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심능찬}}}'''[br]'''沈能璨'''}}}}}} || || '''자''' ||경방(景方) || || '''본관''' ||[[청송 심씨]][* 악은공파-석촌공 효상(孝尙)파 20세 능(能) 항렬.] || ||<|2> '''출생''' ||[[1859년]] [[2월 25일]] || ||[[경상도]] [[청송군|청송도호부]] 부서면 하덕천동[br](현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리 하덕천마을)[* [[http://cheongsong.grandculture.net/cheongsong/toc/GC06800822|#]]] || ||<|2> '''사망''' ||[[1903년]] [[5월 21일]] || ||[[경상북도]] [[청송군]]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1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심성지]]는 그의 아버지이며, 독립유공자 [[심능규]]는 부인 [[의성 김씨]](1854 ~ 1926. 7. 15)[* 김영수(金永銖)의 딸이다.]의 외사촌 오빠이다. == 생애 == 1859년 2월 25일 경상도 청송도호부 부서면 하덕천동(현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리 하덕천마을)에서 청송의진 의병대장인 아버지 [[심성지]]와 어머니 [[함안 조씨]](1823 ~ 1898. 10. 2) 조승욱(趙升煜)의 딸 사이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자식 없이 요절한 5촌 당숙 심강지(沈岡之, 1814 ~ 1843. 5. 21)에 입양되었다. 그는 1896년 1월 [[안동시|안동부]] 청송군에서 아버지 심성지가 의진을 결성하고 의병대장에 추대되자, 의진에 입대하고 자제군관(子弟軍官)에 선임되었다. 그해 2월 참모 겸 사병도총(司兵都摠)이었던 [[남승철]]과 함께 의병을 사칭해 민폐를 끼치는 자들을 처단하는 데에 일조했다. 그해 4월 심성지 의진이 [[김하락]] 의진, 김상종(金象鍾) 의진과 연계 하에 의병 활동을 할 때 참전했다가, 현내면 감은동(현 안덕면 감은리) 뒷산 기슭에서 [[일본군]]과 마주쳐 교전 끝에 병사 7~8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리는 데 일조했다. 그 뒤 부동면 상평동(현 주왕산면 상평리) 마평(馬坪)과 [[경주시|경주군]] 등지에서 교전하였지만 [[중과부적]]으로 패전하였고, 얼마 뒤에 좌익장 [[권성하]] 등과 함께 영덕의진을 지원하기도 했으나 곧 해산되었다. 의진이 해산된 뒤에는 청송군에서 은거하다가 1903년 5월 21일 별세했다. 2001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청송 심씨]][[분류:청송군 출신 인물]][[분류:1859년 출생]][[분류:1903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독립유공자 후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