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lladex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Johnsylladex.gif]] [[홈스턱]]에 등장하는 일종의 [[인벤토리]] 시스템. == 특징 == 실라덱스에 물건을 넣는 행위를 캡쳐로그라고 하며, 캡쳐로그를 하면 카드 상태가 되어 실라덱스에 저장되어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다. 그러나 언제든지 원하는 아이템을 꺼내쓸 수 있는 일반적인 인벤토리 시스템과 달리, 인벤토리에서 아이템을 꺼내는 규칙인 페치 모더스가 있다. 규칙딱히 스버브의 게임에서만 나타나는 시스템이 아니라 게임을 하기 전인 현실 세계에서도 나타난다. 캐릭터에 따라 사기적인 실라덱스([[존네 아빠]],[[제이크 잉글리쉬]])등을 가진 캐릭터도 있고 매우 비효율적인 방식의 실라덱스를 가진 캐릭터도 있다. 다만 자신의 실라덱스 시스템을 평생 써야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다른 시스템으로 바꿀 수도 있다. 작 중 묘사에 따르면 실라덱스 시스템을 패키지로 묶어 사고파는 듯. 시스템에 따라 너무 큰 물건은 캡쳐로그하지 못할 때도 있다. 그리고 캡쳐로그 카드 상태로 꺼내서 쓸 수도 있다. 캡쳐로그 카드를 뒤집으면 코드가 써있는데, 이 코드는 [[스버브]] 게임 시스템 중 하나인 연금술에 쓰인다. [[솔럭스 캡터]]의 전투 스페시버스가 부서진 것과 [[겜지 마카라]]가 그의 실라덱스 속의 노트북을 집어서 꺼낸 걸 보면 물리적 실체가 있는 듯 하다. [[미드나잇 크루]]를 비롯한 [[추방자들]]은 실라덱스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다. [[미드나잇 크루]] 멤버들은 실라덱스에 대응하는 카드 덱 시스템을 사용하며, [[추방자들]] 중 하나인 [[변덕스러운 방랑자]]는 그냥 물건을 집어서 사용하는 탓에 물건을 자꾸 떨어뜨리곤 한다. 사물이 든 금고를 해금하려면 별도의 상당한 프로그래밍 실력이 요구되는 불편한 실라덱스를 가진 [[카르켓 반타스]]도 마찬가지. 초반에는 캐릭터들이 자신의 실라덱스를 불편하게 사용하고 실라덱스를 사용한 기술이나 사고 등이 자주 등장해 실라덴스가 차후 중요하게 사용될 요소처럼 암시되지만, 정작 후반부에서는 특수한 실라덱스를 가진 인물들이 매우 큰 물체들을 넣고 빼는 능력이 있는 정도 외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니까 [[데이브 스트라이더]]나 [[로즈 라론드]]의 실라덱스를 이해하려 한다던가 할 필요 없다는 거다.~~ == 종류 == === 전투 덱(strife deck) === 특정 종류의 무기를 무한정 저장할 수 있는, 실라덱스와는 구분되는 인벤토리 시스템. 한 종류의 무기들을 여럿 집어넣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개의 무기 종류를 소지 할 수 있다. [[존 에그버트]]는 이를 --악용--이용하여 토끼 인형을 전투 스페시버스에 안전하게 보관해뒀다. 캡쳐로그 카드가 있고 뒷면에 코드가 있는 것은 일반 실라덱스와 마찬가지. === 페치 모더스(Fetch Modus) === ==== 인간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tackModus.pn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QueueModus.png|width=1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ArrayModus.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ArrayQueueStackModus.png|width=100%]] || || 스택 || 큐 || 배열 || 큐스택 배열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TreeModus.jp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HashmapModus.pn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HashmapModusBack.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WalletModus.png|width=100%]] || || 트리 ||<-2> 해시 맵 || 지갑 || ||<-3> [[파일:attachment/Homestuck/아이템/GAMES.jpg|width=100%]] || ||<-3> 보드게임 12종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emoryModus.pn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JengaModus.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ictionaryModus.png|width=100%]] || || 메모리 || 젠가 || 픽셔너리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ecipeModus.pn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ecipeModus2.pn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uzzleModus.pn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essageBottleModus.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echHopModus.png|width=100%]] || ||<-2> 레시피 || 퍼즐 || 병 속의 메시지 || 테크 홉 || * [[스택(자료구조)|스택]](후입선출) [[존 에그버트]]가 처음에 사용하던 실라덱스. 왼쪽에서 물건을 넣으면 오른쪽으로 물건이 밀려난다. 왼쪽, 즉 맨 나중에 넣은 물건을 맨 먼저 꺼내는 구조. 실라덱스가 가득 찼을 때 물건을 넣으면 맨 오른쪽 물건이 강하게 튕겨나온다. * [[큐(자료구조)|큐]](선입선출) [[존 에그버트]]가 두 번째로 적용한 실라덱스. 먼저 넣은 물건을 먼저 꺼내는 구조. * [[배열]] [[존 에그버트]]가 생일 선물로 받은 실라덱스로 어떤 캡쳐로그 카드에서든 마음대로 물건을 넣고 꺼낼 수 있다. 그러나 튕겨나가게 하는 것은 못 한다. * 큐스택 배열 [[존 에그버트]]가 배열 모드가 재미 없다며 위의 세 실라덱스를 모두 합쳐 만들어낸 실라덱스. 배열보다 쓰기 불편하다. 대신 실라덱스에서 물건을 튕겨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물건 투척은 쓴 적도 없다.-- * [[트리]] [[로즈 라론드]]의 실라덱스. 첫번째로 캡쳐로그된 카드는 뿌리 카드, 그 뒤부터 가지나 잎 카드로 캡쳐로그 된다. 알파벳순으로 자동정렬되며 자동 밸런싱 기능[* [[트리(그래프)#s-4.1.2.1|AVL 트리]]로 추측된다.]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뿌리 카드부터 꺼낼지, 잎 카드부터 꺼낼지도 고를 수 있는데, 뿌리 카드를 꺼내면 그 아래 카드들이 전부 튀어나온다. * [[해시]] 맵(Hash Map) [[데이브 스트라이더]]의 실라덱스. 여러 해쉬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맨 처음 나온 방식은 캡쳐할 물건의 자음을 2, 모음을 1로 바꾸고 총 합을 가지고 있는 카드 갯수로 나눈 나머지 값에 해당하는 카드에 들어가는 식이었다.~~뭐?~~[* 상자(BOX)의 경우 10개의 카드를 가지고 있을 때 BOX=2+1+2=5, 5÷10=5이므로 카드 5에 들어간다.] 같은 값이 나오는 물건을 캡쳐로그하면 원래 있던 물건이 강하게 튀어나온다. 충돌 감지 기능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내쫓기 버튼으로 실라덱스 안의 모든 물건을 내쫓을 수 있다. * [[제이드 할리]]의 실라덱스들 [[제이드 할리]]가 [[할리 할아버지|할아버지]]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받은 12종류의 실라덱스. 전부 실존하는 [[해즈브로]]의 보드 게임 이름이다. 작중에는 Memory, Jenga, Pictionary를 사용했다.[* 나머지는 [[https://en.wikipedia.org/wiki/Operation_(game)|Operation]], [[https://en.wikipedia.org/wiki/Guess_Who%3F|Guess Who?]], [[위저 보드|Ouija]], [[배틀십|Battleship]], [[커넥트 포|Connect Four]], [[Clue]], [[야찌|Yahtzee]], [[모노폴리(보드 게임)|Monopoly]], [[보글|Boggle]]] * [[https://en.wikipedia.org/wiki/Concentration_(card_game)|Memory]] 캡쳐로그한 물건이 두 개의 카드로 나눠진 뒤 임의로 섞인다. 다시 꺼낼 때는 짝을 맞추면 된다. 원래는 불편한 모드이지만, 제이드는 직감이 좋아 한번에 맞춰버리기 때문에 애용한다고. 제이드가 [[독자|'당신']]에게 짝을 맞춰볼 [[http://www.mspaintadventures.com/?s=6&p=002708|기회]]를 줬는데, 당신이 4번 다 엉뚱한 과일을 꺼내서 제이드는 [[제4의 벽]]을 깬것을 후회했다. * [[젠가|Jenga]] 캡쳐로그한 물건이 세 개의 캡쳐로그 블록으로 나뉜 뒤 블럭탑에 랜덤 배치된다. 꺼낼 때는 세 블록을 탑에서 빼내면 된다. 탑이 무너지면 캡쳐로그한 물건들이 전부 튀어나온다. * [[https://en.wikipedia.org/wiki/Pictionary|Pictionary]] 원본 pictionary는 [[캐치마인드]]와 비슷한 보드게임이다. 주변에 있는 물체의 그림을 그리면 그 물체가 캡쳐로그되지만 없다면 '고스트 이미지'가 캡쳐로그된다. 그 캡쳐로그 카드도 원래 물건의 코드를 가지고 있다. * [[지갑]] [[존네 아빠]]의 실라덱스. 상당히 거대한 물건을 캡쳐로그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여 및 양도,혹은 '''도난'''이 가능하다. 존이 지갑 내용물을 확인했을 때는 1톤 분량의 면도크림, 파이프 무더기, 면도날 무더기, 예비 자동차, 서커스 티켓 조각, 서류들로 가득 찬 서류가방, 사진들, 크로스비톱 노트북, 10톤 분량의 파이프담배 무더기, 라이터가 캡쳐로그되어 있었다. * 레시피(Recipe) [[제인 크로커]]의 실라덱스. 캡쳐로그한 물건의 코드 대신 조합방법이 나온다. * 퍼즐(Puzzle) [[제이크 잉글리쉬]]의 실라덱스. 큰 물건을 캡쳐로그할 수 있다. 정확히는 커다란 공간 안에 카드들을 '퍼즐'처럼 끼우는 방식. 수용 가능한 공간이 엄청나게 큰 듯 하다. 단 무한정은 아니다. * 병 속의 메세지(Message in a Bottle) [[록시 라론드]]의 실라덱스. 캡쳐로그한 물건이 병에 담기고 꺼내려면 병을 부수어야 한다. * 테크 홉(Tech-Hop) [[더크 스트라이더]]의 실라덱스. 캡쳐로그한 물건들은 SHADE 행과 GROOVE 열에 배치된다. SHADE 행의 물건들은 운율이 같아야 하고 GROOVE 열의 물건들은 유사한 테마를 가져야 한다. ==== 트롤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EncryptionModus.pn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OuijaModus.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iracleModus.png|width=100%]] || || 암호화 || 위자 || 기적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hastityModus.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EightBallModus.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cratchAndSniffModus.png|width=100%]] || || 순결 || 8볼 || 긁고 맡기 || * 암호화(Encryption) [[카르켓 반타스]]의 실라덱스. 캡쳐로그한 물건이 캡쳐로그 카드가 아닌 캡쳐로그 카드 모양의 금고에 들어가고 꺼내려면 '''해킹'''해야 한다. 이 금고도 캡쳐로그 할 수 있다. 이 금고가 꽤 무거운지 카르켓은 금고를 캡쳐로그 했다가 집의 바닥을 박살냈다. 정말 불편한 타입이라 카르켓은 나중에 솔럭스(컴퓨터가 특기인 트롤이라고 돌려 말했지만.)와 페치 모드를 교환할 생각을 했다. 진짜로 교환했는지는 불명. * 위자(Ouija) [[아라디아 메기도]]의 실라덱스. 꺼낼 물건을 [[위저 보드]]를 통해 유령이 정한다. [[제이드 할리]]도 이 실라덱스를 가지고 있지만, 사용하진 않았다. 상당히 불편한 녀석이지만 아라디아는 별 불만 없는 듯. * 기적(Miracle) [[겜지 마카라]]의 실라덱스. 본인도 작동원리를 모른다. 알 생각도 없다. 그냥 캡쳐로그한 카드들이 끊임없이 제멋대로 빠르게 위치를 바는데([[:파일:실라덱스기적모드.gif|#]]) 이 특징 때문에 겜지는 가끔 물건을 집어서 색을 보는 것을 즐긴다.([[https://homestuck-kr.tistory.com/entry/003914|#]]) 넣는 건 간단하지만 꺼내는 것은 기적과도 같은 난이도를 자랑하며([[https://homestuck-kr.tistory.com/entry/003920|#]]) 물건을 꺼내려 할 때면 다른 물건이 엄청나게 세게 튕겨나가기도 한다. * 순결(Chastity) [[카나야 마리암]]의 실라덱스. 캡쳐로그한 물건은 Auxiliatrix 열쇠가 없으면 열 수 없다. 캡쳐로그한 직후에는 열쇠를 잃어버리고 나중에 그 물건을 꺼내야 할 때 열쇠가 나타난다. * 8볼(Eight Ball) [[브리스카 세르켓]]의 실라덱스. 캡쳐로그한 물건이 마법의 8볼이 되며 꺼내려면 그 8볼을 부수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 긁고 맡기(Scratch and Sniff) [[테레지 파이로프]]의 실라덱스. 긁으면 캡쳐로그 카드에서 그 물건의 냄새가 난다. ==== 기타 ==== * 주주(juju)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JujuModus.png]] [[칼리오페(홈스턱)|칼리오페]]와 [[칼리본]]이 공유하는 실라덱스.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캡쳐로그한 물건은 다른 한 사람만 쓸 수 있다. 빨간 색은 칼리본을, 녹색은 칼리오페를 상징한다. 두 사람이 서로 사이가 나쁘기 때문에 실라덱스라기보다 쓰레기통에 가깝게 쓰이게 되었다. 또한 칼리본은 이 실라덱스를 이용해 칼리오페에게 불쾌한 메모를 남기기도 했다. {{{#!folding [스포일러 주의!] 칼리본이 칼리오페를 죽인 후에는 칼리본 혼자서 캡쳐로그하고 꺼낼 수 있게 되었다. [[파일:external/cdn.mspaintadventures.com/05442.gif]] }}} == 외부 링크 == * [[https://mspaintadventures.fandom.com/wiki/Sylladex]]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홈스턱/아이템, version=86, paragraph=2)] [[분류:홈스턱/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