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DWG KIA 소속 스트리머, rd1=신정현)] ||<-2><#004ea2> '''{{{#ffffff 제10대 경기도의원[br]{{{+1 신정현}}}[br]辛定炫 | Shin Jung-hyu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정현경기도의원.jpg|width=100%]]}}}|| || '''{{{#ffffff 성명}}}''' ||신정현(辛定炫)|| ||<|2> '''{{{#ffffff 출생}}}''' ||[[1981년]] [[11월 20일]] ([age(1981-11-20)]세) || ||[[경기도]] [[고양시]]|| || '''{{{#ffffff 학력}}}''' ||[[오마중학교]] {{{-1 ([[졸업]])}}}[br][[주엽고등학교]] {{{-1 ([[졸업]])}}}[br][[가톨릭대학교]] {{{-1 (불문학, 경제학/학사)}}}[br][[북한대학원대학교]] {{{-1 (북한학/석사)}}}||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fff 약력}}}''' ||[[경기도]] 평화통일교육위원회 위원[br]제10대 [[경기도의회]] 의원[br]제10대 [[경기도의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br]제10대 [[경기도의회]] 후반기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위원 [br]제10대 [[경기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br]제10대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제5정조위원장[br][[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 일자리위원장 [br][[민주통합당]] 전국청년위원회 부위원장[br]고양청년네트워크파티 대표[br]사람도서관 리드미 대표[br][[통일부]] 통일교육원 학교통일교육 전문강사[br]만18세선거권낮추기공동연대 대표[br]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특별보좌역|| || '''{{{#ffffff 종교}}}''' ||기독교|| || {{{#ffffff '''SNS'''}}} ||[[https://www.facebook.com/tommyjunghyunshi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정치 활동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시민운동가이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 고양시제3선거구(화정1,2 동)에서 당선되었다. 2020년 더불어민주당 전국청년위원장 선거에 출마, 현역 국회의원인 [[장경태]] 의원과 경쟁하였으나 31% 득표(2위)로 낙선하였다. 2021년 지방의원으로는 유일하게 민주당 당대표 특별보좌역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특보 중 가장 젊은 30대 청년이었다. 2018년 제10대 경기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청년세대를 위한 연구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경기도 청년정책에 당사자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였고 청년프리랜서 연구활동과 관련 조례 제정, 대학(원)생 장학제도 연구 및 대학(원)생 학자금 대출 이자지원 조례개정, 경기도 청년정책플랫폼 제안 등의 활동을 활발하게 이어나갔다.전반기의회 최우수 의원연구단체 표창을 수상하였다. 그는 경기도정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도의원으로서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기본 시리즈'에 대한 비판과 함께 도정의 인사비리, 지역화폐 업체 특혜 의혹 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youtube(urtXh3XfVTk)] [youtube(xHnqNNdoHzo)] 이에 이 지사의 지지자들로부터 '내부총질' 또는 '똥파리' 등의 비판을 받았는데 특히 [[최민희]] 전 의원, 유튜버 [[김용민(1974)|김용민]] 등이 비판의 선봉에 섰다. 그럼에도 그는 매일경제 등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도정 성공을 위해서는 다양한 비판이 있어야 한다면서 뜻을 굽히지 않았다.([[https://www.mk.co.kr/economy/view/2021/364543|이재명 작심 비판 이어가는 민주당 신정현 경기도의원 왜?]]) 그가 경기도정에 대한 비판을 이어가자 이재명 지사의 정적으로 주목을 받았는데, 그가 도의회 5분발언 중 언론홍보비로 경기도가 언론을 통제한다는 취지로 발언하자 이 지사가 불편함을 감추지 못하고 퇴장하는 영상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vp4EyE8zRls|#]] 그는 2021년 4월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경기도에 건의한 특별조정교부금(특조금)을 받지 못한 사실을 지역주민들에게 알리는 사과문을 내걸었다. 이 특조금의 결정 권한은 이재명 지사에게 있기에 논란이 되었다. 이재명 지사가 민주당 후보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나선 이후 당내에서 그 입지가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태에서 치러진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낙천하여 최종 후보로 나서지 못했다. 이후 [[22대 총선]]에서 [[고양시 정]] 선거 출마를 준비하기 시작했지만, [[친명]]계가 주도권을 잡을 22대 총선에서 비명계에 친낙계로 분류되는 그가 공천 경선을 통과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 의정 활동 == - 경기도의회 의장 선정 경기도의회 2019년 우수조례 표창 - 제10대 경기도의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최우수위원상 - 경기도의회 의장 선정 2020년도 행정사무감사 우수의원 - 경기도의회 의장 선정 경기도의회 2020년 우수조례 표창 -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선정 제10회 우수의정대상 수상 - 더불어민주당 창당 66주년 기념 1급 포상 - 2021년 더불어민주당 지방정부 우수정책 및 지방의회 우수조례 경진대회 1급 포상 - 사단법인 경기언론인협회 선정 의정대상 광역의원부문 수상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 고양 3)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5,774 (69.49%)''' || '''당선 (1위)''' || '''초선'''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81년 출생]][[분류:고양시 출신 인물]][[분류:가톨릭대학교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광역의회의원]][[분류:경기도의회의원]][[분류:주엽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