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491년 출생]][[분류:1558년 사망]][[분류:청송 심씨 안효공파]][[분류:조선의 문관]][[분류:영의정]][[분류:좌의정]][[분류:우의정]]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중종-광해군))] || '''{{{#f0ad73 심연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중종-광해군))] ---- [include(틀:종묘 배향공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영의정}}}]][br]충혜공(忠惠公)[br]{{{+1 심연원}}}[br]沈連源'''}}} || || '''출생''' ||[[1491년]]([[성종(조선)|성종]] 22)|| || '''사망''' ||[[1558년]] [[7월 14일]][* [[율리우스력]] [[7월 4일]].] (향년 66 ~ 67세)[br](음력 [[명종(조선)|명종]] 13년 6월 19일)|| || '''[[봉호|{{{#fff 봉호}}}]]'''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1577년]]([[선조(조선)|선조]] 10) [[공신#위사공신(衛社功臣) 삭제|위사공신]] 삭제로 인한 삭탈.]|| || '''[[시호|{{{#fff 시호}}}]]''' ||충혜(忠惠)|| || '''[[본관|{{{#fff 본관}}}]]''' ||[[청송 심씨]]|| || '''[[자(이름)|{{{#fff 자}}}]]''' ||맹용(孟容)|| || '''[[아호|{{{#fff 호}}}]]''' ||보암(保庵)|| || '''부모''' ||부친 - 심순문(沈順門, {{{-3 1465 ~ 1504}}})[br]모친 - [[평산 신씨]] 신영석(申永錫)의 딸|| || '''형제자매''' ||남동생 - 심달원(沈達源, {{{-3 1494 ~ 1535}}})[br]심봉원(沈逢源, {{{-3 1497 ~ 1574}}})[br]심통원(沈通源, {{{-3 1499 ~ 1572}}})|| || '''부인''' ||[[경주 김씨]] - 김당(金璫)의 딸|| || '''자녀''' ||'''슬하 1남 3녀'''[br]장남 -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 {{{-3 1514 ~ 1567}}})[* [[명종(조선)|명종]]의 왕비 [[인순왕후]]의 아버지.][br]장녀 - [[전주 이씨]] 이원빈(李元賓)의 처[br]차녀 - [[파평 윤씨]] 윤건(尹健)의 처[br]3녀 - [[전주 이씨]] 이인건(李仁健)의 처||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문신. == 생애 == [[1491년]]([[성종(조선)|성종]] 22)에 심순문(沈順門)의 아들로 태어났다. [[중종반정]] 때에 활약했으며, [[1516년]]에 생원과에 장원했다. 이후 문과에 급제해 승진을 하던중, [[1542년]] 그가 형조참판이었을때 그의 손녀가 훗날 [[명종(조선)|명종]]이 되는 경원대군의 부인이 된 [[인순왕후]]이다. [[1549년]](명종 4)에 [[우의정]], [[1550년]](명종 5)에 [[좌의정]]이 되고, [[1551년]](명종 6)에 [[영의정]]에 이르렀다. [[1558년]](명종 13)에 영의정에서 물러난뒤, 그 해에 노환으로 사망했다. == 여담 == 그의 가족에 유명 인물들이 많았다. 위에서 봤듯이, 그의 손녀는 [[인순왕후]]이고, 손자 중엔 [[붕당]] 정치의 발단을 만든 [[심의겸]]이 있었다. 또 그의 사돈은 왕족인 [[전성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