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철도 정보]],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신칸센]], [[JR 히가시니혼]], [[JR 홋카이도]] ||<:>[[파일:iTRVwEV.jpg|width=800]] || ||<:>E5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c/H5%E7%B3%BB_H2%E7%B7%A8%E6%88%90_%E7%9B%9B%E5%B2%A1%E9%A7%85%E5%85%A5%E7%B7%9A.JPG/1024px-H5%E7%B3%BB_H2%E7%B7%A8%E6%88%90_%E7%9B%9B%E5%B2%A1%E9%A7%85%E5%85%A5%E7%B7%9A.JPG?width=800]] || ||<:>H5계[[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H5%E7%B3%BB_H2%E7%B7%A8%E6%88%90_%E7%9B%9B%E5%B2%A1%E9%A7%85%E5%85%A5%E7%B7%9A.JPG|출처]] || [include(틀:신칸센 차량 목록)] [목차] == 개요 == [[JR 히가시니혼]]이 운영하는 [[도호쿠 신칸센]]의 320km/h 운행을 위해 개발되어 [[2011년]] [[3월 5일]]의 다이아 개정부터 운행을 시작하였다. [[신칸센 E2계 전동차|E2계]]의 실질적인 후속 차량으로, 캐치프라이즈는 '''"MADE IN DREAM."''' 10량 1편성당 가격은 약 45억 엔이다. 2012년에 블루리본상을 수상하였다. 처음 투입되었을 때는 E5계의 투입과 동시에 신설된 등급인 하야부사 전용으로 운행되었으며, 2013년부터는 [[하야테(열차)|하야테]], [[야마비코(열차)|야마비코]], [[나스노]] 등의 등급으로도 운용되고 있다. [[JR 홋카이도]]는 2016년 3월에 [[신아오모리역|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역|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을 운행하는 [[홋카이도 신칸센]]용 차량으로 E5계를 기반으로 하는 H5계를 도입하였다. H5계는 E5계와 비교해서 차체 중앙의 띠 색상과 내부 인테리어의 차이가 있으나 기술상 동일하므로 이 문서에 함께 기술한다. == 사양 == || 열차 형식 ||신칸센 [[전동차]]/고속철도차량 || || 급전 방식 ||교류 25,000V, 50Hz || || 제어 방식 ||[[VVVF]]-[[IGBT]] || || 기동 가속도 ||1.71km/h/s || || 최고 속도 ||320km/h || || 전동기 출력 ||300kW || || 편성 출력 ||9,960kW || || 편성 정원 ||731명 || || 편성 중량 ||453.5ton || || 대차 장치 ||볼스터리스 대차[br]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일반실 및 그린샤)[br]풀 액티브 서스펜션(그랑 클라스)[br]토션바 식 안티 롤링 장치[* 차체와 대차 프레임을 토션바 로 연결하여 차체의 롤링을 억제한다. 국내에는 [[KTX-1|KTX]], [[KTX-산천]] 및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공항철도 전동차]] 등에 쓰이는 방식.] || || 궤간 ||1,435 mm 표준궤 || || 구동 장치 ||3상 유도전동기 MT207 || || 제동 방식 ||회생제동,공기제동 || || 열차 편성 ||10량 (8M2T) || 영업 최고 속도는는 320km/h, 설계 최고 속도는 360km/h이다. 10량 1편성으로, 8M 2T이다. 초기 출발가속도는 1.71km/h/s이나 [[신칸센 E3계 전동차|E3계]]와 병결 시 E3계의 성능에 맞추어 1.6km/h/s 로 전환된다. --퇴화?-- 곡선 통과시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반경 4,000m 곡선에서도 320km/h로 주행 할 수 있도록 에어스프링에 의한 스트로크식 틸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체를 최대 1.5도 기울일수 있다. 또한 차체 측면의 밑단 부분의 대차에는 대차 커버가 씌워져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 탄소 섬유로 만들어져 있고, 흡음재를 채용하여 소음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열차의 구동 방식은 가선의 25kV 교류를 주변압기에서 강압하여 직류로 정류 후 삼상 교류로 변환하여 주 전동기를 제어하는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으로, 주 전동기 하나의 정격 출력은 300kW이다. 팬터그래프는 [[KTX-산천]]에서도 채용하고 있는 싱글 암 방식이다. 1~8호차는 일반실로, 9호차는 그린샤로, 10호차는 그랑 클라스로 운영되며, 롱 노즈와 그랑 클라스의 설치로 인한 선두차량 객실공간의 축소 및 5호차에 설치된 다기능 화장실・다목적실 등의 장애인 시설로 인해 1편성의 정원이 E2계 1000번대 보다 83명 감소한 731명이 되었다. 일반실의 시트피치는 E2계보다 확대(980mm → 1,040mm)되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장실 등의 시설이 없는 칸의 정원은 E2계와 같은 100명으로 시트피치의 증가로 인해 정원이 감소한 것은 아니다. 또한, 3인용 시트의 폭이 확대되어 A·C석은 430mm에서 440mm로, B석은 435mm에서 460mm로 확대되었다. 전 좌석에 독서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랑 클라스 및 그린샤는 전석에, 일반석은 창가 자리에 전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센다이 이북에서는 전파가 잘 터지지 않아 스마트폰 등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은 쉽지 않다. 화장실은 2량당 1개소씩 설비되어 있으며, 서양식 화장실 2개소와 남성용 소변기 부스 1개의 화장실 2개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5호차는 화장실이 1개만 설치되어 있다. 장애인 대책으로 5 호차와 9 호차에 휠체어 대응 시설 (출입구 확장, 휠체어 좌석의 설치, 휠체어 대응 화장실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화장실은 수동・전동 휠체어에 대응된다. 또한, 5 호차에는 다목적실도 설치되어 있다. 3열식 일등석인 그랑 클라스(Gran Class)가 최초로 도입되었으며, 시트피치 1,300mm, 폭 520mm의 좌석을 도입하였다. 정원은 1편성에 18명(3명 × 6열)으로 10호차에서 영업에 사용되고 있다. * [[http://www.youtube.com/watch?v=f2id45s6TmE|그란클라스 탑승영상]] == 도입 및 운용 == === E5계 === JR 히가시니혼이 2000년에 수립한 중기 경영 구상 "뉴 프론티어 21"에서 도호쿠 신칸센을 최고 360km/h로 운행하는 계획을 세웠으며, 이에 따라 2002년 '신칸센 고속화 추진 프로젝트'에서 신칸센 고속 시험 열차 "FASTECH 360"을 개발하고 2005년부터 지상설비를 포함한 각종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환경대책이나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했을 때 최고속도를 320km/h로 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이 속도에 대응하는 차량으로 E5가 제작되었다. [[2009년]] 양산 선행차가 제작되어 센다이의 신칸센 종합차량센터에 반입되었으며, 같은 해 6월 15일부터 [[센다이역(미야기현)|센다이]]~[[키타카미역|키타카미]]사이에서 주행 시험을 실시하였다. [[2010년]]에는 [[신칸센 E3계 전동차|E3계]] 및 [[신칸센 E6계 전동차|E6계]]와의 병결 운행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2011년]] [[3월 5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영업운전을 실시하고 300km/h로 주행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300km/h로 영업운전을 시작한 직후 [[2011년]] [[도호쿠 대지진]]이 발생하여 [[4월 28일]]까지 영업을 중단하였으며, [[4월 29일]] 재개통하였으나 복구 공사로 인해 300km/h로 주행하지는 못했고, [[7월 9일]] 다이어 개정으로 [[우츠노미야역|우츠노미야]]ー[[후쿠시마역(후쿠시마현)|후쿠시마]] 사이와 [[이치노세키역|이치노세키]]ー[[모리오카역|모리오카]] 사이에서 300km/h의 운행이 재개되었으며, 우츠노미야-센다이-모리오카 간의 300km/h 운행은 [[9월 23일]]에서야 다시 시작되었다. [[2011년]] [[11월 19일]]부터 3편성이 추가로 투입되어 총 6편성을 운용하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하야테#s-1.2|하야테]]나 [[야마비코#s-2|야마비코]]등급 열차로도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신칸센 E3계 전동차|E3계]] 0번대와 병결 운행을 하기 때문에 최고 속도는 275km/h로 제한되었다. [[2012년]] [[3월 17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4편성이 추가로 투입되어 총 10편성이 되었고, [[나스노]]등급으로도 운행을 시작하였다. 동년 [[4월 27일]]에 1편성이, [[9월 29일]]에 5편성이 추가 투입되었으며, [[2013년]] [[1월 26일]]부터 4편성이 추가로 투입되어 총 20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으며, E5계 단독 편성의 [[하야테#s-1.2|하야테]], [[야마비코#s-2|야마비코]], [[나스노]]도 운행되기 시작하였으나, 최고 속도는 275km/h로 운행된다. [[2013년]] [[3월 16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3편성이 추가 투입되어 23편성이 운행되었으며, 같은 날 [[신칸센 E6계 전동차|E6계]]도 E5계와 병결운행을 시작하여 '슈퍼 코마치'라는 이름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모든 슈퍼 코마치는 하야부사와 병결하여 운행되었으며, 그 외의 E5계・E6계 병결 열차는 [[야마비코#s-2|야마비코]], [[나스노]]로 운용되기도 한다. [[9월 28일]]에는 4편성이 추가로 투입되어 총 28편성이 되었으며, [[2014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모든 아키타 신칸센 [[코마치#s-2|코마치]]가 E6계로 대차되어 '슈퍼 코마치'에서 '슈퍼'를 빼고 코마치로 운행되며, 하야부사・코마치 병결 열차의 320km/h 운행이 시작되었다. 그런데 이 차량의 도색이 [[하츠네 미쿠|저 모양]]이라(...) 등급 이름 정하는 데에 애를 먹었다. 결국 [[하야부사(열차)#s-2|하야부사]]로 정해졌다. === H5계 === JR 홋카이도의 홋카이도 신칸센에서 4개 편성 40량이 운행 중이다. H5계의 첫 번째 편성은 [[2014년]] [[10월 8일]]부터 카와사키 중공업의 효고 공장에서 출고되어 13일에 첫 2량이 하코다테로 반입되었으며, 22일까지 2개 편성 20량이 하코다테 종합차량기지에 반입되었다. [[12월 1일]]부터 하코다테 종합차량기지~[[신하코다테호쿠토역|신하코다테호쿠토]] 간 시운전이 실시되었으며, 다음날인 12월 2일부터는 [[키코나이역|키코나이]]~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의 시운전이 실시되었다. 7일부터는 [[오쿠츠가루이마베츠역|오쿠츠가루이마베츠]]~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의 시운전이 실시되어 처음으로 [[세이칸 터널]]을 통과하여 혼슈에 상륙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속도를 증속하여 12월 26일에는 260km/h까지 단계적으로 증속이 이루어졌다. [[2015년]]부터는 [[신아오모리역|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의 시운전이 실시되어, 마침내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정식 영업운전 개시. E5계 도색의 부작용을 의식해서인지(...) 줄무늬가 [[라벤더]]를 뜻하는 보라색으로 바뀌었다. == 기타 == [[2012년]] [[11월 17일]]에 [[조에츠 신칸센]]의 개업 30 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정기운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조에츠 신칸센에서 조에츠 신칸센 개업 30주년 기념열차가 운행되었다. 조에츠 신칸센에서 E5계가 영업운전에 사용된 것은 이때가 최초로, 그 후로도 조에츠 신칸센에 입선한적은 없다. [[쿠마미코]] 11화에서 [[아마야도리 마치]]가 [[아마야도리 요시오]]와 함께 [[센다이]]에 가기 위해 H5계를 이용한다. 마치는 의자가 돌아가는 것, 젖혀지는 것에 [[컬처 쇼크]]를 느낀다...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고속철도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