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 [include(틀:태극무공훈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30d19, #cc101f 20%, #cc101f 80%, #a30d19)"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ffd800 대한민국 초대 해병대사령관}}}]][br]{{{#ffd800 {{{+1 신현준}}}[br]申鉉俊 | Shin Hyun-joon}}}[* 개명 전 이름은 신봉균(申奉均).]'''}}}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현준_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15년]] [[10월 23일]]|| ||[[경상북도]] [[김천시|김천군]][br](現 [[경상북도]] [[김천시]])|| ||<|2> '''사망''' ||[[2007년]] [[10월 15일]] (향년 91세)|| ||[[미국]] [[플로리다 주]]||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장군1묘역-273호|| || '''본관''' ||[[평산 신씨]]|| ||<|2> '''재임기간''' ||초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 ||[[1949년]] [[4월 15일]] ~ [[1953년]] [[10월 15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함혜용 || || '''자녀''' ||2남 4녀 || || '''학력''' ||하얼빈 보통학교 {{{-2 (고등과 / 중퇴)}}}[br][[육군보병학교|조선경비보병학교]] {{{-2 (졸업)}}}[br]미국 육군참모대학교 {{{-2 (졸업)}}}[br][[국방대학교]] {{{-2 (행정학사 / 1기)}}} ||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 요아킴)}}} || || '''경력''' ||주[[모로코]] 대사[br]주[[바티칸 시국|바티칸]] 대사[br]제5대 세계반공연맹 사무총장[br][[신민주공화당]] 국방외교안보행정특보위원[br][[자유민주연합]] 국방외교안보행정특임고문 || ||<-2> '''군사 경력''' || || '''임관''' ||[[봉천군관학교]] {{{-2 (5기)}}}[br][[육군사관학교|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2 (2기)}}} || ||<|8> '''복무''' ||[[만주군#s-4.1|만주국 육군]] || ||1937년 ~ 1945년 || ||[[한국광복군]] || ||1945년 ~ 1946년 || ||[[대한민국 해군]] || ||1946년 ~ 1949년 || ||[[대한민국 해병대]] || ||1949년 ~ 1961년 || || '''최종 계급''' ||[[상위]] {{{-2 (만주국 육군)}}}[br][[대대장]] {{{-2 (한국광복군)}}}[br][[중장]] {{{-2 (대한민국 해병대)}}} || || '''주요 보직''' ||인천기지 사령관[br]진해특설기지 참모장 || ||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2 ([[중일전쟁]])}}}[br][[여수·순천 10.19 사건|여순사건]][br][[6.25 전쟁]]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초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을 역임했다. == 생애 == 본명은 신봉균(申奉均), [[1915년]] [[10월 23일]]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김천군 출생, 부모를 따라 [[만주]]로 이주, 1932년 2월 하얼빈 보통학교 고등과 중퇴, 만주 파견군 14사단 사령부의 사단참모 다데이시(立石方亮) 대위 전속 통역으로 종군, 1934년 2월에서 1935년 3월까지 14사단 작전참모 세키하라(關原六) 대좌의 권유로 만주군 제5관구 고문부(顧問部)에서 통역으로 근무, 1935년 3월 세키하라 대좌의 후견으로 청더(承德)에 있는 만주국군 보병 제34단 본부 배속 단장 수행 및 통역, 1936년 6월 만주국 중앙육군훈련처(봉천군관학교)에 입학, 러허성 난핑(灤平)의 제5교도대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군관학교 교육을 받은 뒤 1937년 9월에 제5기로 졸업[* 동기로 김찬규([[김백일]]), [[송석하]], [[김석범]], [[윤춘근]], [[석희봉]], [[문용채]], [[문이정]] 등이 있다.], 1937년 10월부터 박격포중대에서 견습 군관 복무, 12월 보병소위로 임관, 대각진(大閣鎭) 부근에서 [[이장명]](李長明)이 이끄는 [[항일]] [[빨치산#s-4.6.1|빨치산]]부대 진압을 위해 배장(排長 :[[소대장]])으로 작전 참가, 1938년 4월 제5군관구 제5교도대(敎導隊:[[신병교육대|교육대]]) 보병 제5사단 제6련에 배치, 1938년 12월 1일부터 제6관구 옌지([[연길]])지구사령부에 부임 [[강재호]] 소위(봉천군교 4기), [[김백일]] 소위(봉천군교 5기), [[마동악]] 상위(군의관)와 함께 [[간도특설대]] 창설요원으로 활동, 1940년 우다카와 요시히토(宇田川義人)로 창씨개명, 11월 국경사변종기장(國境事變從軍記章)[* [[만주사변]] 참여자 기장] 수여, 12월 훈춘농업고등학교와 훈춘협화회 산하 청년훈련소 배속장교 임관, 1941년 3월 중위로 승진, 1942년 2월 안투현(安鬪縣) 청년훈련소 배속장교 근무, 1943년 4월 간도특설대로 원대복귀하였다. 이후 간도특설대 기박련(機迫連 : 기관총 박격포 중대)에서 [[백선엽]] 소위(봉천군교 9기)와 근무, 9월에 만주국 훈장 훈6위 경운장을 수여, 1943년 12월 중국공산당 산하의 팔로군 토벌작전을 지원, 1944년 3월 1일 대위로 진급, 8월 만주국군 보병 제8단 제6연장(連長:[[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 보병 제8단에는 [[박정희]], [[이주일(군인)|이주일]], [[방원철]] 등이 복무였다. 신현준이 이끄는 제6련은 [[팔로군]]과 교전했다. 일본 제국이 전쟁에서 항복하자, 8월 17일 직위 해임과 무장해제된 후 제8단 제3영 예하 제7련에 전속, 9월 미윤(密雲)으로 이동 후 만주군 제8단을 떠나 [[박정희]], [[이주일(군인)|이주일]] 등과 베이핑(北平:[[베이징]])에서 [[광복군]] 제3지대 핑진(平津)대대에 들어가 대대장으로 활동했다. 당시 [[이주일(군인)|이주일]]은 제1중대장을, [[박정희]]는 제2중대장을 맡았다. 1946년 5월 6일 미군 수송선을 타고 8일 부산항에 도착한 후, 봉천군관학교 동기 [[정일권]]의 권유로 해안경비대총사령부 견습사관으로 입대하고. 12월 한국군 중위로 정식 임관, 1947년 9월 해병소령 진급/부산기지 사령관, 1948년 5월 조선해안경비대 진해특설기지참모장이 되었다. 10월 [[여순사건]]이 일어나자 함정 4척을 이끌고 여수항 일대를 점령한 다음, 해상에서 반란군을 진압했다. 1949년 4월 15일에 약 380명의 병력으로 진해 덕산 비행장에 해병대가 창설되며 [[중령]] 계급으로 초대 사령관을 지냈고, [[제주 4.3 사건]]이 일어나자 해병대 병력을 제주도에 배치했다. [[김백일]], [[박정희]], [[정일권]], [[백선엽]], [[이한림]], [[김석범]], [[원용덕]], [[김창룡(군인)|김창룡]] 등과 함께 국군 내의 대표적인 만주군 인맥이다. 만주군 복무만으로도 이미 '일제 부역'이라는 비판을 받기에 충분하지만, 더욱 큰 문제는 그가 항일 독립운동가들과 그 항일조직들을 소탕하고 잡아 죽이는 일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부대인 [[간도특설대]] 간부였고, 그것도 창설요원이었다는 점이다.[* 신현준의 간도 특설대 활동 증거는 다름 아닌 만주군 동기생이자, 훗날 그의 후임으로 제2대 해병대사령관이 되는 [[김석범]]의 저작 <만주국군지>다.] 신현준 본인은 자서전(老海兵의 回顧錄) 등에서 당시의 행적을 '공비토벌' 로 표현했다. 그러나 [[대한민국 해병대]]의 초대 사령관이 [[간도특설대]]원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였던 것은 두고두고 해병대 역사에 오점으로 남게 되었다. 당시 막 독립된 상황에서 군사적 소양이 있던 사람들은 대다수가 일본군이나 만주군 출신이었으며, 미군은 반공산주의 정책으로 만주군과 일본군 출신들을 선호했다. 항일 투쟁을 한 중국군이나 독립군 출신들은 수도 적고 힘도 약했다. 해병대 창설의 계기도 신현준의 건의에서 시작됐는데, 1948년 [[여수·순천 10.19 사건]] 직후 신현준은 [[대한민국 해군본부|해군본부]]에 "육전대와 같은 상륙부대가 있었으면 진압이 보다 수월했을 것"이라고 보고했고, 이 신현준의 보고내용에 주목하고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한 해군본부가 해병대 창설을 결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 '''[[인천 상륙작전]]에서 [[대한민국 해병대]]가 활약하면서 그의 판단은 [[신의 한 수]]가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이승만으로부터 은성태극무공훈장을 받고 있는 신현준.jpg|width=100%]]}}} || || '''1953년 [[이승만|{{{#ffcc00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은성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고 있는 신현준.''' || [[5.16 군사정변]] 후 해병 [[중장]]으로 예편했다. 미국 네바다주립대학에 유학을 갔다가 귀국하여 초대 [[모로코]] 대사, 초대 [[바티칸]] 대사로 외교 분야에서 활동하였으며, 세계반공연맹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2007년]] 10월, 향년 93세를 일기로 별세 후 [[대전]] [[현충원]] 장군 1묘역 273에 안장되었다. 해병대 초창기를 함께 이끌었던 후배 [[김성은(군인)|김성은]] 전 사령관이 세상을 떠난 지 5개월 후의 일이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국군/인물]] * [[정치인/목록]] * [[가톨릭/인물]] * [[http://m.blog.daum.net/mc341/category/%E2%98%85%ED%95%B4%EB%B3%91%EB%8C%80%20%EC%82%AC%EB%A0%B9%EA%B4%80%20%EA%B8%80/%EC%B4%88%EB%8C%80%EC%82%AC%EB%A0%B9%EA%B4%80%20%EC%8B%A0%ED%98%84%EC%A4%80|신현준의 저서 노해병의 회고록]]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현준, version=237)] [[분류: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15년 출생]][[분류:2007년 사망]][[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평산 신씨]][[분류:일본군/조선인]][[분류:간도특설대 출신]][[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6.25 전쟁/군인]][[분류:태극무공훈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