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328년 출생]][[분류:1401년 사망]][[분류:청송 심씨]][[분류:고려의 군인]][[분류:고려 중흥공신]][[분류:문하시중]][[분류:조선의 음관]][[분류:조선의 공신]][[분류:영의정]][[분류:좌의정]]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태조-연산군))] || '''{{{#f0ad73 심덕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고려의 문하시중)] ---- [include(틀:고려 중흥공신)] ---- [include(틀:고려사)]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태조-연산군))]}}} || ||<-2> '''[[문하시중|{{{#670000,#fedc89 고려 문하시중}}}]]'''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판문하부사}}}]][br]청성백(靑城伯) 정안공(定安公)[br]{{{+1 심덕부}}}[br]沈德符'''}}} || || '''출생''' ||[[1328년]]([[충숙왕]] 15)|| || '''사망''' ||[[1401년]] [[2월 6일]][* [[율리우스력]] [[1월 28일]].] (향년 72 ~ 73세)[br](음력 [[태종(조선)|태종]] 1년 1월 14일)|| || '''[[봉호|{{{#fff 봉호}}}]]''' ||청성백(靑城伯){{{#!folding [ 펼치기 · 접기 ]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1386년(우왕 12)^^[br]청성군 충의백(靑城郡忠義伯)^^1389년(공양왕 1)^^[br]'''청성백(靑城伯)'''^^1393년(태조 2)^^}}}|| || '''[[시호|{{{#fff 시호}}}]]''' ||정안(定安)|| || '''[[본관|{{{#fff 본관}}}]]''' ||[[청송 심씨]]|| || '''[[자(이름)|{{{#fff 자}}}]]''' ||득지(得之)|| || '''[[아호|{{{#fff 호}}}]]''' ||노당(蘆堂), 허당(虛堂)|| || '''[[공신|{{{#fff 공훈}}}]]''' ||{{{-1 충근양절익찬좌명공신(忠勤亮節翊贊佐命功臣)}}}[br]안사공신(安社功臣)|| || '''부모''' ||부친 - 심용(沈龍)[br]모친 - 김씨(金氏)|| || '''부인''' ||초취 -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 [[청주 송씨]][br]재취 - 인천 [[문씨]](仁川門氏) 문필대(門必大)의 딸|| || '''자녀''' ||장남 - 심인봉(沈仁鳳) {{{-3 송씨 소생}}}[br]차남 - 심의귀(沈義龜) {{{-3 송씨 소생}}}[br]3남 - 심계년(沈繼年) {{{-3 송씨 소생}}}[br]4남 - 심징(沈澄, {{{-3 ? ~ 1432}}}) {{{-3 문씨 소생}}}[br]5남 - 청천부원군 [[심온]][* [[세종(조선)|세종]]의 국구(國舅)로 [[소헌왕후]]의 아버지.] {{{-3 문씨 소생}}}[br]6남 - 청원군(靑原君) 심종(沈淙), {{{-3 ? ~ 1418}}})[* [[태조(조선)|태조]]의 3녀 [[경선공주]]의 부마.] {{{-3 문씨 소생}}}[br]7남 - 심정(沈泟, {{{-3 ? ~ 1418}}}) {{{-3 문씨 소생}}}|| [목차] [clearfix] == 개요 == [[여말선초]]의 관료로 [[고려]]의 [[재상]], [[조선]]의 [[정승]]이다. == 생애 == 유력 가문인 덕에 [[음서]]로 관직 경력을 시작하고 고려 말 문하시랑찬성사, [[문하시중]], [[판문하부사]] 등을 역임한 재신(宰臣)이다. [[진포해전]]과 [[위화도 회군]]에 참여했으며 [[창왕]]을 폐위시키고 [[공양왕]]을 옹립한 [[흥국사(개성)|흥국사]] 9공신 중 한 명이다. 조선 건국 후 회군공신 1등에 봉해졌다. [[한양]] 천도를 결정한 뒤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의 판사 직에 올라서 궁궐([[경복궁]])과 [[종묘]]의 건립을 지휘했다. 이후에 판문하부사, [[영삼사사]]를 역임하고 [[정종(조선)|정종]] 때 [[정승|좌정승]]을 역임한다. 사극에서 비중이 없어 대중에게 [[심온]]의 아버지 정도로나 알려져 있는데 사실은 여말선초에 손꼽히는 거물이었다. [[위화도 회군]] 때 [[조민수(고려)|조민수]], [[태조(조선)|이성계]] 바로 뒤의 3인자였으며 고려 군부에서 [[최영]]과 이성계 다음가는 존재감을 지녔다. 흥국사 9공신으로서의 작위에서도 이성계와 더불어 둘뿐인 [[백작]]이었다. 나머지는 모두 [[군(작위)|군]]이었다. 여기에 동생 심원부가 [[이제현]]의 제자로 신흥 유신쪽에도 인맥이 풍부했기에 고려말 온건파와 급진파 모두 그를 끌어들이려 애썼다. [[공양왕]]을 옹립하고 1390년 전후로 공양왕과 이성계 사이에서 간 보는 행적을 보임에도 급진파 세력은 [[변안열]]처럼 심덕부를 제거하지 못하고 [[윤이·이초의 옥사]]에 엮어 겨우 3개월 유배를 보내는 데 그쳤다. 공양왕 측에서도 그를 문하시중에 임명하며 끌어들이려 애썼고, [[정성군|세자 왕석]]의 명나라 입조에 동행시킬 만큼 신뢰했다. 이성계조차 그런 그를 못 건드려서 조선 개국 후 자신의 둘째 딸 [[경선공주]]와 심덕부의 6남 심종을 혼인시켜 심덕부를 회유하는 방식을 택했다. 첫째 아들 심인봉이 군부 1인자인 [[의흥삼군부]] 도총제 직을 역임했고, 4남 심징이 경창부윤, 6남 심종이 이성계의 사위, 7남 심정이 공양왕의 동생 [[왕우(고려)|정양군 왕우]]의 사위가 되었다. 그러다 보니 심종이 귀양간 [[회안대군]]과 은밀한 모의를 해도 조선에서는 심종을 죽이지 못하고 귀양 보내는 선에서 심종의 모든 죄상을 덮어줬고, 심정이 [[양녕대군]]에게 매를 바치는 등 그의 비행을 부추겼음에도 심정이 군부 중심으로 다진 막강한 입지를 무시할 수가 없어 심정을 동지총제까지 올렸다. 화룡점정은 다섯째 아들인 [[심온]]으로, [[소헌왕후]]의 아버지, 즉 [[세종(조선)|세종]]의 장인이 되었다. 이처럼 심덕부 대에 [[청송 심씨]] 가문은 강력한 권세와 거대한 군맥을 형성했으나, 이들의 세력은 외척에 대한 [[태종(조선)|태종]]의 경계심을 키우는 요인이 되어 후일 심온 등 가문의 주요 인물들이 숙청되고 만다. == 대중매체 == * 1983년 KBS 드라마 <[[개국(드라마)|개국]]>에서는 배우 미상이다. * 1983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500년]]>에서는 배우 [[임문수]]가 연기했다.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눈물]]에서는 배우 [[윤석오]]가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