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 0%, #fff)" {{{+1 {{{#000,#e5e5e5 '''대한민국의 농구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제록 KT&G 선수.jpg|width=100%]]}}} || ||<-3> '''{{{+2 {{{#000000 신제록}}}}}}[br]{{{#000000 申提祿}}}''' || ||<-2> {{{#000,#e5e5e5 ''' 출생 ''' }}} ||[[1984년]] [[2월 28일]] ([age(1984-02-28)]세) || ||<-2> {{{#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89cm|[[체중]] 80kg|[[혈액형]] [[A형]] || ||<-2> {{{#000,#e5e5e5 ''' 직업 ''' }}} ||농구선수([[슈팅 가드]] / ^^은퇴^^) || ||<-2> {{{#000,#e5e5e5 ''' 학력 ''' }}} ||[[미아초등학교]] {{{-2 (졸업)}}}[br][[휘문중학교]] {{{-2 (졸업)}}}[br][[휘문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2 ([[체육교육과|체육교육학]] / [[학사]])}}} || ||<-2> {{{#000,#e5e5e5 ''' 프로 입단 ''' }}} ||[[2007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07년 드래프트]] ^^(2라운드 2순위, [[서울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 || ||<-2> {{{#000,#e5e5e5 ''' 병역 ''' }}} ||[[전시근로역]][* 허리디스크 발병.] || ||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안양 KGC인삼공사|안양 KT&G 카이츠]]^^(2007~2011)^^ [br] [[창원 LG 세이커스]] ^^(2012~2013)^^ || ||<-2> {{{#000,#e5e5e5 ''' 가족 관계 ''' }}} ||부모님[* 아버지 신석호는 2023년 8월 8일 별세.], 형 [[신성록]][br]아내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213/0000734478|홍민경]]^^(2009년 결혼~현재)^^[br]딸 신채아^^(2009년생)^^, 아들 신영웅^^(2012년생)^^, 조카 신율^^(2016년생)^^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의 전직 농구선수였으며 포지션은 [[슈팅 가드]]였다. 강인한 체력을 바탕으로 전문 슈터의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정확성이 있었지만 [[김승현(농구)|김승현]]이나 [[이상민(농구)|이상민]]과 같은 날카로운 패스워크나 기술면에서 부족했고, 공격에서 공을 뺏기지 않거나 수비에서 부담을 느꼈다. == 선수 이전 == 초등학교 5학년 때 체육대회에서 100m 달리기, 멀리뛰기, 높이뛰기 1등을 거머쥔 후 농구를 시작했으며 [[휘문중학교]]를 거쳐 [[휘문고등학교]]로 진학해 에이스 역할을 똑똑히 해내며 제39회 춘계연맹전에서 우승의 견인차 역할을 맡으며 최우수선수상에 뽑혔고, 이를 계기로 제17회 아시아남자청소년농구선수권대회에도 발탁되었다. 이후 고려대학교로 진학해 주장도 맡았으며 졸업 후, [[2007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07년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2순위로 서울 삼성 썬더스에 지명되었다가 안양 KT&G 카이츠로 트레이드되었다. == 프로 생활 == 데뷔 초부터 [[황진원]]과 [[은희석]] 등의 뒤를 받혀주는 식스맨으로 주로 경기에 나섰고 이후 2008-09 시즌 종료 후 [[양희종]] 등과 함께 상무에 합격해서 입대를 했지만, 훈련소에서 허리디스크가 발병하면서 상무에 입단하지 못하고 [[의병 제대]]를 했고 결국 그 여파로 5급이 나오면서 [[전시근로역]]에 편입했으며 KT&G에서는 더 이상 재기를 하지 못하면서 2011년에 웨이버가 되었다. 이후 [[김진(농구인)|김진]] 감독의 부름을 받고 드래프트 동기였던 [[김영환(농구)|김영환]]의 [[창원 LG 세이커스]]에서 1년을 활약했으나, 끝내 허리디스크의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하고 은퇴를 하게 되었다. 하위 라운더였음에도 식스맨으로 그럭저럭 경쟁력을 보여줬음에도 허리디스크라는, 농구선수로는 커리어에 치명적인 부상이 발목을 잡은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 은퇴 이후 == 은퇴 이후 진로를 요리전문가로 개척했다. 이 때문인지 일본 [[모리오카 냉면]]의 체인점인 뿅뿅사를 [[압구정로데오역]] 5번 출구 인근에 "뿅뿅사 제록"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해 목동, 인천공항 등 지점을 몇 군데 내였으나 2017년 7월에 폐점하였다. 이후 현재는 캐나다에서 자신의 이름을 건 농구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안양 KGC인삼공사/선수단]] *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요리사]][[분류:1984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분류:2013년 은퇴]][[분류:슈팅 가드]][[분류:창원 LG 세이커스/은퇴, 이적]][[분류:휘문중학교 출신]][[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