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의 하천)] {{{+1 [[深]][[谷]][[川]]}}}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일대에 흐르는 [[한강]] 수계의 지방[[하천]]. [[굴포천]]의 지류로 [[부천시]] 일대를 흐르는 또 다른 지방하천인 '심곡천'과는 한자까지 이름이 같지만 두 하천 간의 연관관계는 없다.[* 비슷한 원리로 [[심곡동(인천)|인천에도 심곡동이 있고]] [[심곡동(부천)|부천에도 심곡동이 있다.]] 인지도 측면에서는 부천시의 오랜 중심지 역할을 했던 부천 심곡동이 더 높은 편이다.] 하천의 총 길이는 10㎞에 이르지만 인천광역시가 지방하천으로 지정해서 관리하는 구간은 [[연희동(인천광역시 서구)|연희동]]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남쪽부터 [[청라동]]([[청라국제도시]]) 문점1교 부근까지 7.7km로 한정하고 있다. 인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천마산 기슭 [[한국은행]] 인재개발원 인근 지역에서 발원해 서쪽으로 흘러 간다.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앞부터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내 크리켓경기장 인근 삼거리까지 하천 상류 구간은 심곡동 개발 과정에서 복개됐으며 아시아드주경기장 남쪽부터 청라국제도시 동쪽과 남쪽으로 흐르고 있다. 과거에는 옛 청라도 남쪽에서 바로 서해로 흘렀지만 청라 일대에 대한 간척 사업이 진행되고 이 지역을 국제도시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물길이 달라졌다. 심곡천의 물길은 [[남청라IC]] 부근에서 북쪽으로 향한 뒤 [[서해]]로 흐르고 있다. 청라국제도시 1·4·5단지 남쪽의 하천변에는 [[청라호수공원]]과 연결되는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산책로도 있어서 주변 주민들의 산책과 운동 코스로 이용되고 있다. 다만 안타깝게도 하천의 수질은 깨끗한 편이 못 되는데 오래 전부터 심곡동, 연희동, 청라동 일대의 생활폐수가 이 하천으로 그대로 흘러들었고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서 악취가 나는 경우가 있다. 그럼에도 하류의 늪지대에는 [[금개구리]]와 [[맹꽁이]] 등 양서류가 살고 있으며 산책로에서는 종종 [[뱀]]이 등장하기도 한다. [[분류:인천광역시의 하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