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경상남도)] [[파일:신중하.png|width=300]] 愼重夏 [[1918년]] [[5월 5일]] ~ [[1991년]] [[11월 23일]] (향년 73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본관은 [[거창 신씨|거창]](居昌)[* 통례공파(通禮公派) 34세 중(重) 항렬], 호는 동원(東園). == 생애 == 1918년 5월 5일 [[경상남도]] [[거창군]] 읍내면 동동(현 [[거창읍]] 대동리 동동마을)[* 인근의 양평리와 함께 [[거창 신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신도출]]도 이 마을 출신이다.]에서 아버지 덕산(德山) 신정재(愼正縡, 1889. 1. 4 ~ 1959. 8. 24)와 어머니 [[전(성씨)|죽산 전씨]](竹山 全氏, 1888 ~ ?)[* 전병홍(全秉弘)의 딸이다.] 사이에서 2남 3녀 중 차남으로 [[http://db.history.go.kr/id/im_107_30457|태어났다]]. [[홍익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뒤 귀향하여 농업에 종사하였다. 이후 [[국민회]]에 입당했고, [[1952년 지방선거]]에서 초대 [[경상남도의회]] 의원에 출마해 [[https://council.gyeongnam.go.kr/kr/profile/profile.do?key=79a2930cb9b6925f526d546c9f0716086055398c574a0141e7b6128a0fe554b31113bfa6aa3b8259|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1955년)|민주당]]에 입당해 경상남도당 산업·재정부장, 민주당 중앙위원, 경상남도곡물협회 회장, 민주당 거창군당 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민주당(1955년)|민주당]] [[소장파]]의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제38선거구([[거창군]])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서한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43.19%(21,123표)의 득표를 받아 [[민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당(1963년)|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제15[[지역구]]([[거창군]]·[[함양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민병권(1918)|민병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선거가 끝나고 몇 년간 남한운수(南韓運輸)주식회사 사장으로 재임하였다. 1967년 [[신민당(1967년)|신민당]]이 창당되자 입당하여 중앙위원, 경상남도 제18지역구당 위원장에 취임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제18선거구([[거창군]]·[[함양군]])에 출마하였으나 또 다시 [[민주공화당]] [[민병권(1918)|민병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3년 1월 27일 [[민주통일당]]이 창당될 때 조직책으로 관여하였고, 창당 후 정책심의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통일당]] 후보로 경상남도 제9선거구([[거창군]]·[[함양군]]·[[산청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정우식(정치인)|정우식]] 후보와 신민당 [[김동영(정치인)|김동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1년 11월 23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서울 순천향병원]]에서 [[노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1112400329114015&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1-11-24&officeId=00032&pageNo=14&printNo=14238&publishType=00010|별세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2 || [[1952년 지방선거]] ([[경상남도의회]] 의원) || [include(틀:국민회)] || '''-''' || '''당선 (1위)''' || '''초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 ||<|2>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0,235표 (22.71%) || 낙선 (2위) ||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 || '''21,123표 (43.19%)''' || '''당선 (1위)''' || '''초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함양군) || [include(틀:민주당(1963년))] || 17,935표 (20.67%) ||<|2> 낙선 (2위) ||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함양군)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34,360표 (38.09%) ||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함양군·산청군) || [include(틀:민주통일당)] || 16,522표 (12.91%) || 낙선 (4위)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경상남도의회의원]][[분류:거창군 출신 인물]][[분류:거창 신씨]][[분류:1918년 출생]][[분류:1991년 사망]][[분류:홍익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