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심영, other2=후한의 인물, rd2=심영(삼국지))] 沈瑩[* 沈이라는 한자 때문에 '침영'이라고 읽는 사람도 있는데 성씨로 쓸때는 '심'이라고 읽는 것이 맞다.] ?~280년 [목차] [clearfix]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오(삼국시대)|손오]]의 단양태수. == [[삼국지(정사)|정사]] == '청건병'이라는 정예병을 이끌었으며, 280년 [[서진|진]]나라에서 보낸 오나라 토벌군과 싸웠다. 우저에 머물렀다가 [[왕준(삼국지)|왕준]]이 이끄는 수군을 격파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군사들의 사기가 떨어질 것을 고려한 [[장제(손오)|장제]]가 이를 거부하면서 왕준의 수군이 도착하기 전에 진군을 공격하게 된다. [[왕혼]]과 3번에 걸쳐 싸웠으나 패했으며, 결국 왕혼이 이끄는 군사들에게 붙잡혀 참살되었다. 문무겸장이었는지 책까지 썼는데, 그의 저서 '임해수토지'에는 대만에 관한 기록이 적혀있다. == [[삼국지연의|연의]] == 우장군으로 나와 [[장제(손오)|장제]]가 좌장군 [[제갈정]]과 함께 보내 맞서게 했는데, 제갈정에게 상류의 여러 군사들이 방비하지 않아 진군이 이 곳까지 올 것이라면서 힘을 다 해 막아야겠다고 했다. 하지만 물길을 따라 내려오는 진군의 기세를 막을 수 없다는 보고를 받고 제갈정과 함께 장제를 찾아가 상의했다. 장제와 함께 군사를 지휘해 진군과 맞서는데, [[주지(서진)|주지]]가 이끄는 군사들이 먼저 오군의 영채를 공격하자 싸우다가 전사했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external/kongming.net/572-Shen-Ying.jpg]] ||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21.jpg|width=400]] || || 삼국지 13, 14 ||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후반기 장수치고는 그런대로 괜찮은 장수로 나온다. 아마도 정예병 청건병을 이끌었고 망해가는 오나라를 끝까지 지키려고 한 점이 높이 평가받아서인 듯하다. 사실상 최후반부 오나라에 있어선 거의 에이스급 인재. [[삼국지 10]]까지 영웅집결 시나리오에 오나라 소속으로 있다가 [[삼국지 11]]의 영웅집결 시나리오부터 건업에서 재야로 등장한다. 이 탓에 [[유요]] 세력으로 등용했을 경우 유요군에서 무력 1위를 자랑하여 전투를 담당하게 된다. 건업을 차지하게된 [[왕랑]]과 [[엄백호]]도 말할 것은 없다. 다만 [[삼국지 12]]에서는 같이 죽은 장제는 삭제를 당하지 않았는데, 자신은 삭제되었고 심지어 삼국지 12 PK에서도 나오지 않다가 [[삼국지 13]]에서 재등장한다. [[삼국지 3]]에서는 나오는데 마지막까지 천수를 누리는 장수로 나온다.[* 보통 잠혼 또는 심영이 마지막까지 남는다.] 이 게임 상에서 더 이상 장수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능력치는 육전지휘 71/수전지휘 70/무력 70/지력 51/정치력 38/매력 74에 히든 능력치는 야망 8, 운 5, 냉정 7, 용맹 10이라는 장군이 될 수 있는 능력치이다. 단, 나오는 연도가 264이라서 그쯤되면 거의 통일이 되거나 장수들이 다 죽어서 게임오버가 나오는 시점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80/지력 54/정치력 39다. 분투, 누선를 가지고 있지만 노병계나 궁기병계 병법이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81/지력 61/정치력 44/매력 68에 특기가 무려 9개로,(기술, 징병, 돌격, 고무, 저지, 회복, 기염, 역공, 제독) 어째 본인을 격파한 주지보다 능력치가 좋다. 무력이 '''81'''로 [[정봉]]급이다. 물론 무력은 84의 주지보다 떨어지지만 기본적으로 밥값을 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77/지력 61/정치력 42/매력 65로 삼국지 10 때보다 너프되었다. 그래도 병과 적성이 극병과 수군이 A이며, 후반부 인물 중에서 보기 드물게 --중앙--[[극장(삼국지 11)|극장]](戟將)이라는 좋은 특기를 들고 나왔다. 게다가 전작 때 외모가 좋지 못했지만 11에선 준수한 외모로 등장한다. 여담이지만 자기를 죽인 [[왕혼]]은 킹잉여 특기 [[삼국지 11/특기#s-2.2|수장]]을 가지고 있는 데다가 심영보다 무력이 1 낮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이규|도끼 두 자루를 들고 전투에]] [[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임하는 모습]]. 덤으로 이쪽도 [[수고(삼국지)|휴고니즘]]에 물들었는지 입을 벌리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77/61/42인데 전작에서 매력만을 제외하면 같은 스탯. 특기는 훈련 2, 순찰 4, 신속 4, 견수 6, 수영 5. 전수특기는 견수로 전법은 기공약화. 극장이라도 갖고 있던 11에 비해 뭔가 좀 아쉬운 편이긴 하나 이 정도면 후반기 장수로서는 쓸만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77, 지력 61, 정치 44, 매력 66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3, 정치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독려, 동원,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분전, 격려, 구축,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개성 동원으로 통해 소지 병력이 더 있지만 라이벌인 소탕 개성의 소유자인 왕혼에 비하면 초라한 편이다. === [[영걸전 시리즈]] ===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에서는 묘하게 [[심영(야인시대)|야인시대의 심영]]이 절규할 때와 비슷한 표정의 장수로 등장한다. 회심의 일격을 날릴 때는 "'''[[성불구자|불구]]로 [[병신을 만들어주마|만들어주마!]]'''"라는 대사를, 퇴각할 때는 "'''[[내가 고자라니|내가 퇴각이라니... 이보시오...]]''''"라는 대사를 한다. 대사도 그렇고 여러모로 노렸다.[[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9861856|#]][* 참고로 [[고간(삼국지)|고간]]도 이름 때문인지 대사에 [[내가 고자라니]] 관련 패러디가 있다. 이 쯤되면 제작진이 노리고 넣은 게 확실하다.] === [[삼국전투기]] === [[천원돌파 그렌라간]]의 [[키탄 바치카]]로 등장. 막바지 분위기상 진지하게 가려다보니 작가가 개그 코드를 살리기 보다는 간지를 주는 쪽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 통일 편에서 처음 등장. 장제에게 장강을 따라 내려오고 있는 촉(왕준)의 수군이 주력으로 보인다며 우저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그들과 일전을 벌이는 게 좋다고 제안했지만 장제가 거절하며 장강을 건너 왕혼군을 요격했다. 역사대로 왕혼에게 간단하게 발리긴 했지만 오의 마지막 에이스로서의 모습은 보여주고 갔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심영(삼국지), version=167, paragraph=2)] [[분류:손오의 인물]][[분류:280년 사망]][[분류:살해된 인물]][[분류:전쟁 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