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천시의 고등학교]][[분류:1995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기도 부천시의 고등학교)] ||<-2> '''{{{#ffffff '''심원고등학교 [br] Simwon High School [br] 深遠高等學校'''[* 개교 당시 행정구역인 심곡동과 원미동의 앞글자를 땄으며, 깊게 생각하고 멀리 꿈꾸라는 의미를 역으로 부여했다.]}}} || ||<-2> [include(틀:지도, 장소= 심원고등학교, 높이=224px, 너비=100%)]|| || {{{#white '''개교''' }}} || 1995년 || || {{{#white '''유형''' }}}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 || 남녀공학 || || {{{#white '''운영형태''' }}} || 공립 || || {{{#white '''교장'''}}} || 조영행 || || {{{#white '''교감'''}}} || 조현숙 || || {{{#white '''소재지''' }}} || [[경기도]] [[부천시]] 계남로 284 (중동) || || {{{#white '''상징''' }}} || 교목 : 느티나무 / 교화 : 목련 || || {{{#white '''관할관청''' }}} || [[경기도부천교육지원청]] || || {{{#white '''홈페이지'''}}} || [[http://shimwon.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이다. == 학교연혁 == * [[1994년]] [[11월 1일]]: 설립인가(보통과 12학급, 남·여 공학) * [[1995년]] [[3월 1일]]: 초대 김정완 교장 취임 * [[1995년]] [[3월 4일]]: 제1회 입학식(10학급 521명) * [[1998년]] [[2월 12일]]: 제1회 졸업 500명(남 270명, 여 230명 졸업) * [[1999년]] [[2월 11일]]: 제2회 졸업 628명(남 333명, 여 295명 졸업) * [[1999년]] [[9월 1일]]: 제2대 김희자 교장 취임 * [[2006년]] [[3월 1일]]: 제3대 김남기 교장 취임 * [[2008년]] [[9월 1일]]: 제4대 강형구 교장 취임 * [[2012년]] [[3월 1일]]: 제5대 최곤옥 교장 취임 * [[2014년]] [[3월 1일]]: 제6대 이용재 교장 취임 * [[2014년]] [[3월 3일]]: 제20회 입학(15학급 453명) * [[2015년]] [[2월 6일]]: 제18회 졸업 452명(남 243명, 여 209명 졸업) * [[2015년]] [[3월 2일]]: 제21회 입학(14학급 390명) * [[2016년]] [[2월 3일]]: 제19회 졸업 442명(남 244명, 여 198명 졸업) * [[2016년]] [[3월 2일]]: 제22회 입학(14학급 407명) * [[2016년]] [[9월 1일]]: 제7대 강영남 교장 취임 * [[2017년]] [[2월 8일]]: 제20회 졸업 436명(남 238명, 여 198명 졸업) * [[2017년]] [[3월 2일]]: 제23회 입학(10학급 279명) * [[2018년]] [[2월 9일]]: 제21회 졸업 381명(남 205명, 여 176명 졸업) * [[2018년]] [[3월 1일]]: 제8대 정치권 교장 취임 * [[2018년]] [[3월 2일]]: 제24회 입학(10학급 259명) * [[2019년]] [[3월 4일]]: 제25회 입학(10학급 247명) * [[2019년]] [[9월 1일]]: 제9대 조영행 교장 취임 == 교복 == [[파일:심원고.jpg]] 교복은 디자인 자체는 무채색에 치마주름도 없어 무난하지만 [[마의]]가 [[부직포]]로 만들어졌다(...).--[[밤(열매)|밤]]송이--[* 2016년 입학생들은 [[공동구매]]로 마의를 4천원에 살 수 있었다!] --넥타이는 없고-- 하복은 없고 생활복이 있다. 2017년도 회장단 공약으로 학생투표를 통해 남색 넥타이가 생겼다. 하복도 생겼다.--교복이 무겁고 별로 따뜻하지 않다-- == 학교특징 == 부천관내 고등학교에서 거의 유일하게 휴대폰수거를 실시하는 학교이다. 심원초등학교와 심원중학교 학생들이 심원시리즈를 채우러 올 것 같지만 바로 옆에 붙어있는 [[부천부흥중학교]] 학생들이 많이 온다.[* [[심원초등학교]]나 [[심원중학교]]와 붙어있는 학교는 [[원미고등학교]]이다.] 비율은 대충 부흥:심원:중흥:타학교=4:3:2:1 --[[원미고등학교]]나 [[중흥고등학교]]에서 떨어진 학생들이 많이온다-- 디자인이 정말 안 좋다. 특히 체육복이 영 아니다. 2022년 기준 1학년은 갈색 2학년은 회색 3학년은 검정색이다. [* 가슴팍에 심원고 로고가 하나 붙어있다.] 주변 고등학교들과 마찬가지로 3년 주기로 돈다. 특히 신입생 예비소집일때 본관 건물 중앙에 떡하니 붙어있는 --면도날모양--학교 마크에 경악하는 사람이 많다. 건물 자체 디자인은 무난한 편인데 본관 왼쪽 면에 거대한 시화가 붙어있고 연결통로 바깥에는 거대한 명언이 붙어있다. 점심시간에 체육복 입고 급식실 출입이 불가하다. 학교 극주변[* 쉬는시간에 뛰어갔다 올 수 있는 정도의 거리]에는 아무 것도 없다. 진심 아무것도 없다. [[편의점]]이 두 개 있긴 하지만 [[GS25]]는 후문에 늘 수위님이 계셔서 못 나가고 [* 최근 본인이 직접 실험해본 결과 수위님이 안계실때는 다녀올 수 있다.][[이마트24]]는 운동장을 가로질러야 해서 눈에 매우 잘 띌 뿐더러 가보면 은근 멀다고 느껴진다. 명찰은 2019년 기준 1학년 파란색, 2학년 빨간색, 3학년 노란색이다. 2학기 말쯤 격년으로 축제와 동아리발표회를 한다. 오전에는 부스운영을 하고 오후에는 공연을 한다. 부스는 동아리, 반 단위로 신청해서 만들 수 있고 동아리는 거의 필수이지만 반은 선택이다. 공연은 격년으로 체육관 또는 시민회관에 간다. 부천시 고등학교 중 최초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shimwon|마이너갤이 생겼다]]. == 학교시설 == --다른 고등학교에 비해서 시설이 많이 낙후되어 있다.-- 운동장이 크다. 교문은 3개가 있지만 옆 문은 특별한 행사가 아닌 이상 개방하지 않는 편.[* 학교 구조를 잘 꿰고 있는 중년배 남교사들이 주로 담배피러 나가는 용도.] == 교통시설 == --교통이 영 좋지 않다.-- 하지만 조금만 걸으면 [[서울 지하철 7호선]] [[신중동역]]이 나오고 [[롯데백화점 중동점]]이 나오기 때문에 학교 끝나고 놀러가기엔 좋은 편. 도보로 10~15분이면 간다. 위브쪽 샛길로 빠지면 더 빠르다. 교통에 관해서는 어디 사느냐에 따라 대답이 천차만별이다. 근처에 살면 학교 바로 앞의 백화점, 지하철역 등으로 불편함을 딱히 못 느낀다. 그리고 [[롯데백화점 중동점]],[[현대백화점 중동점]],[[부천시청]] 이외에도 수십개의 주요 건물이 모여있는 중동대로 특성상 옥산초등학교 앞 정류장이나 [[부천부흥중학교]] 앞 정류장을 통해 등하교하는 학생들은 교통의 불편함을 딱히 못 느끼는 편. 특히 대중교통이 웬만한 서울거점 고등학교보다 편리하다는 평이 있다. [* 어느정도냐면 롯데백화점, 페이펄문구센터와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장에 버스가 20개 가까이 오며 좌석버스도 많다][* 심원고등학교 주변 도보 7분거리 내 정류장에서 부천시내 모든 지하철역을 다 갈 수 있고 김포공항까지도 간다!]--늦잠자서 택시타고 등교할 경우 원미동,약대동보다 먼 거리 거주자들은 불편해한다-- 그러나 역곡 소사 괴안 근처에 산다면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특히 까치울중, 역곡중에서 진학한 신입생들이 난감해하는 경우가 많다. 유일하게 집 근처까지 갔던 23번 버스가 2017년 노선이 바뀌면서 중간에 한 번 갈아타고 와야 한다. [* 사실 그주변은 부천 안에서도 농촌이라고 불릴 정도로 원체 안좋았다. 농어촌전형 지원이 가능한 곳도 있을 정도.] 역곡에서 거주하는 경우엔 버스를 타고 까치울역으로 간 뒤 지하철을 타고오면 빠르다. 버스를 타고 쭉 오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빙빙 돌아서 가기때문에 까치울역에서 내린뒤 지하철을 타는 방법이 5~10분 더 단축된다. === 버스노선 === || 신중동역7번출구.심원고교.삼환아파트.중3주민지원센터 || [[부천 버스 5-3|5-3]] || || 신중동역7번출구.심원고교.삼환아파트.중3주민지원센터 || [[부천 버스 23|23]] || || 신중동역7번출구.심원고교.삼환아파트.중3주민지원센터 || [[부천 버스 56|56]] || || 신중동역7번출구.심원고교.삼환아파트.중3주민지원센터 || [[부천 버스 77-1|77-1]] || || 신중동역7번출구.심원고교.삼환아파트.중3주민지원센터 || [[부천 버스 700|700]] || || 신중동역7번출구.심원고교.삼환아파트.중3주민지원센터 || [[부천 버스 013-4|013-4]] || || 부흥중학교.심원고교 || [[부천 버스 71|71]] || === 철도 === *[[신중동역]]에서 내린 후 도보 == 출신인물 == * [[서재경]] * [[조우진(래퍼)]] == 기타 == * 등교시간이 8시 50분으로 다른학교보다 10분 빠르다. * 교통의 편리함과 별개로 콜택시나 배달 시킬 때 택시기사나 배달기사에게 정문 후문 이라고 하지 말고 "신선설농탕쪽 문으로 와주세요" "기사식당쪽 문으로 와주세요" 등 구체적으로 말하는게 서로 편하다. 한 때 정문이 후문이고 후문이 정문이라는 썰이 돌아서 헷갈리니까 그냥 저러는게 편하다.[* 네이버 지도에 쳐보면 운동장 문이 정문이라고 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