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파워풀 프로야구 시리즈)] [youtube(eXnReX1EpzE)] 작화감독 [[키가미 요시지]] ||<-2><:>'''오프닝 테마'''|| ||'''제목'''||Catch Up Dream!|| ||'''가수'''||ASACO|| ||'''작사'''||ASACO|| ||'''작곡'''||[[극단레코드|히로노 토모아키]], [[猫叉Master|사토 나오유키]]|| ||'''편곡'''||쿠로미츠 켄고|| [include(틀:navervid, vid=9D24B5821D79EBEE8324880AE4DB2F78ED65, outkey=V12104ccce1825e76841b81e760f310062bc72701117aa6c5615281e760f310062bc7)] [목차] == 소개 ==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0번째 시리즈. 2003년 7월 17일 발매. [[플레이스테이션 2]]로 발매된 네번째, [[게임큐브]]로 발매된 두번째 작품이다. PS2판은 전작까지는 매체가 CD였지만 본작부터 DVD로 변경되었으며, 게임큐브판은 본작부터 저장하려면 반드시 메모리 카드 251 이상이 필요하다(세이브 데이터가 95블록을 차지하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 59는 저장 불가)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편]]과 더불어 실황야구의 전성기의 작품. 9편보다는 아니였지만 석세스의 스토리나 인기도 좋았으며 오프닝도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을만큼]] 고퀄리티.[* 8부터 11까지는 [[교토 애니메이션]]에서 오프닝·엔딩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다.] 로고에 살짝 변동이 있었다(実況자의 폰트 변동). 실황 해설자가 9의 츠지 요시나리에서 카와지 나오키(河路直樹)로 교체되었다. [[도쿄돔]] 시절의 [[닛폰햄 파이터즈]]가 이 시리즈를 마지막으로 사라진다. 마이라이프에서 2004년 [[홋카이도]] [[삿포로 돔]]으로 이전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지만 구단기, 구단명, 유니폼은 안 바뀌고 그대로 나온다. 시스템 상으로는 실황 시리즈의 밥줄인 '''마이라이프'''가 첫 등장한 작품. 다만 10의 마이라이프는 특유의 교류나 취미생활 등이 없는, 연습->경기를 반복하는 단순한 모드에 가까웠다. 차기작인 11부터 특유의 시스템이 추가된다. 대결! 전설선수라는 모드가 있는데 OB들과 대결하는 모드로, 각 시대별 투수나 타자들을 계속해서 상대해가는 모드. 상대해서 이긴 선수는 사용이 가능해지며, 본작에서 OB를 해금하는 방법은 이 모드를 플레이하는 것 뿐이다. 여담으로 마지막 시대인 80~90년대 OB투수에는 [[선동열]]도 등장한다. 이 모드는 차기작인 11에는 없어졌다가 11 초결정판에서 다시 추가되었고, 이후로는 더이상 등장하지 않고 있다. 여담으로 10의 석세스 모드의 [[https://youtu.be/1IktqhX6Ffw|시합 음악]]은 많은 팬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다만, 초결정판에서는 [[https://youtu.be/yhxXhEKIsCU|음악]]이 바뀌었다(마이라이프에서는 변경없이 그대로 나온다). 참고로 결정판은 시리즈에서 최초로 초결정판에 유일하게 메모리얼 작품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왔는데 그 이유가 별게 아니다. 이 작품이 발매된 2003년 1985년 우승 이후 오랜기간동안 우승을 맛보지 못하고 암흑기를 겪어야 했던 [[한신 타이거스]]가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기나긴 암흑기를 청산하고 18년만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했기 때문에 한신빠심이 강한 제작진이 그걸 기념하기 위해 거창하게 타이틀을 붙여버린것(...) 이 한신빠심을 한눈에 볼수 있는게 결정판은 원래대로라면 그 시즌의 [[일본시리즈]] 우승팀이 있는 리그가 팀 선택시 가장 앞에 위치해야 하는데 이 작품만큼은 한신이 가장 앞에 위치해 있다. 게다가 한신 우승 버프인건지 다른 팀에 비해 한신선수들이 실제 성적에 비해 유독 튀게 능력치가 높게 설정되어있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340의 타율로 미트 A를 부여받은 이해 [[센트럴리그]] [[수위타자]](타율 1위) [[이마오카 마코토]]('''今岡'''誠). 이 당시 능력치 책정 기준이라면 최소 .345는 넘겨야 미트 A를 부여받았는데 이마오카는 우승빨+수위타자 보정으로 미트 A에 찬스 5라는 사기적인 능력치를 자랑한다.[* 다만 이마오카가 원래 찬스에 강한 타자가 맞긴 했다. 2003년 주전 1번타자(그 뒤의 2번타자가 바로 [[아카호시 노리히로]]였다.)로 뛰면서 타율 .340/12홈런/72타점의 호성적을 남겼고, 그해 리그 최고의 득점권타율 .428를 기록하였다. 2년 뒤인 2005년 우승 당시엔 주전 5번타자로 뛰면서 타율 .278/출루율 .345/장타율 .488/OPS .834 의 평범한 성적을 남기고도 무려 29홈런 '''147타점(그것도 [[NPB]] 역대 3위, 한신 구단사상 최고기록!'''의 괴물같은 성적을 기록했는데, 이런 평범한 성적으로도 그 정도의 타점을 기록 가능했던 건 득점권타율 .371, 만루타율 '''.600''', 만루홈런 4개를 포함한 득점권홈런 15개 등 찬스에 매우 강했던 그의 면모 때문이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이마오카는 2005년 시즌 이후 부상 등에 시달리면서 제대로 성적을 내지 못해 주전 자리에서 밀려나 버렸고, 결국 [[치바 롯데 마린즈]]로 이적해서 왕년의 강타자에 어울리지 않는 말년을 보내며 쓸쓸하게 은퇴해야 했다.] 그외에 규정타석도 못채우고 3할도 못넘겨서 원래대로라면 미트 D를 부여받아야 하는 [[카타오카 아츠시]]('''片岡'''篤史) 역시 미트 C로 책정기준을 넘어선 능력치를 부여받았다. 그 외에도 전체적으로 투타를 안가리고 특수능력이 덕지덕지 붙어있는것은 덤.] 이 초결정판은 11까지 이어졌는데 그다지 반응이 좋지 않아서였는지 12부터는 그냥 결정판이라는 타이틀로 돌아갔다. 개막판 한정으로 양 플랫폼 모두 네트워크망을 통한 선수의 업로드/다운로드를 지원하였다(2020년 현재는 이미 서비스 종료). 게임큐브에서 네트워크 기반 선수 업/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시리즈는 본작이 유일무이하다(다음 지원작인 11 초결정판은 PS2만 지원). 또한 게임큐브의 모뎀 어댑터(56kbps 전화 모뎀)를 지원하는 단 둘밖에 없는 게임 중 하나이다(나머지 하나는 [[판타시 스타 온라인]]). OST는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파워프로 음악관 2'이라는 명칭으로 발매되었다. 본작 이외에도 6, 99, 2000(N64), 2000(PS1)의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덤으로 [[PS1]]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Premium Edition" 이라는 이름으로 이식하여 발매한 최후의 작품. 그 이후로 [[PSP]]/[[PS Vita]] 등으로 휴대용 게임기에 서브 시리즈 이식을 내놓는다. 하지만, 휴대용 게임기는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8|2018]]이 마지막을 하였고 이후 타기종인 [[닌텐도 스위치]]로 발매[* [[닌텐도 64]] 이후 18년만에 [[파워프로]] 시리즈가 이식] 된다. == 석세스 모드 == [[파일:pawa10.jpg|width=400]] 석세스는 프로야구편이지만, 실존 구단에 들어갔던 이전작들과는 다르게 '가상의 구단이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에 각각 두 팀씩 창단되었다' 라는 설정으로 해당 팀들만 선택이 가능하다[* 이후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4|14]]에서 이 네팀들이 세리그/파리그에서 분리되어 신규 창단된 두 팀과 함께 '레볼루션 리그'라는 새로운 리그가 탄생하여 3대 리그제로 운영한다는 설정이 되었다.]. 해당 팀들의 명칭은 간바리[* 일본말로 힘내라(頑張)] 파워풀즈, 이카리 카이저스[* 참고로 영어 철자가 우리가 아는 이 '''[[카이저|Kaiser]]'''가 아니라, 이 '''Keyser'''인데, 발음이 똑같은 것을 이용한 [[언어유희]]다. 실제로 미국 웨스트 버지니아 주에 이 이름을 가진 도시가 있다.], 맛타리 캣 핸즈, 극악 양키즈. 그리고 초결정판에서는 '''석세스 올스타즈'''가 추가되었다. 파워풀즈는 파워라는 말이 들어갔음에서 알 수 있듯이 전통적으로 선수 키우기는 보통인 곳, 캣 핸즈는 스폰서 기업이 도산해버려서 [[파워프로군]]이 스스로 새 스폰서 기업 협상에 찾아가는 전대미문의 시나리오. 양키즈는 다른 팀에서 선수와 팀을 '임대'해 올 수 있는 시스템이 있고[* 때에 따라서 [[이카리 마모루]]나 [[하야카와 아오이]]와 같은 선수들을 임대할 수 있다.], 이카리 카이저스는 아카츠키 고교 및 대학에서 나온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테스트가 있다. 그리고 초결정판에 등장하는 석세스 올스타즈는 나만의 구단과 같은 방식으로 매니저[* 후보는 [[카토 쿄코]], [[파워프로군 포켓1]], [[파워프로군 포켓3]]의 히로인 [[요미치 사토미]], 파워프로 2001에 등장했던 나기사, [[히메노 카렌]] 4명.]를 선택하고, 역대 석세스의 오리지널 선수들을 영입해 [[일본시리즈]] 우승까지 향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작의 결정판의 타마하치 고교와 똑같은 방식인데 지면 무조건 끝이다. 다만 시합에서 져도 원하는 팀으로 스카우트가 된다.] 2세대 캐릭터인 [[토모자와 료]]와 [[타치바나 미즈키]]가 첫 모습을 보인 작품. 아직 세계관 면에서는 [[이카리 마모루]]가 라이벌인 1세대이기 때문에 토모자와와 미즈키는 [[파워프로군]]의 후배로 등장한다. === 등장 인물 === * 레귤러 캐릭터 * [[파워프로군]] * [[야베 아키오]] * 간바리 파워풀즈 * 하시모리 시게야 : 간바리 파워풀즈의 1군 감독. 현역 시절에는 3루수를 맡았으며 간바리 파워풀즈의 황금시대 때 '''미스터 파워풀즈'''라 불리운 프렌차이즈 스타이기도 하다. 나이는 놀랍게도 후쿠야 하나오와 동갑내기. * 후쿠야 하나오 : 간바리 파워풀즈의 슬러거. 포지션은 3루수이며 FA 문제로 인해 조금 고민하고 있다. 주인공과 타격 우정 태그가 있다. 참고로 나이는 28살. * 코바 요시키 : 간바리 파워풀즈의 최고참 선수이며 포지션은 1루수. 하시모리 감독과 함께 과거 간바리 파워풀즈의 황금시대 멤버로서 [[클린업 트리오]] 중 한 명이었으나, 최근에는 부진한 성적을 보이면서 은퇴를 앞두게 된다. 하지만 자신의 아들 스나오를 위해 재기하기로 노력한다. * 타테니시 츠토무 : 간바리 파워풀즈의 투수로 주인공이 2년차 때 입단하는 드래프트 1위의 루키. 제구력과 변화구가 뛰어난 것이 장점이지만 체력이 약하다는 약점이 있다. 모교는 미나미 나니와가와 고교(南ナニワ川学園高校)이며 [[간사이벤]]을 쓴다. * 이카리 카이저스 * 카미시타 레이토 : 이카리 카이저스의 1군 감독. 현역 시절에는 간바리 파워풀즈의 황금시대의 에이스 투수였으며 위닝샷은 싱커. 간바리 파워풀즈의 하시모리 감독과는 동기 사이이다. 냉철한 성격의 소유자이며 책임감도 강하다. * [[이카리 마모루]] * [[이카리 스스무]] * [[토모자와 료]] * 올리버 드리튼(オリバー・ドリトン) : 이카리 카이저스의 용병 타자로 포지션은 1루수와 외야수. 메이저에서 활약하다가 이카리 카이저스에 스카우트 되었고, 입단 첫 해에 40홈런을 때리는 실력을 보여준다. 다만 미국 야구를 신봉하는 탓에 일본 야구를 깔보는 태도를 보여 팀원들과 갈등을 빚기도 하며, 이를 반영한 "그것이 아메리카다!(ソレガアメリカダ!)" 라는 말버릇이 있다. 주인공과 근력 우정 태그가 있다. * 이카리 시게루 : 이카리 마모루, 스스무 형제의 아버지이자 이카리 콘체른의 회장. 약소 팀이였던 민들레 카이저스[* 99 사회인 야구편에 등장한 민들레 제작소가 스폰서 기업이였다]를 인수하여 이카리 카이저스로 팀명을 변경한 뒤 --[[돈지랄]]-- 돈을 풀어 강팀으로 만들고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와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에 있던 자기 아들들을 '''현금 트레이드'''로 카이저스에 데려왔다. * 맛타리 캣 핸즈 * 세와타리 요시오 : 맛타리 캣 핸즈의 1군 감독. [[호색한]]으로 보이지만 현역시절에는 [[명선수는 명지도자가 될 수 없다|우수한 투수]] 였다고 한다. 변덕이 심해서 주인공을 '''[[2군]]으로''' 떨어뜨리기도 하거나 '''[[꼰대|특훈을 시키기도 한다]]'''. * [[하야카와 아오이]] * [[타치바나 미즈키]] * 극악 양키즈 * 야기 스구루 : 극악 양키즈의 1군 감독. 지긋한 나이의 소유자로 현역 시절 때의 모습은 아무도 모른다고 한다. 하지만 눈썹에 가려져 있는 눈썰미는 아주 예리하다. * [[아바타 야스시]] * 반도 쵸지 : 극악 양키즈의 '번장'[* 쉽게 얘기해 팀 분위기 상으로 주장으로 볼 수 있다.]으로 3루수. 타격 폼은 [[오치아이 히로미츠]]와 비슷하며 주인공과 타격 우정 태그가 있다. 주인공을 타자로 육성해서 3년차 때 일본시리즈 우승을 하면 미국의 레드 엔젤스로 이적하는데, 이때 팀의 번장의 배트, 글러브, 스파이크 등을 주인공에게 주고 간다. * 한다 코테츠 : 극악 양키즈의 포수. 다만 이벤트에 따라 1군으로 올라오자마자 다이어트를 해 날렵해지면서 수비의 핵으로 활약하는 경우도 있고, 그냥 뚱뚱한 체격을 유지해서 포수로 활약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한다는 수비에도 엄청난 실력자였다고 한다.] 주인공과 수비 우정 태그와 근력 우정 태그가 있다. * 타카노 유우키 : 극악 양키즈의 투수. 구속은 평범하지만 간바리 파워풀즈의 타테니시와 함께 제구력과 변화구가 주 무기이다. 주인공과 멘탈 우정 태그가 있다. * 레드 엔젤스 * [[신도 유지로]] * 석세스 애인 후보 * 아이자와 우미 * 아이자와 소라 * [[히메노 카렌]] * 에밀리 이케다 크리스틴 : 미국에서 야구 유학을 할 때 만나서 사귈 수 있게 된다. 사귀게 되면 주인공을 따라 일본으로 오는데, 이때는 자신의 어머니의 집에서 지내며 데이트를 한다. 이 캐릭터는 추후 시리즈인 월드 고교 매니저로 재탕되어 등장한다. * 기타 * [[다이죠부 박사]] * [[카토 리카]] * [[카토 쿄코]] * 키야스다 쿄코 * [[게도군]] * 마이라이프 애인후보 * 시호 * 카오리 * 미카 * 마유미 * 아키코 * 요코 * 에미 * 사유리 [[분류:PlayStation 2 게임]][[분류:닌텐도 게임큐브 게임]][[분류: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시리즈]][[분류:2003년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