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2> {{{#ffffff '''{{{+1 신흥버스 주식회사}}}'''[br]新興버스}}} || || '''{{{#ffffff 업종명}}}''' ||운수업 || || '''{{{#ffffff 설립일}}}''' ||1955년 4월 1일 || || '''{{{#ffffff 대표}}}''' ||김종철 || || '''{{{#ffffff 위치}}}'''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 93 (갈산동) || || '''{{{#ffffff 전화번호}}}''' ||053-583-1101 || || '''{{{#ffffff 차량번호}}}''' ||대구 70 자 11xx || || '''{{{#ffffff 면허대수}}}''' ||정규 69대, 예비 4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의 [[버스 회사]]로,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 93에 있다. 1955년 4월 1일에 [[시내버스]] 운송면허를 취득하여 설립되었는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 [[광남자동차]] 다음으로 오래 된 회사다.[* 참고로 신흥버스 다음으로 설립된 업체는 의외로 차량번호가 12XX로 시작하는 [[신진자동차(대구)|신진자동차]]가 아닌 35XX로 시작하는 구.[[우일교통]](1958년 설립)이다.] == 상세 == 예전에는 차고지가 [[수성구]] [[만촌동|만촌2동]] 무열대삼거리 근처에 있었다가 [[달서구]] [[이곡동|갈산동]]으로 이전한 것으로 보인다. 1990년대에 제작된 지도에는 이 곳에 '신흥버스'라고 적힌 지도가 있다. 성서산업단지 기종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0년 12월에는 차고지 내에 [[대구광역시]] 최초의 천연가스 충전소가 신설되었다. 천연가스 충전소는 신설된 후 위치를 차고지 내에서 도로 쪽으로 이전하여 성서 CNG Station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충전소에는 천연가스 청소차, 신흥버스가 기종점인 노선과 아닌 노선, CNG [[전세버스]] 등이 충전을 위해 나타나기도 하며 끊임없는 충전 행렬을 볼 수 있다. 구내에 가스 충전소가 없는 [[대천동공영차고지]] 착발 노선들도 대천교를 건너 이 곳으로 충전하러 온다.[* 다만 [[대구 버스 609|609번]]은 장기정차지가 영남대동문이라 주로 경산시 신천동CNG충전소를 이용한다.][* [[대곡동공영차고지]]도 [[대천동공영차고지|대천동]]에서 [[공차]] 거리가 거의 비슷하긴 한데, 문제는 '''[[대곡동공영차고지]]가 포화 상태라는 것.''' 게다가 726번을 또 증차하고 급행8번의 주차로 차고지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는 관계로, [[대곡동공영차고지]]는 차량 출입이 어려워 충전하기가 힘들게 된 상태다. 이로 인해 급행7번과 급행8번은 성서2번을 [[대천동공영차고지|대천동]]으로 돌려 보낸 후 증차했다. 성서권은 매곡리CNG충전소와 상리동CNG충전소([[서구(대구광역시)|서구]] - [[달성군]] 경계)가 있어서 충전 수요 분산이 가능하지만, 6권역에서 대곡 외에는 저 멀리 [[논공읍]] 하리에 충전소가 있어서 달성1차산단 이남으로 가는 노선이 아닌 이상 수요가 대부분 대곡으로 집중될 수밖에 없다.] 그뿐만 아니라 [[고령군]] 다산면에서 오는 [[대구 버스 650|650번]]도 구라리 - 대천동 이면도로[* [[대구 버스 달성1|달성1번]]이 이 도로를 이용한다. 단 달성1번은 득성리에서 대기하는 시간대에 [[논공읍]] 하리CNG충전소로 가서 가스를 충전한 후 득성리로 돌아와서 운행을 재개한다.]를 통해 이 충전소를 이용 중이다. 천연가스 충전소뿐만 아니라 [[전기버스]] 충전소도 대구에서 가장 먼저 설치되었다. 2020년 8월 26일에는 차고지 내 천연가스 충전소 옆에 수소 충전소가 추가됐다.[* [[달성군]] [[구지면]] 창리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에도 수소 충전소가 있긴 하나, 부생수소를 트레일러로 운반해서 충전하는 이동식 충전소인 데다가 여러가지 문제 때문에 연구용 차량들만 쓰고 있다.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무태조야동|서변동]] 신천하수처리장 근처에도 2013년 10월에 수전해 방식의 사설 수소 충전소가 열렸으나, 적자 때문에 2016년 12월에 폐쇄되었다. 대구 내에서 제대로 된 수소 충전소는 성서가 처음이다.] 다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대구에서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FCEV]]의 운행이 일단 연기되었기 때문에, 당분간 [[현대 넥쏘|넥쏘]]같은 차량들이 충전하러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 2021년 11월 2일부터 503번과 518번에 각 1대씩 수소연료전지버스의 운행을 시작했다. 차고지 안에 [[버스 정류장]]이 있는데, [[자동판매기|음료수 자판기]]도 옆에 있어서 기다리는데 참 편리한 정류소로 알려져 있다. 차고지착발 노선만 이용할 수 있다. 이 곳을 이용하는 승객의 수가 제법 있다. 신흥버스를 기종점으로 하는 모든 노선이 출발, 종료하는 곳으로 주로 성서산단 근로자들이 시내 방면에서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대구 버스 503|503번]], [[대구 버스 518|518번]], [[대구 버스 달서3|달서3번]]을 타고 와서 이 정류장에서 [[대구 버스 156|156번]]으로 환승한다. 단, 달서3번은 야간에 퇴근본능에 딱 맞게 모다아울렛에서 종료하고 [[대천동공영차고지|대천동]]으로 돌아간다. 다만 신흥버스 차고지를 기종점으로 썼던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1)번]]은 2015년 8월에 [[매곡리공영차고지]]로 연장된 후 차고지 앞을 지나가기만 할 뿐, 무정차 통과한다. 따라서 성서1(-1)번 타고 차고지에 가려면, [[한국산업은행]] 성서지점에서 하차해야 한다. 9번 권역을 제외한 대구광역시 및 인접 지역을 포함한 모든 권역을 드나드는 등, 은근히 발이 넓은 업체다. 아니, 사실상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업체들 가운데 발이 제일 넓다고 봐야할 수준.[* 사실 준공영제 이전의 910번을 통해 [[시지(대구)|시지지구]]로 드나든 적이 있긴 하지만, 그 이후로 노선 개편이나 신규 노선 배정에도 9번 권역은 들어가지 않았다. 그나마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과 518번의 [[공동 배차]] 때문에 8번 권역에 발을 담그기 시작했고, 그 후로 7번과 9번 권역만 남은 상황이었으나 [[대구 버스 급행7|급행7번]]의 증차 때문에 이젠 강북 지역까지 진출했다가,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 증차건으로 철수 후 강북지역에서 철수했다. 급행7번 철수 이후 강북지역은 출근맞춤노선 [[대구 버스 7250|7250번]]만 들어가게 되었지만 [[군위군의 대구 편입]]으로 노선 재배정을 통해 다시 급행7번을 운행하게 되었다. ] 또한 차고지는 [[달서구]] 갈산동 성서산단에 있지만, [[서구(대구광역시)|서구]] 지역을 관통하는 노선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서구 지역의 1인자이기도 하다(...)[* [[서구(대구광역시)|서구]]를 지나는 노선이 전무했던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은 [[하빈면]] 봉촌리로 이전한 후 서구 노선을 대거 보유하게 되었다.] == 차량 == [[자일대우버스 BS|대우차]]는 2009년까지 출고했고, 그 이후부터는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차]]만 출고하고 있다. 특히 [[대구 버스 503|503번]]에 들어갔었던 2008년식 BS106 정규차량 1대는 고장이 잦아 2014년에 예비차로 강등당한 후,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개편]] 때 살생부에 올라갔다.[* 해당 차량이 쓰던 면허는 2019년 4월에 일반버스 순수증차 조치를 통해 부활했고, 신흥버스가 급행과 일반에 각각 1대씩 증차했을 때 현대 입석차량으로 1대 출고하여 [[대구 버스 518|518번]]에 투입되었다.] 이후 남아 있던 구형 대우차량들도 2016년~2017년 초 사이에 모두 대차되었고,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에 투입된 2009년식 4대도 2018년 6월에 모두 현대 저상버스로 대차되면서 현대 원메이크 업체가 되었으나[* 2007년까지 대우차를 출고한 [[관음교통]]보다 3개월 더 앞서서 현대 원메이크 업체가 되었다.] [[우진산전]]의 [[우진산전 아폴로|아폴로 1100]] 2대를 도입하면서 현대 원메이크가 깨졌다. 대구에서 마지막으로 역방향 좌석이 달린 현대 [[저상버스]]를 운행한 회사다.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1번]]에 투입되던 4호 저상으로[* 6호 저상까지 역방향 좌석이 달려 있는데, 5/6호 저상은 4호 저상보다 먼저 대차되었다.], 내구연한 만료와 함께 면허 말소로 완전히 퇴역. 그러다가 2019년 4월에 좌석버스로 순증차되어 급행5번에 투입되었다. 말소된 면허에서 순증차되어 면허가 부활되었지만, 저상버스에서 좌석버스로 출고된 케이스.[* 순수증차는 아니지만,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에서 신도색 현대 저상버스의 차령이 만료된 후 개선형 좌석버스로 대차한 일이 있다.] 2015년 8월의 개편으로 급행노선 4개가 신설되자, 많은 회사들이 입석차량을 좌석차량으로 개조해서 급행노선에 투입했다. 다만 이 회사는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을 운행하게 되면서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1)번]]에 있던 좌석차량들과 좌석 예비차들을 급행노선으로 이동시켰기 때문에, 좌석개조차량은 2008년식 예비차 1대뿐이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회사들 중 [[남도버스]]와 더불어 2015년식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며, 2016년 5월 남도버스에서 신흥버스 취소분 현대 저상버스를 구매하여 유일하게 2015년식 이후의 사이드 마커램프 부착 차량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으나 같은 해 7월 2005년식 좌석버스를 대차하면서 대구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 마지막으로 사이드마커 장착 차량을 들여오게 되었다.[* 반대로 대구 최초 사이드 마커램프 부착 차량은 [[세운버스]]의 [[자일대우버스 BS|NEW BS106]]이다. 현대차 중에서는 일반버스는 [[광남자동차]], 저상버스는 [[영진교통]]에서 굴리고 있다. 영진교통은 당시 [[자일대우버스]]의 파업 때문에 출고했던 차량이다.] 2016년 12월 16일에 [[현대 블루시티|블루시티]]를 도입하여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과 [[대구 버스 503|503번]]에 투입했다. 이는 [[세진교통]], [[달구벌버스]]에 이어 [[대구광역시|대구]]에서 3번째며, 지선버스에는 블루시티가 처음으로 투입되었다. 503번에 들어갔던 블루시티는 2021년 7월 31일에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으로 이동했다.[* 대구 간선 블루시티는 [[대명교통]]의 [[대구 버스 650|650번]]만 남았다.] 대구에서 마지막으로 구형 번호판이 달린 2006년식 현대버스를 운행했다. 해당 차량은 대구 최후의 페이스리프트 이전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버스이기도 하다. 2017년 7월 15일에 2017년식 현대 좌석버스로 대차되었다.[* 대구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구형 번호판이 달린 2006년식 대우버스는 [[세운버스]]의 차량으로, 대구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파란색 도색을 적용한 BS106 좌석버스이며, 2017년 7월 말까지 운행했다.] 뒤쪽 엔진도어에 네모난 방열구를 추가로 장착한 차량들이 목격되고 있다. 엔진 내부 열을 밖으로 방출하기 위해 설치한 장치인데, 타 회사들이 구멍을 무수하게 뚫는 것(람보질이라고 불리는 그것)보다 깔끔해서 비교적 보기는 좋다. 급행 노선에 종종 입석 예비차를 넣어서 논란이 됐던 적이 있다.[* 과거에 신흥버스가 입석 도색(재도색) 차량을 급행1번에 넣었으나, 시트는 좌석버스 그대로여서 논란이 되지 않았다.] 정작 가장 먼저 논란을 일으킨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은[* 우진교통은 2015년 대구시 시내버스 개편 때 급행1번을 맡으면서 2008년식 입석차 1대를 개조했다. 다만, 급행1번 차량소모와 팔공산증회운행 차출을 고려하면, 예비차 1대는 역부족이었다.] 민원이 터져 나오자 즉시 이를 수용해 예비차를 전량 좌석버스로 바꾼 것[*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의 이런 행보 이후에 대중들은 민원을 적극 수용하고 반영하는 개방적인 태도에 감탄하며 모범업체라고 여기고 있다.]과 달리 여전히 좌석 예비차를 추가로 확보하지 않는 것이 의문이다. 2013년경에 대거 출거한 급행버스들을 제외하면 좌석 예비차량은 딱 1대 남았는데, 이마저도 2009년식이라 내구연한이 그리 넉넉하지 않기 때문에 노후차량 교체시 급행버스의 출고가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나 [[대구 버스 급행7|급행7번]]까지 담당하게 되면서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된 듯하다. 2019년 3월 중순에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최초로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플러그인)]]를 도입했으며, FCEV는 2021년 11월에 2대를 인도받았다. 이후 [[우진산전 아폴로|우진산전 아폴로 1100]]도 2대 인도받았다. 2022년 11월 초에는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를 2대 출고해 [[대구 버스 518|518번]]에 투입했다. 대구광역시에선 세번째로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초기형, 개선형을 둘 다 보유하는 회사가 되었다.[* 첫번째는 2021년 11월 [[경북교통]]이 달성했고, 두번째는 2022년 9월 [[우주교통]]이 달성했다. 신흥버스와 우주교통은 수소전기버스도 있다.] 여담으로, 전기버스에 대한 평가는 [[우진산전 아폴로|우진산전 아폴로 1100]] 보다 차를 한대라도 더 만들어 본 현대자동차의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가 낫다고 평가하는 회사 중의 하나이다.[* 이는 대구 [[대명교통]]도 똑같은 평가를 한다고 한다] == 운행 노선 == || 노선 번호 || 인가대수 || 저상버스 || 공동배차하는 회사 || ||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 4대 ||<|3> - || [[경북교통]][br][[세진교통]] || || [[대구 버스 급행7|급행7번]] || 4대 || [[동명교통]][br][[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 ||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 || 3대 || [[세운버스]][br][[해피투게더 세한여객|세한여객]][br][[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 || || '''[[대구 버스 425|425번]]''' || 11대 || 7대 || [[관음교통]] || || '''[[대구 버스 503|503번]]''' || 13대 || 10대[* 전기버스 5대, 수소버스 1대] || [[대일버스]] || || '''[[대구 버스 518|518번]]''' || 10대 || 5대[* 전기버스 2대,수소버스 1대] || [[달구벌버스]] || ||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 || 14대 || 9대 || 현대교통 || ||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 || 10대 || 7대 || [[경신교통]][*서구1] || || [[대구 버스 7250|7250번]] || 1대 || - || 경신교통[br]동명교통[br][[우주교통]] || ||<-2> 정규 차량 ||<-2> 69대 || ||<-2> 예비 차량 ||<-2> 4대[* 맞춤버스 차량 1대 포함] || || 전체 || 73대 || 38대 || 도입률 52%[* 급행버스 제외 시 실질 도입률 61%] || [[분류:버스 회사]][[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55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