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고령 신씨]][[분류:상당구 출신 인물]][[분류:1877년 출생]][[분류:1968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 || 성명 ||신학구(申學求) || || 자 ||성시(聖時) || || 본관 ||[[고령 신씨]][* 영성군파 22세 구(求) 항렬.] || || 생몰 ||[[1877년]][* 고령 신씨 대동보에는 1882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7월 3일]] ~ [[1968년]] [[2월 28일]] || || [[출생지]] ||[[충청도]] 청주목 산내이상면 귀래리[br](현재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귀래리)[* [[고령 신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신채호]]의 원적지가 이곳이며, 독립유공자 [[신성휴]]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사망지 ||[[충청북도]] 청원군 || ||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신성휴]]는 그의 5촌 조카이다. == 생애 == 신학구는 1877년 7월 3일 충청도 청주목 산내이상면 귀래리(현재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귀래리)에서 아버지 신지모(申支模)와 어머니 [[진주 정씨]] 정준(鄭浚)의 딸 사이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월 30일 미원장터에서 서정열(徐正烈), 신정식(申鼎植)과 함께 지팡이와 몽둥이를 손에 들고서 장을 보고 돌아가는 장꾼들에게 정의의 독립만세운동 대열에 참가할 것을 설득하는 등 주도적으로 활동하다가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이후 1919년 5월 5일 공주지방법원 청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형을 언도받아 청주형무소에서 1년여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청원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68년 2월 28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신학구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