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3300> '''{{{+1 {{{#white 신전뮤지엄}}}}}}[br] {{{#white Sinjeon museum}}}''' || |||| [[파일:신전뮤지엄.jpg|width=100%]] || ||||[include(틀:지도,장소=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로 신전뮤지엄,너비=100%,높이=200px)]|| ||<#CCC> '''{{{#000 종류}}}''' || [[박물관]] || ||<#CCC> '''{{{#000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관음로]] 43 (관음동) || ||<#CCC> '''{{{#000 개장}}}''' || [[2020년]] [[1월 17일]] || ||<#CCC> '''{{{#000 영업시간}}}''' || 수, 목, 금, 토, 일 오전 10시 ~ 오후 5시 30분 (티켓팅 마감 오후 4시 30분) || ||<#CCC> '''{{{#000 입장료}}}''' || 성인 1만원 / 청소년 8천원 / 어린이 7천원 || |||| [[http://sinjeon-museum.com/index.ph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우리는 꿈을 심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갑니다. '''신전뮤지엄''' [[신전떡볶이]]로 유명한 신전푸드시스에서 2019년 7월 17일 오랫동안 폐건물로 남아있던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관음동 [[홈에버]] 칠곡점[* 구 델타클럽 - [[까르푸/대한민국|까르푸]] - [[홈에버]].][* [[홈에버]]가 [[홈플러스]]에게 인수된 후 홈플러스 칠곡IC점으로 운영될 예정이었으나 기존 [[홈플러스 칠곡점]]과 상권이 중복 된다는 이유로 폐점되었다.]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2020년 1월 17일에 개관한 '''세계 최초 떡볶이 [[박물관]]'''. == 시설 안내 == [[파일:신전뮤지엄 안내.jpg]] 1층은 신전뮤지엄, 2층은 신전 떡볶이본사의 사무실이, 3층에는 킥보드를 탈 수 있는 야외 신전그라운드가 들어왔으며 개관 이후 신전떡볶이 본사가 박물관 내부로 입점하였다. 이외에도 기념품샵,카페, '''나만의 떡볶이 만들기'''체험시설 등이 들어왔으며 [[대구광역시]]의 관광자원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 [[선개통 후완공|선개관 후완공]] 논란 == ||[[파일:신전박물관 미완공.jpg|width=100%]] [[파일:신전사과문.jpg|width=100%]] [[파일:신전박물관사과.jpg|width=100%]] || 2020년 1월 17일 야심차게 오픈하였으나 나만의 떡볶이 만들기로 사용되어야 할 떡볶이 기계가 작동은 커녕 고장이 나 꿈쩍도 하지 않았으며, 전시공간 및 기타시설의 마무리 공사가 한참 덜 되어 있고 옥외공간은 완전히 미완공 상태로 방치되어 있어 아침부터 줄을 서며 기다리고 있던 관람객들에게 욕이란 욕은 모두 얻어먹었고, 결국 개관 하루만에 다시 문을 닫고 무기한 휴관에 들어갔다. 이 사건으로 신전떡볶이는 언론과 대구 시민들에게 까였으며 [[https://news.joins.com/article/23690299|(관련기사)]] 신전뮤지엄에서는 1월 22일 이후 입장객의 입장료를 모두 환불하고 홈페이지에 사과글을 게재하였다. 이후 대구·경북 지역에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악재까지 겹치면서 개장할 기미가 보이지 않았으나, 동년 5월 1일부로 [[https://www.facebook.com/permalink.php?story_fbid=161967145313670&id=111070617069990|재개장하였다.]] == 대중교통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 정류장(ID) || 노선번호 || || 칠곡IC 1(01486) ||[[대구 버스 719|719]], [[대구 버스 937|937]], [[대구, 경산 버스 939|939]]|| || 칠곡IC 2(05163) ||[[대구 버스 719|719]], [[대구 버스 937|937]], [[대구, 경산 버스 939|939]], [[대구 버스 칠곡2|칠곡2(아침 2회)]]|| || 한국도로공사앞(09039) ||[[대구 버스 719|719]], [[대구 버스 724|724]], [[대구 버스 750|750]], [[대구 버스 937|937]], [[대구, 경산 버스 939|939]]|| || 한국도로공사건너(01221) ||[[대구 버스 719|719]], [[대구 버스 724|724]], [[대구 버스 750|750]], [[대구 버스 937|937]], [[대구, 경산 버스 939|939]]||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 [[칠곡운암역]]에서 도보 20분 또는 [[대구 버스 719|719]], [[대구 버스 937|937]], [[대구, 경산 버스 939|939]]번 버스로 환승 == 기타 == * 외형이 일본 요코하마에 있는 닛신 컵라면 박물관과 굉장히 비슷하게 생겼다. 이외에도 전시관 구성이나 비슷한 체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아 많은 것들을 [[벤치마킹]] 했을 가능성이 높다. * 엘리베이터 문짝의 경고 스티커가 특이한데 엘리베이터 회사에서 제공하는 경고 스티커가 아닌 자체적으로 만든 경고스티커를 이용한다. [[분류:대구광역시의 박물관]][[분류:사립박물관]][[분류:북구(대구)의 건축물]][[분류:202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