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가평군 출신 인물]][[분류:1850년 출생]][[분류:1895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신재가}}}'''[br]'''申在嘉'''}}}}}} || ||<|2> '''출생''' ||[[1850년]] [[5월 5일]]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읍내 || ||<|2> '''사망''' ||[[1895년]] [[12월 22일]] || ||[[경기도]] [[가평군]] 보납산 || || '''이명''' ||신재희(申在熹) || || '''직업''' ||독립운동가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신재가는 1850년 5월 5일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읍내에서 태어났다. 그는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낭천현감(狼川縣監)을 지냈다.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이 발발하자, 그는 이충응(李忠應)‧이의신(李宜愼)과 함께 의병을 규합했고, 제천에서 거병한 [[유인석]] 의병장의 양주진(楊州陣)으로 재편되면서 운향관(運餉官)으로 활동하였다. 이때 가재를 털어 10석(石)을 군자금에 충당시켰다. 그러나 1895년 12월 22일 보납산 전투에서 적군에게 체포된 뒤 참수형에 처해졌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0년 신재가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2006년 그의 유해를 [[국립서울현충원]] 108실 151호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