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1933년]] [[평안북도]] [[신의주시|신의주부]] [[비행장]]에서 여인의 [[시체]]가 발견된 사건. == 상세 == [[1933년]] [[4월 3일]] 오전 9시 신의주 비행장 서쪽 끝부분을 지나던 마전동의 홍순일(41)이 밭 가운데에 무언가가 [[외투]]로 덮어 있는 것을 보았다. 무엇인가 하고 외투를 들춰 보니 피투성이였고 그 밑에 여인의 변사체가 있었다. 놀란 홍순일은 즉각 [[일본 제국 경찰|경찰]]에 신고하였다. 신고를 받은 다케다 서장이 테즈카 부검의를 데리고 현장에 급히 달려갔다. 피해자는 치마끈으로 목을 졸린 상태인 데다 이마에도 상처가 나 있었다. 사체 주변에만 피가 흘러 있었고 허리에 발길로 찬 듯한 흔적이 있는데다가 밴드(허리띠?)의 [[셀룰로이드]] 고리가 파손된 것으로 보아 싸움을 한 것이 틀림없어 보였다. 부검 결과 대략 6시경에 피살되었으며 피해자는 [[숫처녀]]가 아니고 [[출산]] 경험이 있지만 살해 직전에는 [[성관계]]를 한 흔적이 없다는 점이 밝혀졌다. 하지만 피해자의 신원에 대해서는 도통 알 수가 없었다. 얼굴에 화장을 하고 있었고 의복 등으로 미루어 보아 평범한 [[유부녀]]는 아닐 것으로 추측되었지만 그뿐이었다. 이마에 상처를 입힌 흉기도 발견되지 않았다. 수사 결과 당일 저녁 피해자로 추정되는 여인이 양품점에서 [[내복]]을 샀다는 증언을 확보할 수 있었다. 다른 가게에서는 취급하지 않는 물건이라 거의 확실하며 '[[만주]]보다 값이 싸다'는 말을 하였기 때문에 피해자는 [[만주국]]에 다녀온 것이 아닌가 하는 추정을 할 수 있었다. 이후 [[4월 6일]]에 신원을 알아낼 수 있었다. 피해자는 [[평안북도]] [[용천군]] 대성면에서 주류판매업을 하던 서복도(35)로, 2일 오후 [[신의주시|신의주부]]의 영변[[여관]]에 투숙하여 저녁을 먹은 뒤 어떤 남자와 같이 같이 외출하였는데 이후 돌아오지 않았다. 그녀는 약 20일 전에 [[만주국]]에 다녀온 적이 있으며 2월에도 철산여관에 투숙한 뒤 남자와 술을 마신 적이 있다고 했다. 수사를 확대한 결과 당일 피해자가 회색 [[중절모]]에 검은 외투를 입은 20대 남성과 같이 '히노마루'라는 [[카페]]에 나타나 술을 마신 것이 목격되었다. 그러나 이후 살해되기까지의 여러 시간 동안의 행적은 전혀 파악되지 않았다. == 결과 == 4월 말 경찰은 수사 끝에 [[평안북도]] [[용천군]] 대인동에 거주하던 문지현(27)이 카페에서 피해자와 같이 술을 마셨던 점을 근거로 용의자로 지목했으나 그는 이미 잠적한 상황이었다. 이후 문지현이 [[관동주]] [[다롄]](大蓮)의 [[여관]]에 투숙 중이었음을 알아낸 경찰은 급히 형사를 파견하여 여관을 급습했으나 문지현은 수시간 전에 여관에서 도망간 뒤였다. [[4월 27일]] 문지현은 [[칭다오]]에서 체포되었다. 문지현은 재판에서 피해자와 술을 마신 후 미륵동의 친척집에 들렀다가 새벽에 비행장으로 끌고 나가 [[교살]]했음을 인정했다. 다만 살해 동기는 그녀가 다른 남자를 만나고 다니는 점에 격분해서였으며 재물을 빼앗기 위해서는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강도살인]]이 명백하다면서 범인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사건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일어났는데 범인이 체포되어 인도된 곳은 [[중화민국|중국]]이라는 사실이다. 즉 당시 [[일본 제국]]과 [[중화민국]]에서는 범인 인도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방증이다. 단 칭다오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군]]이 한때 점령했던 곳이라는 점이 영향을 끼쳤을 수도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살인사건/한국)] [[분류:문화 통치기/살인사건]][[분류:1933년 범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