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만 북회선에 위치한 역에 대해서는, rd1=신청역(타이완))] ||<-3> {{{+2 '''신청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자강도 오모로역, 너비=100%, 높이=250px)]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Sinchŏng || || [[한자]] ||<-2><|2> 新清 || || [[중국어]] || || [[일본어]] ||<-2> - || ||<-3> '''주소''' || ||<-3> [[자강도]] [[성간군]] 신청리 || ||<-3> '''역 등급''' || ||<-3> (개천철도총국 관리) || ||<-3> '''운영 기관''' || || [[만포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만포선]] ||<-2> 1937년 12월 1일 || ||<-3> '''철도거리표''' || || [[순천역(평안남도)|{{{#585858 {{{#!html
순천 방면
}}}}}}]][[성간역|성 간]][br]← 9.0 ㎞ || '''[[만포선]]'''[br]신 청 || [[만포청년역|{{{#585858 {{{#!html
만포청년 방면
}}}}}}]][[부지역|부 지]][br] 7.1 ㎞ → || {{{+1 新淸驛 / Sinchŏng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만포선]]의 철도역. [[자강도]] [[성간군]] 신청리 소재. 원래 이름은 오모로역(梧毛老驛). 또한 신청리역으로 표기한 자료도 상당히 많다. 원래 신청리는 오모로리에서 떨어져나온 것이었다. 그래서 역 이름을 오모로역에서 신청역으로 바꾼 건데, 문제는 이 신청리를 다시 오모로리와 통합시켜 버린 후 오모로리를 신청리로 개칭해버린 것. 북한이 여진족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여진족을 동화시키고 여진어 지명을 없앴기 때문이다. == 역 정보 == [[만포청년역|만포역]] 방향으로 가면서 점점 강이 굵고 깊어져서 그런지 [[성간역]]과 이 역, 그리고 이 역과 [[부지역]]을 지나 [[공인역]]에 이르기까지의 선로는 그야말로 강 쪽의 낭떠러지를 아슬아슬하게 걸어가는 모습. 뭐 그렇다고 [[잔도]]에 비할 바는 아니겠지만 말이다. 그래도 선로와 강가의 높이차가 대략 20m로 떨어지면 즉사 수준이라 운행상 조심해야 할 부분. == 역세권 == 작다 못해서 황량하다. 주변의 산을 다 파먹어 가면서 농사를 지은 탓에 주변의 농지의 넓이는 상당하지만, 마을의 민가는 어림잡아 50채 정도. 진짜 눈으로 대충 셀 수 있을 정도의 크기니 상당히 작은 마을인 셈. 그나마도 신청역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편이다(약 500m 정도). == 기타 == 승강장의 크기는 1면 3선으로 역시 전형적인 시골역의 크기다. [[순천역(평안남도)|순천역]] 기점 230.7km. [[분류:만포선]][[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