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신창희.jpg|width=300px]] || || 성명 ||신창희(申昌喜) || || 이명 ||신명호(申明浩)[*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신명호 족보 사진.png]]] || || [[본관]] ||[[고령 신씨]][* 소안공파 26세 호(浩) 항렬.] || || 생몰 ||[[1906년]] [[2월 22일]] ~ [[1990년]] [[6월 21일]] || || [[출생지]] ||[[충청북도]] 문의군 동면 인차리[br](현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인차리)[* 인근의 청용리·행정리와 함께 [[고령 신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신건식]]·[[신규식]]·[[신순호#s-1|신순호]]·[[신영호]]·[[신형호]]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사망지 ||[[충청북도]] [[청주시]] || || 추서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생애 == 신창희는 1906년 2월 22일 충청북도 문의군 동면(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인차리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법무총장을 역임한 아버지 [[신규식]]과 어머니 [[한양 조씨]] 조종만(趙鍾萬)의 딸 사이의 무남독녀로 태어났다.[* 신규식 생전에 막내 동생 신동식(申東植)의 외아들 신준호(申俊浩)를 입양하여 대를 잇는다.] 1919년 9월 중국으로 망명한 뒤 1920년 5월 신규식의 비서로 일하던 [[민필호]]와 결혼했다. 이후 그는 부친과 남편을 보필했으며, 임시정부 주요 인사들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애썼다. 1940년 이후에는 직접 [[한국독립당]] 당원이 되어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8.15 광복]] 후에는 귀국하여 청주시에서 조용히 지내다 1990년 6월 21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신창희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다. [[분류:고령 신씨]][[분류:상당구 출신 인물]][[분류:1906년 출생]][[분류:1990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독립유공자 후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