 오더]] ||<:> {{{+1 → }}} ||<:> '''신의 손''' ||<:> {{{+1 → }}} ||<:> 생토메르 || ||<#0C0000><-5><:>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b5b87 20%, #3578a4);" {{{#e0edf2 '''{{{+2 신의 손}}}''' (2021)[br]''The Hand of God[br]È stata la mano di Di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의 손 국내 포스터.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파일:thehandofgodposter.jpg|width=100%]]}}}}}} || || '''{{{#e0edf2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e0edf2 감독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올로 소렌티노]]}}} || || '''{{{#e0edf2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올로 소렌티노]], 로렌초 미엘리}}} || || '''{{{#ffffff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필리포 스코티, [[토니 세르빌로]],[br]테레사 사포난젤로, 루이자 라니에리,[br]레나토 카펜티에리, 마센밀라노 갈로,[br]말론 주베르, 베티 페드라치,[br]비아조 만나, 치로 카파노}}} || || '''{{{#ffffff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다리아 디안토니오}}} || || '''{{{#ffffff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크리스티아노 트라바클리올리}}} || || '''{{{#ffffff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카르미네 구아리노}}} || || '''{{{#ffffff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다니엘레 마치텔리}}} || || '''{{{#ffffff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리아노 투파노}}} || || '''{{{#ffffff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디 어파트먼트[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Regione Campania[br][[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35]] [[넷플릭스]]}}}|| || '''{{{#ffffff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35]] 넷플릭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GV]]}}} || || '''{{{#ffffff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베니스 국제 영화제|[[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21년]] [[9월 2일]][br][[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width=20]] [[2021년]] [[10월 9일]][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2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2월 1일]][* 제한 개봉.][br][[파일:넷플릭스 아이콘.svg|width=20]] [[2021년]] [[12월 15일]]}}} || || '''[[화면비율|{{{#ffffff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5 : 1}}} || || '''{{{#ffffff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30분}}} || || '''{{{#ffffff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1,669명}}} || || '''{{{#ffffff 독점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https://www.netflix.com/kr/title/81156325|▶]]}}}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국내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ffffff 해외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RATED_R.png|width=30]]}}} || [목차] [clearfix] == 개요 == >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대상|심사위원대상]](파올로 소렌티노), [[베니스 국제 영화제/마르첼로 마스트로얀니상|신인배우상]](필리포 스코티) 수상작 [[파올로 소렌티노]] 감독의 2021년 드라마 작품. 그의 데뷔 이후, 처음으로 그의 고향인 [[나폴리]]에서 촬영한 영화다. 또한 소렌티노 본인의 어린시절을 바탕으로 각본에 담아낸 자전적 영화이기도 하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FUVnhUsNws)]}}} || || {{{#fff '''▲ 공식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_1VW_0i6vo)]}}} || || {{{#fff '''▲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oT5G-l8RuU)]}}} || || {{{#fff '''▲ 국내 티저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네이버 영화]] ||
{{{#e0edf2 1980년대 이탈리아, 축구의 전설 [[디에고 마라도나|{{{#e0edf2 마라도나}}}]]가 [[SSC 나폴리|{{{#e0edf2 SSC 나폴리}}}]]단으로 이적할 것이라는 소식에 도시는 예수 강림이라도 기다리는 듯 술렁댄다. 첫사랑의 열병을 앓고 있는 파비에토는 평범한 집안의 둘째로, 내성적이고 감수성이 예민한 소년인 동시에 또래들처럼 축구광이기도 하다. 하지만 어느 날 거짓말처럼 찾아온 비극적 사건은 파비에토의 삶을 송두리째 뒤흔들고, 그는 남들보다 조금 먼저 가혹한 성년식을 치루게 된다. 소년 파비에토의 운명과 가족, 스포츠와 영화, 사랑과 상실에 관한 이야기.}}}|| == 영화 소개 == > '''신의 손'''은 아카데미 수상에 빛나는 《[[일 디보]]》, 《[[그레이트 뷰티]]》, 《[[영 포프]]》를 연출한 이탈리아 영화감독 및 각본가 [[파올로 소렌티노]]의 작품으로, 1980년대 격동의 시기를 거쳤던 [[나폴리]]에 살던 한 소년, 파비에토 스키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설의 축구선수 [[디에고 마라도나]]가 나폴리에 입성했다는 예상치 못한 기쁜 일과 소년이 겪게 될 예상치 못한 비극적인 사건까지 모두. 운명의 수레바퀴는 구르기 시작하고, 기쁨과 슬픔은 서로 얽혀들어가며 파비에토의 미래도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데뷔작 《엑스트라 맨》을 촬영한 이후로 20년만에 소렌티노 감독은 다시 그의 고향인 [[나폴리]]로 돌아간다. 그의 가장 개인적인 이야기를 그려내기 위해서. 운명과 가족, 스포츠와 시네마, 사랑과 상실에 관한 이야기를 그려내기 위해서. > ---- > 출처 - [[넷플릭스]] 영문 소개글의 번역 > [[페데리코 펠리니]]의 <아마코드>(1973)를 반추하게 만드는 파올로 소렌티노의 신작 <신의 손>은 그의 전작들과 확연하게 다르다. ''(중략)'' 한 인터뷰에서 소렌티노가 "운명과 가족, 스포츠와 영화, 사랑과 상실의 이야기"라고 밝힌 <신의 손>은 그의 데뷔작 <엑스트라 맨>(2001) 이후 20년 만에 감독의 고향인 나폴리로 돌아가 촬영한, 섬세하고 감명 깊은 자전적 영화다. > ---- >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램 노트 (서승희)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handofgodpost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 hand of god 85093_1000.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HandofGodPosterfinalbig5990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È-stata-la-mano-di-Dio-691x102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D7hm6DXIAI6Nba.jpg|width=100%]]}}} || == 등장인물 == * 필리포 스코티 - 파비에토 스키자 역 * [[토니 세르빌로]] - 사베리오 스키자 역 * 테레사 사포난젤로 - 마리오 스키자 역 * 루이자 라니에리 - 파트리지아 역 * 레나토 카펜티에리 - 알프레도 역 * 마센밀라노 갈로 - 프랑코 역 * 말론 주베르 - 마르키노 스키자 역 * 베티 페드라치 - 바로네사 포칼레 역 * 비아조 만나 - 아르만도 역 * 치로 카파노 - 안토니오 카푸아노 역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hand-of-god, critic=76, user=7.3)]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hand_of_god, tomato=83, popcorn=76)] [include(틀:평가/IMDb, code=tt12680684, user=7.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hand-of-god, user=3.8)]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85129, presse=3.6, spectateurs=3.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395871, user=7.5)]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79380, user=-)]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98741, user=3.7)]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99346,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07914,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53187, expert=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CGV, code=85093, egg=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e-stata-la-mano-di-dio-m100137712, critic=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없음)]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대상|심사위원대상]], [[베니스 국제 영화제/마르첼로 마스트로얀니상|신인배우상]] '''수상''' * [[골든 글로브]] 비영어작품상 후보 *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외국어영화상 후보 * [[유럽 영화상]] 작품, 감독, 각본상 후보 * [[BAFTA|영국 아카데미 시상식]](BAFTA) 비영어 작품, 캐스팅상 후보 *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아카데미 시상식]] 국제영화상 후보 == 기타 == * 제목에 나오는 '''신의 손'''(La mano di Dio)은 두 가지 의미를 나타낸다. 이탈리아에서 '[[기적]]'을 의미하는 '신의 손'과 흔히 축구에서 쓰이는 표현 '''[[신의 손]]'''. 이 단어의 중의적인 결합은 [[파올로 소렌티노]] 본인의 삶과 밀접하다고 볼 수 있다. [* 소렌티노는 '''[[신의 손#s-2.1|신의 손]]''' [[디에고 마라도나]]가 [[나폴리]]를 방문했을때에 부모님과의 휴가에 따라가는대신 마라도나를 보러 나갔고, 그 사이에 휴가를 갔던 소렌티노의 부모님은 가스 누출 사고로 사망하게 된다. 부모님을 사고로 떠나 보내야했지만 소렌티노가 살아남은 것은 마치 기적(신의 손)이라는 의미이기도하다.] * 한편, [[디에고 마라도나]]의 변호사는 영화의 제목을 신의 손(È stata la mano di Dio)으로 정한 것에 대해 마라도나의 별명을 허락없이 사용한 것에 대한 법적 권리를 주장했고, [[넷플릭스]] 측에서는 '신의 손'이란 소렌티노 본인의 인생에 영감을 받아 채택한 표현이라 일축했다. * 영화에서 언급되는 프랑코 제피렐리 감독은 [[올리비아 허시]]가 나온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유명하고 [[루키노 비스콘티]] 감독의 제자이기도 했다. 또, 대사에 나온대로 동성애자이다. * 영화 초반에 등장하는 산 젠나로(San Gennaro)는 나폴리의 수호 성인이고 어른 수도승으로 번역된 무나치엘로(Munaciello)는 나폴리 전설에 등장하는 요정이다. 이렇듯 현지 문화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이해가 더 쉽다. 그래서 그런지 베니스 영화제 공개 당시 영미권보단 유럽 비평가들의 반응이 더 좋았다. * 엔딩 크레딧에 나오는 곡은 80~90년대에 큰 인기를 얻었던 나폴리 출신 가수 피노 다니엘레가 부른 Napule È라는 곡이다. 나폴리를 찬양하는 곡이라 극에서 중요하게 쓰였는데 한국 넷플릭스에서는 가사 내용을 자막으로 보여주지 않았다. 2015년에 해당 가수가 사망하자 그를 기리며 나폴리 스타디오 산 파올로(현재 명칭은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에서 해당 곡을 합창하는 사람들의 모습 [[https://youtu.be/8yoar_oBwE4|영상]] * 감독의 전작들처럼 [[페데리코 펠리니]]의 영향이 강하다는 반응인데 특히 <아마코드>가 많이 언급된다. * 이탈리아의 작품으로써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 국제장편작품상 부문에 출품하였고 후보로 선정되었다. * [[로버트 드 니로]], [[제시카 차스테인]], [[매기 질렌할]]이 좋아하는 영화라고 밝혔다. [[분류:이탈리아의 드라마 영화]][[분류:2021년 영화]][[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