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수원시의 초등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2>
<:>'''{{{#white {{{+1 신풍초등학교}}}[br]Shinpoong Elementary School}}}''' || ||<-2><:> [[파일:신풍초 교표.png]] || ||<-3><:> [include(틀:지도,장소=신풍초등학교 병설유치원,너비=100%,높이 500px)] || ||<:> {{{#black '''개교'''}}} ||<:> 1896년 || ||<:> {{{#black '''유형'''}}} ||<:> 일반계 초등학교 || ||<:> {{{#black '''성별'''}}} ||<:> 남녀공학 || ||<:> {{{#black '''운영 형태'''}}} ||<:> 공립 || ||<:> {{{#black '''교장'''}}} ||<:> 임종석 || ||<:> {{{#black '''학생 수'''}}} ||<:> '''23명'''[br]2019년 기준 || ||<:> {{{#black '''교직원 수'''}}} ||<:> 5명[br]2019년 기준 || ||<:> {{{#black '''관할 교육청'''}}} ||<:> 경기도 교육청[br]수원교육지원청 || ||<:> {{{#black '''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br]신풍로 15|| ||<-2><:> [[http://shinpoong-es.e-wut.co.kr/main|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에 있었던 문화재 보존을 위해 [[영통구]] [[광교신도시]]로 이전하고 분교장으로 남은 후 [[폐교]]된 [[초등학교]]. 진주중안초등학교(현 진주초교)와 서울효제초등학교에 이어 세 번째로 오래된 초등학교이다. == 역사 == 무려 '''[[1896년]]'''[* [[고종황제]]가 [[대한제국]]을 선포하기도 전인, '''[[조선|조선시대]]'''에 개교한 것이다!]에 개교해 지금까지 명맥을 잇는 유서 깊은 학교이다. 신풍(新豊)은 옆 [[화성행궁]] 정문 이름에서 따온 말이다. 화성행궁의 정문은 본래 진남루(鎭南樓)였지만 정조 임금의 명령에 의해 신풍루로 바뀐 것이다. 원래 [[수원화성]] 내에 있었으나, 수원화성 복원 사업으로 인해 [[광교신도시]][[신풍초등학교(경기)|로 이전하였으며]]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2018년까지 분교장으로 유지되었다. 2019년 현재 건물은 철거되고 복원된 우화관[* 화성유수부의 객사 터다. 1789년 처음 세울 때는 팔달관이었다가 1795년 우화관으로 바꾸었다.]이 그 자리에 들어섰다. === 학교 연혁 === * [[1896년]] [[2월 10일]] : 수원군 공립 소학교 개교 * [[1941년]] [[4월 1일]] : 수원신풍국민학교로 교명 개칭[* 공립수원보통학교 - 수원신풍공립심상소학교 - 수원신풍보통학교 - 수원신풍국민학교 개칭.] * [[1986년]] [[11월 1일]] : 본관 3층에 30개의 교실을 개축 * [[1996년]] [[3월 1일]] : 신풍초등학교로 교명 개칭 * [[1996년]] [[5월 10일]] : 신풍 100년사 발간, 사료관 개관 * [[2013년]] [[3월 1일]] : 신풍초등학교 [[광교신도시]] 이전 및 신풍분교장 개교 * [[2013년]] [[9월 1일]] : 제28대 임종석 교장 취임 * [[2016년]] [[2월 29일]] : 신풍초등학교 신풍분교장 폐지 == 교훈 및 상징 == === 교육목표 및 교훈 === * 전통 문화를 계승하며 바른 품성을 지닌 창의적 융합 인재 육성 * 밝고 맑고 슬기롭게 === 학교 상징 === ==== 교표, 교화, [[교목#s-2|교목]] ==== [[파일:신풍초 상징.png]] ==== 교가 ==== >팔달산 기슭 아래 고요한 품속 > >화령전 유서 깊다 거룩한 터전 > >빛나라 우리 신풍 지녀온 자랑 > >대한의 아들딸을 키워 주노라 > >무럭 무럭 자라라 신풍 학우들 > >만세 만세 억만년 높이 불러서 > >온 세계에 이 민족 널리 알리자 [[광교신도시]]로 이전한 [[신풍초등학교(경기)|신풍초등학교]]의 교가와 살짝 다른 점이 있다. 팔달산이 [[광교산]]으로, 화령전이 물고을로 바뀐 것이 바로 그것. 학교의 위치에 기반하여 [[교가]]를 작곡했기 때문에 수정을 진행한 듯 하다. == 학교 시설 == * 2012년까지만 해도 학생 수가 400명 가까이 있었다. 그러나 예전부터 휩싸이던 폐교설 때문에 인근 화홍초등학교 등으로 전학 가는 학생들이 늘어나 점점 학생수가 줄었다. 현재 [[광교신도시]]의 신풍초의 운동장보다 2배 가까이 넓었다.--그래서 그런지 주말이 오면 남문 체육사에서 축구화를 수선하고 조기 축구를 했던 추억도 있었다-- * 1층에는 특수학급과 보건실, 교장실, 로비, 교감실, 행정실, 신풍초 산하의 병설유치원, 신풍초의 역사가 담긴 사료관이 있었다. * 2층에는 1학년부터 2학년 교실이 두반씩 있었으며 과학실 및 실험실, 방송실, 도서관이 있었다. * 3층에는 4학년부터 6학년까지 있었다. 역시 두 반씩 있었지만 한때 5학년이 세반으로 나뉘어진 적이 있었다. 복도 끝 쪽에는 외국어 학습실이 있었다. * 외부에는 교사 옆에 강당이 존재하며 [* 폐교가 된 이후로도 아직까지 존재하는 구 신풍초의 유일한 건물이다.] 교사 뒤편에는 급식을 조리하는 조리실이 있었다. (당시까지 급식차를 사용했다.) 그리고 그 바로 앞에 우유냉장고가 있어서 등교할 때 우유당번들은 우유를 가지고 올라왔었다. 여담으로 그 당시 학생들은 그 앞에서 배드민턴을 많이 쳤었다 * 운동장에는 기념비와 화성행궁 쪽에는 구름사다리, 시소, 정글짐, 미끄럼틀, 그네가 있었다. 여담으로 신풍초 학생들은 미끄럼틀에서 경도 및 물귀신 등 많은 놀이를 했다. * 운동장에는 축구 골대 2개가 있었는데 운동장이 워낙 넓다보니 일요일마다 조기축구 아저씨들이 사용했었다. * 2007년까지 [[화성행궁]]의 우화관[* 현재 복원이 완료된 듯 하다.] 건물을 신풍초 교장실로 사용했었다. * 교사 왼쪽 옛 우화관 자리 옆에는 원래 신풍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있었지만 주차장 증축 공사 및 우화관 복원 준비 등의 이유로 신풍초 1층으로 이전한 후 철거하였다. * 학교 교단 중심으로 왼쪽 아래에는 모래 장난용 모래밭이 있었으며 그 옆에는 허름한 농구골대 2개가 있었다. * 신풍초등학교의 옛터 우화관은 화성행궁의 부속 건물이였다. 이곳에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가 보관되어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대궐을 향해 예(禮)를 올렸다. == 출신 인물 == * [[최종건]][*1942 최종건 회장은 누이 최양분 여사와 같이 신풍초등학교를 졸업했다.] * [[심재덕]] * [[김남수 안젤로 주교]]: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 교구장 * [[이대의]] == 여담 == * 현재 건물은 구 강당을 제외하고 전부 파괴되었으며 이 학교를 졸업한 졸업생들은 부서진 건물을 볼때마다 가슴이 찢어질 것 같다고 한다. 강당은 원래 위치에 있을 당시의 마지막 졸업생들의 졸업식 장소이다. * 신풍초교 동문들이 첫손 꼽는 ‘자랑스런 신풍인’은 바로 고 심재덕 수원시장. 수원천 복개 반대와 수원 화성의 세계문화유산 지정, 2002월드컵 수원 유치까지 수원 현대사의 한획을 그인 고 심재덕 시장이 대표적인 신풍인이다. * 지금은 세계 유수의 기업으로 성장한 [[SK그룹]]의 고 최종건 창업주도 신풍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