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재원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height=55]][[파일:Twins_champion_v1.pn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1984년 한국시리즈|{{{#ed1c24 1984}}}]]''' || '''[[1990년 한국시리즈|{{{#ffffff 1990}}}]]''' || ---- ||<-5>
'''{{{#ed1c24 [[롯데 자이언츠|{{{#ed1c24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2번}}}''' || || [[차동열]][br](1982) || {{{+1 →}}} || '''{{{#ed1c24 심재원[br](1983~1984)}}}''' || {{{+1 →}}} || [[김용운(야구)|김용운]][br](1985~1990)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27번}}}''' || || [[김용운(야구)|김용운]][br](1982~1984) || {{{+1 →}}} || '''{{{#ffff00 심재원[br](1985)}}}''' || {{{+1 →}}} || [[서효인]][br](1986~1995) || ||<-5> '''{{{#fff [[MBC 청룡|{{{#fff MBC 청룡}}}]] /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42번}}}''' || || 최정상[br](1984) || {{{+1 →}}} || '''{{{#fff 심재원[br](1986~1991)}}}''' || {{{+1 →}}} || [[전일수]][br](1992.6.30.~1995) || }}} || ||<-2>
[[파일:attachment/2005021412105111001.jpg|width=100%]] || ||<-2> [[MBC 청룡]] 시절.[* 아웃 당한 선수는 80년대 [[OB 베어스]]의 대표 준족 중 한명인 [[구천서(야구)|구천서]].] || ||<-2> '''{{{+2 심재원}}}[br]沈載元 | Sim Jae-Won''' || ||<|2> '''출생''' ||[[1953년]] [[7월 30일]] || ||[[경상남도]] [[부산시]][br](現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 || '''사망''' ||[[1994년]] [[5월 19일]] (향년 40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남부민초등학교|남부민공립국민학교]][* 현 남부민초등학교.][br] [[부산개성중학교|개성중학교]][br] [[부산고등학교]][br]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학교]]^^(체육교육학과)(73학번)^^ || || '''신체''' ||186cm, 80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3년/신인드래프트#s-2|1983년 1차 지명]] ([[롯데 자이언츠|롯데]]) || || '''소속팀''' ||[[한국화장품 야구단]] (1976~1981)[br][[롯데 자이언츠]] (1983~1984) [br] '''[[MBC 청룡]]-[[LG 트윈스]] (1985~1991)''' || || '''지도자''' ||[[LG 트윈스]] 플레잉코치 (1991)[br][[LG 트윈스/2군|LG 트윈스 2군]] 배터리 코치 (1992~1993)[br][[LG 트윈스]] 1군 배터리코치 (1994) || || '''본관''' ||[[청송 심씨]][* 청송 심씨 25세손 '載'자 항렬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롯데 자이언츠]], [[MBC 청룡]]-[[LG 트윈스]] 소속의 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프로야구 창단 전 이미 탈아마급 수비를 가졌고 큰 경기와 찬스에 강하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일찌감치 야구 대표팀에 승선해 [[최동원]], [[김시진]], [[선동열]], [[이선희(야구)|이선희]] 등 당대 최고의 투수들과 호흡을 맞춰왔었으며, 특히 실업 시절 1977년 [[야구 월드컵]] 때 주전포수로서 맹활약을 펼쳤다. 특히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서 국가대표로 출전, 결승전인 일본과의 경기에서 2점차로 뒤진 8회 선두타자 안타를 치며 출루,[* 이후 대타 김정수의 1타점 2루타, 조성옥의 희생번트, 김재박의 그 유명한 동점 개구리 스퀴즈번트, 이해창의 연속 1루타, 그리고 한대화의 역전 3점 홈런으로 이어졌다.] 대표팀이 [[약속의 8회]]를 이루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이 후 아마 야구 선수들이 대거 유입된 1983년에 풍부한 경험과 수비능력을 높이 산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아 프로에 입단하게 된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1983, 84년 통틀어 138경기에 출장, 준주전 포수로 활약했으며 특히 국가대표 시절 같이 호흡을 맞춘 [[최동원]], [[임호균]]을 잘 이끌며 [[1984년 한국시리즈|롯데 첫 우승]]의 기쁨을 누린다. 하지만 1983년 후기리그부터 지휘봉을 잡은 [[강병철]] 감독은 [[강병철의 양아들|원체 젊은 선수들을 선호]]하는지라 프로 입단 당시 30세였고, 나무배트에 적응하지 못한 수비형 포수 심재원 대신 자신의 동아대 시절 애제자이자 1984시즌에 무려 8할대 OPS를 기록한 [[한문연]]을 주전 포수로 육성할 생각이었다. === [[MBC 청룡]] - [[LG 트윈스]] 시절 === [[파일:1990년 한국시리즈 우승의 순간.jpg|width=300]] [[1990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확정짓고 [[정삼흠]]과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결국 1985년 시즌 전, MBC 청룡의 [[김용운(야구)|김용운]]과 맞트레이드 되며 KBO 역사상 최초의 포수간 맞 트레이드의 주인공이 된다. 김용운의 이적으로 사실상 공석이 된 MBC의 주전포수 자리를 꿰차게 된다. 이 후 [[멘도사 라인]]의 타율과 득점권에 강하다는 평가가 무색하게 두자릿수 타점도 근근히 찍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당시 청룡의 대안은 심재원 보다 타율이 더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던 [[차동열]], [[서효인]] 정도 외에는 두각을 드러낸 포수가 없었고, 또한 타율은 낮아도 경험을 바탕으로 한 투수리드와 수비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1986년을 빼면 더 이상의 트레이드 없이 LG 트윈스가 창단하는 1990년까지 계속해서 청룡의 안방을 책임지게 되었다.[* 통산 도루저지율이 무려 '''0.424'''로 굉장히 높다.] 김용수는 과거의 그를 회고하면서 그의 체구가 작지만 공을 잘 던질 수 있도록 유도를 잘 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1990년 [[김동수(야구)|김동수]]의 입단으로 백업포수로서만 활동하게 되었고, 결국 1991년 시즌 후 은퇴를 선언하게 된다. 이 후 트윈스 측에서는 심재원의 포수로서의 능력을 높게 평가해 은퇴와 동시에 코치직을 권했고 심재원이 이를 수락해 LG 트윈스의 배터리 코치로 취임하게 되었다. == 지도자 경력 == 이후 배터리코치를 맡으면서 [[김동수(야구)|김동수]]를 지도하는데 힘썼고, [[김정민(포수)|김정민]]을 육성하기도 했다. == 사망 == 그러나 1994 시즌 중 폐암으로 인해 40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하게 된다. 이에 LG에서는 [[신언호]]를 배터리코치로 돌리고 은퇴 후 미국으로 건너간 [[박철영]]을 2군 배터리코치로 불러들였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ff0000 연도}}} || {{{#ff0000 소속팀}}} || {{{#ff0000 경기수}}} || {{{#ff0000 타율}}} || {{{#ff0000 안타}}} || {{{#ff0000 2루타}}} || {{{#ff0000 3루타}}} || {{{#ff0000 홈런}}} || {{{#ff0000 타점}}} || {{{#ff0000 득점}}} || {{{#ff0000 도루}}} || {{{#ff0000 볼넷}}} || {{{#ff0000 사구}}} || {{{#ff0000 삼진}}} || {{{#ff0000 출루율}}} || {{{#ff0000 장타율}}} || {{{#ff0000 OPS}}} || || 1983 ||<|2> [[롯데 자이언츠|롯데]] || 68 || .225 || 41 || 4 || 0 || 3 || 13 || 19 || 3 || 12 || 4 || 22 || .286 || .297 || .583 || || 1984 || 70 || .250 || 47 || 10 || 1 || 0 || 19 || 19 || 6 || 11 || 1 || 19 || .291 || .314 || .605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볼넷}}} || {{{#ffff00 사구}}} || {{{#ffff00 삼진}}} || {{{#ffff00 출루율}}} || {{{#ffff00 장타율}}} || {{{#ffff00 OPS}}} || || 1985 ||<|5> [[MBC 청룡|MBC]] || 76 || .206 || 39 || 3 || 0 || 3 || 15 || 14 || 4 || 17 || 1 || 23 || .274 || .270 || .544 || || 1986 || 48 || .235 || 23 || 7 || 0 || 0 || 12 || 9 || 1 || 5 || 1 || 14 || .276 || .306 || .582 || || 1987 || 69 || .188 || 24 || 1 || 0 || 1 || 6 || 12 || 1 || 16 || 1 || 18 || .283 || .219 || .502 || || 1988 || 73 || .202 || 33 || 0 || 0 || 2 || 9 || 13 || 2 || 14 || 3 || 22 || .276 || .239 || .516 || || 1989 || 65 || .146 || 12 || 2 || 0 || 0 || 4 || 3 || 1 || 6 || 2 || 11 || .220 || .171 || .391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삼진}}}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1990 ||<|2> [[LG 트윈스|LG]] || 70 || .211 || 19 || 0 || 0 || 1 || 12 || 12 || 3 || 7 || 1 || 14 || .276 || .244 || .520 || || 1991 || 12 || .250 || 2 || 0 || 0 || 0 || 0 || 1 || 0 || 0 || 0 || 0 || .250 || .250 || .500 || ||<-2> '''[[KBO 리그|KBO]] 통산''' [br] (9시즌) || 551 || .213 || 240 || 27 || 1 || 10 || 90 || 102 || 21 || 88 || 14 || 143 || .276 || .265 || .541 || == 여담 == * 국가대표 시절 심재원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선동열]]의 제구를 잡아줬다고 한다. 1. 미트를 대준 곳에 공을 던지게 한다. 2. 빗나간다. 3. 선동렬한테 공을 주워오라고 한다. 4. 빗나간 벌로 공으로 머리를 3대 때린다. 5. 반복한다(…). 선동렬은 이날 훈련이 끝나고 난 뒤 하도 많이 맞아서 야구공이 머리에 붙어있는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날 이후 본인 제구력이 좋아졌으며 컨트롤 하면 심재원이 떠오를 정도라며 심재원을 자신의 컨트롤 스승으로 평가했다.[* 홍현우도 김성한과 수비훈련을 할때 김성한이 정면으로 오는거는 받고 빗나가는거는 안받고 다시 홍현우한테 주워와서 벌로 꿀밤맞는식으로 하였다.] * 역시 국가대표 시절 이야기. [[선동열|선동렬]]이 심재원과 방을 같이 쓰게 되었는데 [[담배]]를 피고 싶은 나머지 심재원이 없는 사이 몰래 화장실에서 담배를 피다 심재원에게 걸렸다. 이 때 심재원의 별명은 무려 꼴통(…)이었기 때문에 선동렬이 공포에 질렸는데 심재원은 의외로 다정한 [[목소리]]로 괜찮다고 타이르며 담배 한 갑을 사오라고 시켰다. 이 후 [[선동열|선동렬]]이 [[담배]]를 사오자 손수 담배를 입에 물려주고는 불까지 피워줬다고 한다. 여기까지만 보면 훈훈한 선후배간 미담으로 끝날 일이지만... 문제는 '''담배 한 갑을 모두 선동렬의 입에 물려줬다'''. 이날 이 후 선동렬은 담배를 피울 때마다 주변을 두리번거리고 선배 앞에서는 절대로 담배를 피지 않는 습관이 생겼다고 한다(…). 좋게 말하면 선배에 대한 예절교육, 나쁘게 말하면 [[똥군기]]. 20개피를 동시에 피워 물면 '''급성 니코틴 중독이 올 수도 있는 위험천만한 행동이다.''' 저 당시 담배의 타르나 니코틴은 지금의 거의 3배이상 수준이었다. * 1977년 [[니카라과]] [[대륙간컵|야구 슈퍼 월드컵]] 출전 당시 더운 날씨 때문에 호텔 방 창문을 열어놓고 잤다가 배탈이 나는 바람에 기진맥진한 상태였음에도 [[근성]]으로 선발 출장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109&aid=0000005730&|9이닝 내내 포수마스크를 쓴 일도 있었다.]] * MBC 청룡과 LG 트윈스에서 심재원과 배터리로 호흡을 맞춘 적이 있던 [[김용수]]는 [[스톡킹]]에 출연했을 때 LG 트윈스 역대 베스트 멤버를 꼽으면서 [[김동수(야구)|김동수]]와 함께 심재원을 포수로 뽑았다. 덩치는 왜소해도[* 포수 치고는 몸이 호리호리하다는 뜻이다. 심재원은 프로필상으로는 186cm에 80kg라는 상당히 우수한 신체조건의 소유자였다.] 투수가 던질 각을 잘 만들어 주던 선수라고 회고했다. == 여담 == [[차동철]]과 함께 2개팀을 거쳐서 최초로 우승을 경험하였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구(부산) 출신 인물]][[분류:청송 심씨]][[분류:1953년 출생]][[분류:1983년 데뷔]][[분류:1991년 은퇴]][[분류:1994년 사망]][[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폐암으로 죽은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