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26]]]]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296호 ||<|2> ← || '''297호''' ||<|2> → || 298호 || || [[일신역#s-5|양평 구 구둔역]] || '''영동 심천역''' || [[도경리신호장|삼척 도경리역]] || ---- ||<-3> {{{+2 {{{#ffffff '''심천역'''}}}}}}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옥천역|옥 천]][br]← 18.3 ㎞ || [[무궁화호|{{{#!html
경부선
무궁화호
}}}]] || [[부산역|{{{#!html
부산 방면}}}]][[영동역|영 동]][br]10.8 ㎞ → || || [[영주역|{{{#!html
영주 방면}}}]][[지탄역|지 탄]][br]← 4.4 ㎞ ||<|2> [[무궁화호|{{{#!html
충북선
무궁화호
}}}]] || [[동대구역|{{{#!html
동대구 방면}}}]][[각계역|각 계]][br]← 3.8 ㎞ || || [[이원역|이 원]][br]10.0 ㎞ → || [[영동역|영 동]][br]10.8 ㎞ → || ||<-3>[include(틀:지도, 장소=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심천로5길 5, 너비=100%, 높이=225px)]||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imcheon || || [[한자]] ||<-2><|2> 深川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深川, ruby=シムチョン)] || ||<-3> '''{{{#ffffff 주소}}}''' || ||<-3>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심천로5길 5 (심천리)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배치간이역]][br]([[대전역]] 관리/[[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경부선]] ||<-2> [[한국철도공사]] || ||<-3> '''{{{#ffffff 개업일}}}''' || || [[경부선]] ||<-2> 1905년 1월 1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1997년 4월 15일 || ||<-3> '''{{{#ffffff 승강장 구조}}}''' || ||<-3>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 ||<-3> '''{{{#ffffff 철도거리표}}}'''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지탄역|지 탄]][br]← 4.4 ㎞ || '''[[경부선]]'''[br]심 천 || [[부산역|{{{#!html
부산 방면}}}]][[각계역|각 계]] [br]3.8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심천역사.png|width=100%]]}}}|| || {{{#ffffff '''현 역사(1934년 준공)'''}}}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층 같은 일층, 반듯한 수직의 아름다움''' >심천역은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1934년 경부선 복선공사로 현재의 역사가 신축 이전되었다. 한국전쟁으로 화물 상옥이 파괴되는 아픔을 겪었지만 역사는 그 원형이 잘 보존되어 2006년 등록문화재 제297호로 지정되었다. 수직 비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역사로 반듯하고 꼿꼿한 모습의 (-)형 평면형태를 하고 있으며 전체 구성은 근대 간이역 표준설계를 가장 잘 지킨 형태이다. 출입문 차양 위에 세 쪽 창을 두었는데, 아예 간판과 박공을 두어 외관상으론 2층으로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일제 역사 건축의 영향이 뚜렷하게 남아있어 유난히 일본 철도 동호회원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간이역으론 큰 규모의 역사로, 특히 맞이방이 잘 보존되어 있는데 맞이방 세면 모두 큰 창이 나 있어 주변 경치와 햇살이 역사 안으로 들어오는 모습이 아름답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의 [[철도역]].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심천로5길 5 (심천리 318-43) 소재.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역이며, 가끔 유개화차를 이용한 포대비료 화물을 취급하기도 한다. [[지탄역]]과 마찬가지로 '''한적한 시골역'''. 한적한 역이지만 인근에 위치한 [[지탄역]]이나 [[각계역]]에 비해서는 어느 정도 정차하는 편이다.(상행 4회[* 2018.7.1.부로 영주행 #4303열차가 정차하여 ITX-새마을을 먼저 보낸다.]/하행 5회) 1934년 현재의 역사가 신축되었는데, 역 모양이 아주 아름답고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서 2006년 12월 4일에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제297호]]로 지정되었다.[* 같은 날에 [[경의선]] [[일산역]]의 구 역사도 등록문화재로 함께 지정되었다.] 여기서 경부고속선 영동보수기지로 가는 인입선이 분기된다. == 기타 == 드라마 [[포도밭 그 사나이(드라마)|포도밭 그 사나이]]에 나오기도 했다. 해당 드라마를 촬영한 곳은 [[황간역]]과 더 가깝지만 심천역 건물이 시골 역 분위기가 더 잘 살아 있어서 역이 나오는 장면만 심천역에서 촬영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JR 홋카이도의 하코다테 본선에 있는 [[후카가와역]]과 한자표기가 같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차내 모니터에서 심천역과 역 주변을 소개하는 영상이 나온 적이 있었다. 무궁화호를 타고 경부선 하행선(부산방향)으로 갈때 [[김천역|이 역]]과 이름이 비슷하여 혼동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자. 2019년 5월 15일에 [[https://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7809014678000&tocId=00000000000000001557809015860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223%25ED%2598%25B8(%25EC%25B2%25A0%25EB%258F%2584%25EA%25B1%25B0%25EB%25A6%25AC%25ED%2591%259C%25EA%25B0%259C%25EC%25A0%2595)|국토교통부고시제2019-223호]]로 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2021년 3월 17일부터 [[이원역]]과 함께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 열차에 승차하려면 타 역 예매, 혹은 미리 자가발권[* 코레일 톡(어플리케이션), 홈티켓 등]을 하거나, 열차에 승차하여 승무원에게서 승차권을 발권 받아야 한다. 승무원에게서 승차권을 발권 받을 시, 코레일 회원의 일반열차 이용 실적 집계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선 옹산역이란 역명으로 등장한다. [[염상섭]]의 소설 [[만세전]]에서도 언급된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비고'''}}} || || 2004년 || 57명 || || || 2005년 || 58명 || || || 2006년 || 58명 || || || 2007년 || 51명 || || || 2008년 || 55명 || || || 2009년 || 55명 || || || 2010년 || 54명 || || || 2011년 || {{{#f55839 59명}}} || || || 2012년 || 58명 || || || 2013년 || 57명 || || || 2014년 || 50명 || || || 2015년 || 48명 || || || 2016년 || 39명 || || || 2017년 || 42명 || || || 2018년 || 43명 || || || 2019년 || 49명 || || || 2020년 || 34명 || || || 2021년 || 34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승강장 == ||<-8> [[지탄역|지탄]] || || ↑ || {{{#ffffff 4}}} || {{{#ffffff 3}}} || ↑ || ↓ || {{{#ffffff 2}}} || {{{#ffffff 1}}} || ↓ || ||<-8> [[각계역|각계]] || ||<|2> {{{#ffffff 1·2}}} || [[경부선]] ||<|4>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김천역|김천]]·[[동대구역|동대구]]·[[부산역|부산]] 방면 || || [[충북선]] ||[[김천역|김천]]·[[구미역|구미]]·[[동대구역|동대구]] 방면 || ||<|2> {{{#ffffff 3·4}}} || [[경부선]] ||[[대전역|대전]]·[[천안역|천안]]·[[서울역|서울]] 방면 || || [[충북선]] ||[[대전역|대전]]·[[청주역|청주]]·[[영주역|영주]] 방면 || == 시간표 == ||<-7> {{{#ffffff '''심천역 열차시간표 (2023년 9월 1일 기준)'''}}} || ||<-7> {{{#white 상행 (대전, 영주 방면)}}} || || 열차종류 || 열차번호 || 도착시간 || 출발시간 || 종착역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4301''' || 07:19 || 07:20 || [[영주역|{{{#000000,#ffffff '''영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352''' || 09:48 || 09:49 || [[대전역|{{{#000000,#ffffff '''대전'''}}}]]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354''' || 12:05 || 12:06 || [[대전역|{{{#000000,#ffffff '''대전'''}}}]]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4303''' || 19:34 || 19:35 || [[영주역|{{{#000000,#ffffff '''영주'''}}}]] || ||<-7> {{{#white 하행 (동대구, 부산 방면)}}} || || 열차종류 || 열차번호 || 도착시간 || 출발시간 || 종착역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4302''' || 09:55 || 09:56 || [[동대구역|{{{#000000,#ffffff '''동대구'''}}}]]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207''' || 12:33 || 12:37 || [[부산역|{{{#000000,#ffffff '''부산'''}}}]]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209''' || 15:37 || 15:38 || [[부산역|{{{#000000,#ffffff '''부산'''}}}]]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359''' || 18:34 || 18:35 || [[부산역|{{{#000000,#ffffff '''부산'''}}}]]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4304''' || 20:48 || 20:49 || [[동대구역|{{{#000000,#ffffff '''동대구'''}}}]] || == 둘러보기 ==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분류:190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영동군의 철도역]][[분류:경부선의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근대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