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대구선에 있었던 동명의 역, rd1=신평역(대구선))] ||<-3> {{{+2 '''신평역'''}}} || ||<-3> [[부산 지하철 1호선|[[파일:Busan1.svg|width=30]]]] || || [[다대포해수욕장역|{{{#!html
다대포해수욕장 방면}}}]][[동매역|동 매]][br]← 1.7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01)
}}}]] || [[노포역|{{{#!html
노포 방면}}}]][[하단역|하 단]][br]1.6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신평역, 너비=100%, 높이=100%)] }}}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inpyeong || || [[한자]] ||<-2><|2> 新平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新平, ruby=シンピョ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140 ([[신평동(부산)|신평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하단역|하단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부산교통공사]]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1994년 6월 23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1층 승강장, 지하 1층 대합실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3> '''열차거리표''' || || {{{-1 [[신평차량사업소]]}}}[br] ← 0.1 ㎞ || {{{-1 {{{#f06a00 '''① 신평차량기지[br]인입선'''}}}}}} || {{{#!html
시종착}}}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신평역 대합실.jpg|width=100%]]}}}|| || 대합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01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140 ([[신평동(부산)|신평동]]) 소재. == 역 정보 == [[신평차량사업소]]가 존재하며, 그 때문에 승강장은 지상에 있지만 대합실이 [[반지하]]에 있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중에서 그 규모가 매우 [[크고 아름답다]]. 1994년 6월 23일에 개통된 직후 다대포 구간이 연장될 때 까지 약 23년간 종착역을 맡고 있었다. 2017년에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연장된 이후로는 노포발 신평행 막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다대포해수욕장역]]에서 시종착하고 있다. [[하단역]], [[동매역]]과는 역간거리가 상당히 길고[* 역 간 거리가 양쪽 다 1.6km로 똑같다.] 거기에 더해 급곡선 구간으로 서행을 하느라 소요시간이 오래 걸린다. 다대포 방면 기준 마지막 지상역이자 동래역 이남에서 유일한 지상역이다. 차량기지가 있는 역인 만큼 이 역에서 기관사 승무교대가 이루어진다. 다대포발 노포행 열차에서 이루어지기도 하고 노포발 다대포행 열차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부산 도시철도의 역 중 유일하게 '두 지하역 사이에 있는 지상역'이라는 타이틀을 지니고 있다. == 역 주변 정보 == 역 서남쪽과 서쪽에는 신평[[공단]]이 들어서있으며 이 때문에 출퇴근시간에 북새통을 이룬다. 역 동쪽은 신익강변아파트 등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는데 역 동쪽으로 나가는 4, 6번 출구는 차량기지와 주차장 건너편에 있기 때문에 대합실에서 상당히 긴 통로를 지나야 한다. 이때문에 차가 막히지 않는 평시에는 아파트 주민들이 버스를 이용하기때문에 역이 한산한 편. 사실 이 동네 형성 자체가 둑을 쌓아서 인공적으로 만든 동네고 1900년대쯤에 새로 생긴 땅이다. 장림에 둑을 쌓는 과정에서 바닷물이 빠져나가 사람이 살 수 있는 땅이 생겨버린 것. 그래서 당시 새벌, 새말, 신촌, 신평 등으로 불리다가 1904년에 신평으로 지명이름이 확정되었다. [[하단역]]·[[괴정역]]과 더불어 [[다대동]]·[[장림동]] 주민들에게는 중요한 환승지점이기도 하다. 계단을 지나 게이트를 빠져나오자마자 보이는 출구에 신평역을 회차 지점으로 하는 몇몇 마을버스와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 - [[고현버스터미널|고현]] / [[장승포]] 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만 정차하고(주로 장림-다대방향) 지하통로를 따라 좀 걸어가야 [[부산 버스 2|시]][[부산 버스 11|내]][[부산 버스 338|버]][[부산 버스 113|스]] [[부산 버스 138-1|타는]] 정류장이 나온다. [[2019년]] [[11월 11일]] [[부산교통공사]]와 [[부산광역시]]에서 신평역 연결통로를 새로 뚫는 공사를 하기로 결정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1203862|기사]] [[2020년]] [[12월 30일]]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방면 승강장에 출입구가 신설되었다. == 일평균 이용객 == 신평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1호선|[[파일:Busan1.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f06a00 21,929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20,430명 || || || 2004년 || 18,759명 || || || 2005년 || 17,498명 || || || 2006년 || 15,289명 || || || 2007년 || 14,262명 || || || 2008년 || 15,554명 || || || 2009년 || 14,958명 || ||}}}}}}}}} || || 2010년 || 16,116명 || || || 2011년 || 18,721명 || || || 2012년 || 18,328명 || || || 2013년 || 17,914명 || || || 2014년 || 17,966명 || || || 2015년 || 17,997명 || || || 2016년 || 18,041명 || || || 2017년 || 15,240명 || || || 2018년 || 13,535명 || || || 2019년 || 13,898명 || || || 2020년 || 10,818명 || || || 2021년 || 11,314명 || || || 2022년 || 12,106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다대포 연장전까진 이 역이 그나마 다대포에서 제일 가까운 역이였기 때문에 수요가 어느정도 있었다가 2017년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연장 개통 이후 이용객 수가 줄어들었다. 그러나 인근의 아파트단지들 덕분에 환승수요 뿐만 아니라 자체 수요도 많고 대부분의 [[사하구]] 마을버스 노선들이 신평역을 기종점으로 삼기에 예상보다는 승객이 많이 보존되었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신평역.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다대포해수욕장역 연장 이전에 촬영되었다.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신평역 안내도.jpg|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동매역|동매]]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하단역|하단]] || || {{{#ffffff 상}}} ||<|2>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매역|동매]]·[[장림역|장림]]·[[낫개역|낫개]]·[[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ffffff 하}}} ||[[하단역|하단]]·[[남포역(부산)|남포]]·[[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서면역|서면]]·[[연산역(부산)|연산]]·[[교대역(부산)|교대]]·[[동래역(도시철도)|동래]]·[[노포역|노포]]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 ◁ || {{{#c0c0c0 신 평}}} || ▷ || [[남포역(부산)|남 포]] || == 연계 교통 == * 신평역(정류장 번호: 10-115) * [[부산 버스 2]]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1]]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61]] - 동의대역행 * [[부산 버스 113]] - 장림행 * [[부산 버스 138-1]] - 신평공단(구평)행 * [[부산 버스 161]] - 코레일사상역행 * [[부산 버스 338]]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000|부산 버스 심야1000]] - 다대포행 * 신평역(정류장 번호: 10-116) * [[부산 버스 2]] - [[부산역]]행 * [[부산 버스 11]] - 영선동행 * [[부산 버스 61]] - [[강서공영차고지(부산)|강서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13]] - 동삼중리행 * [[부산 버스 138-1]]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61]] - [[강서공영차고지(부산)|강서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338]] - 모라주공아파트행 * [[부산 버스 1000|부산 버스 심야1000]] - 서면행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부산 버스 사하3-1]] * [[부산 버스 사하6]] * [[부산 버스 사하9]] *[[시외버스 부산서부-고현·장승포]][* 거제발 하차만 가능, 부산발 승차만 가능.] ==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23년 5월 14일 12편성의 탈선으로 인해 [[중앙역(부산)|중앙역]]~[[다대포해수욕장역]] 구간의 운행이 중지되고, 노포역~중앙역 구간만 운행했다.[[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30514.99099004741|#]] [[국토교통부|국토부]] 조사 결과 동대신역에서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행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여 회송하던 중 이 역에서 [[탈선]]이 발생하여 운행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5일 첫차부터 운행이 정상화되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83912_36199.html|#]] 한편 [[YTN]]은 해당 내용 보도에 [[https://youtu.be/ryzTj_rM2kU|스크린도어 설치하기도 한참 전인 때의 영상을 자료화면으로 사용해서]] 지방 소식 보도에 소홀하다고 욕을 먹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분류:사하구]][[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