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싱가포르 관련 문서)] [include(틀:싱가포르의 철도 운행 노선)] ||<-2><:>[[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width=300]]|| ||[[영어]] || Singapore Mass Rapid Transit (SMRT) || ||[[마인어|말레이어]] || MRT Singapura || ||[[중국어]] [[정자(한자)|정체자]] || 新加坡地鐵系統 || ||[[중국어]] [[간체자]] || 新加坡地铁系统 || ||[[타밀어]] || சிங்கப்பூர் துரிதக் கடவு ரயில் || [목차] [clearfix] == 개요 == [[싱가포르]]의 간선 [[도시철도]]로 싱가포르 LRT와 함께 가장 큰 대중교통 체계이다. 이를 운영하는 기업은 주식회사 [[SMRT]]와 [[SBS Transit]]이다. 아시아에서 12번째로 개통한 도시철도 노선이다.[* 1위부터 순서대로 [[일본]]([[도쿄]]), [[조지아]]([[트빌리시]]), [[아제르바이잔]]([[바쿠]]), [[중국]]([[베이징]]), [[북한]]([[평양]]), [[대한민국]]([[서울]]), [[우즈베키스탄]]([[타슈켄트]]), [[홍콩]], [[아르메니아]]([[예레반]]), [[인도]]([[콜카타]]), [[필리핀]]([[마닐라]])까지 해서 12번째가 싱가포르다.][* 개통 당시 소련이었던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아르메니아를 제외하면 8번째이지만 소련이 붕괴되고 독립한 현재 기준으로는 12번째가 알맞다.] == 역사 == ||<-2> [youtube(xVVtAMSWB6E)] || [[싱가포르 MRT/역사]] 참조 == 특징 == * 빨간색 노선은 영어로는 North South(北南) 선인데 중국어로는 난베이(南北) 선이다. [[한자문화권]]과 [[영어권]]의 방향배열이 달라서 그렇다.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는 '동서남북'([[한국어]]/[[일본어]]/[[베트남어]]) 혹은 '동남서북'([[중국어]])으로 배열하지만 [[영어권]] 등에서는 '북남동서'이기 때문. 예전에 노스웨스트 항공(North West Airline)을 서북항공이라고 불렀던 것이나 South East Asia를 남동아시아가 아닌 [[동남아시아]]라고 하는 것만 봐도 그렇다. * MRT와 버스 내에서는 음료수나 음식 섭취가 금지되어 있고[*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인데, 과태료 부과가 없을 뿐 시내버스 내 음식물 반입이 제한되어 있고 음식물 섭취도 금지되어 있다. 지하철의 경우 금지하지는 않지만 음식물 섭취를 하지 않는 것이 상식으로 통하긴 하다. 그러나 일부 승객들의 민폐로 인해 2020년대 들어 대중교통 음식물 섭취시에 벌금을 도입하자는 여론이 많아지고 있으나 아직은 음식물 섭취에 관한 구체적인 법률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인화성 물질의 소지 또한 금지되어 있다. 경찰국가답게 위반 시 부과되는 벌금 액수 역시 많은데, 500 [[싱가포르 달러]]~1000 [[싱가포르 달러]](한화로 약 49만원~98만원)이다. 재밌게도 [[두리안]]을 들고 타는 것도 금지되어 있는데, 특유의 냄새 때문에 사람들이 매우 싫어하기 때문이다. 다만 [[두리안]]을 들고 탑승한 것을 적발당했다고 하더라도 벌금이 부과되진 않는다.[* 물론 껍질을 뜯어버리면 1000 [[싱가포르 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 대놓고 도시락을 까서 먹는 것은 어느 나라든간에 상식적으로 안되지만 그래도 목마를 때 물이나 음료수를 조용히 마시는 것은 정말 재수 안 좋은 날이 아니면 안 걸린다. 물론 이런 서술만 믿고 까불면 재수없게 벌금 폭탄을 맞으니 목이 말라도 참아야 한다. * 한국보다 일찍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전구간에서 스크린도어가 운영되고 있고[* 무려 1987년 부터 지하역에 설치되었었다.아시아의 최초의 스크린도어를 가진 도시철도 이다.], 지하철 티켓 역시 [[교통카드]]와 같은 디자인으로 한국보다 먼저 도입되었다. 또한 5개 주요 노선의 디자인이 전부 똑같다. 역내 분위기와 지하철 차량까지 흡사하여 색깔로 구분하지 않으면 처음 이용하는 사람들은 헷갈리기 십상이다. * 싱가포르 지하철의 기본요금은 0.95 SGD(한화로 약 930원)이지만, 기본요금 구간이 매우 짧아 구간 요금이 부과되는 거리의 폭이 [[서울특별시]]보다 좁다. 따라서 가까운 거리를 이용할 때에는 [[수도권 전철]]이나 [[부산 도시철도]]보다 저렴하지만, [[싱가포르 창이 공항]]-마리나 베이 같이 대략 30분 정도 걸리는 구간을 이용하면 1.8 SGD 정도로 서울/부산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수준의 요금을 부과하게 되며, [[싱가포르 창이 공항]]-우드랜드, 주롱 이스트같이 1시간은 족히 가야하는 구간에서는 2 SGD(한화로 약 2000원)를 훌쩍 넘어가 [[수도권 전철]] 및 [[부산 도시철도]]보다 요금이 비싸진다. 다만 싱가포르 지하철 역시 무료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의 높은 물가[* 물론 싱가포르 물가는 홍콩, 런던, 뉴욕, 도쿄보단 훨씬 저렴하다. 서울과 비슷하다. 특히 호커센터의 존재로 식비는 홍콩에 비해 넘사벽으로 싼 편이고 홍콩이나 도쿄에 없는 환승할인도 여기엔 있다.]에 비하면 지하철 요금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 안내방송의 경우 다음 역 안내는 영어와 중국어로만 나오며, 문이 열릴 때는 [[https://youtube.com/shorts/-tNvvsl3nrM?feature=share|'승강장 사이 발빠짐에 주의하십시오']] 라는 뜻의 안내방송이 4개 언어로 나온다. Please mind the gap(영어), 请小心空隙(중국어), Berhati-hati di ruang platform(말레이어), தயவு செய்து தளமேடை இடைவெளியைக் கவனத்தில் கொள்ளுங்கள்(타밀어).[* 관광객들의 MRT 이용 후기를 보면 안내방송에서 들리는 '해피해피'가 인상깊다는 내용이 꽤 보이는데, 앞서 말한 말레이어 안내방송의 'Berhati-hati(버르하띠하띠)'를 들은 것이다. 비단 한국인뿐 아니라 비 마인어권 사람들에게는 다 비슷하게 느껴지는 건지 구글에서도 'singapore mrt happy happy'가 자동완성으로 뜨는 걸 볼 수 있다.] * 서울 [[수도권 전철]]이나 부산 [[부산 도시철도]] 등 한국의 주요 대도시 지하철을 자주 이용했던 사람들이라면 싱가포르 MRT는 싱가포르를 여행할 때 매우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카드형 티켓, 무료환승 제도, 스크린도어와 쾌적한 구내시설, 서울 및 부산 지하철과 비슷한 요금 등등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 상대적인 이질감이 적고, 노선이 많지 않고 환승 연계가 잘 되어 있어 환승도 간단한 편이다. 또한 거의 모든 역이 널찍한 [[섬식 승강장]]으로, 반대 방향 열차를 타기 위해 계단을 오르내리는 수고를 들일 필요가 없다. * 한국 대도시인 서울의 [[수도권 전철]]/부산의 [[부산 도시철도]] 등과 다르게 저녁 오후 6~7쯤이 제일 사람이 붐비는 피크타임이다. 야근이 별로 없는 직장문화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른 영미권도 마찬가지다. * [[홍콩 지하철]]인 [[MTR]]과 비교를 하는 경우가 많다. 원체 [[홍콩]]과 [[싱가포르]]는 경쟁심리가 다분한 사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단순히 도시철도간 비교를 해도 이름과 규모 등 상당히 많은 부분이 비슷하다. 다만 둘 다 이용해본 사람 중 싱가포르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은 MRT를 까는 경우가 많고 홍콩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은 MTR을 까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MRT는 운영과 관련해 까이는 경우가 많고 MTR은 혼잡함 때문에 까이는 경우가 많다. 물론 여기엔 남의 떡이 더 커보이는 현상과 선진국 특유의 징징거림(...)이 원인이 되는 면이 있다. *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현금을 활용한 승차권 발급을 폐지하고 100% 교통카드 및 선후불교통카드 결제 체계로 변경할 예정이다. * 동서선과 남북선은 [[서울]] 3,4호선,부산 1호선과 상당히 비슷한 면이 많다. 1980년대 중후반에 개통을 해서 인지 역 분위기도 상당히 같다. 해외의 [[홍콩]]의 MTR 홍콩섬선, [[일본]]의 센다이 지하철 난보쿠선, 삿포로 시영 지하철 토호선, 고베 시영 지하철 호쿠신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사쿠라도리선과 오사카메트로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미국]]의 뉴욕 지하철 J·Z선과 [[프랑스]]의 RER D선 그리고 [[캐나다]]의 [[몬트리올 지하철 파랑선]] 분위기가 매우 비슷하다. * 대한민국의 [[수도권 전철]]보다는 오히려 [[부울경]]의 [[부산 도시철도]][* 공교롭게도 둘다 도시철도가 6개고 LRT까지 하면 싱가포르가 3개 더 많다.]와 같다. 싱가포르의 전체 면적이 [[부산광역시|부산]] 정도 면적이 나온다.[* 부산도 양산, 김해를 포함할 경우 싱가포르보다 면적이 훨씬 넓어진다.] == 차량 == [include(틀:싱가포르의 전동차)] 현재 싱가포르 MRT가 보유한 차량들이다. 여담으로 C830C 차량 이후로 도입된 차량들은 C801A, J151 차량을 제외하고 전부 중국산이다. === 동서선/남북선 === || [[파일:C151EWL.jpg|width=500%]] || [[파일:c651-bg.jpg|width=500%]] || || [[가와사키중공업|가와사키]]제 [[싱가포르 MRT C151형 전동차|C151 차량]] - 남북선, 동서선 통틀어 60편성 운행중.[* 1986~9년산으로, 2008년에 [[현대로템]]에서 개조 과정도 거쳤다. 일부 편성은 [[IGBT]] 인버터+[[PMSM]] 전동기 조합으로 운행중이다.][* 6개 편성은 퇴역 및 폐차] || [[지멘스]] [[싱가포르 MRT C651형 전동차|C651 차량]] - 남북선, 동서선 통틀어 11편성 운행중[* 일부는 개조를 했으나 조기 퇴역 및 폐차][* 8개 편성은 퇴역] || || [[파일:SMRTC751B.jpg|width=100%]] || [[파일:C151ANSL.jpg|width=500%]] || || 가와사키 [[싱가포르 MRT C751B형 전동차|C751B 차량]] - 남북선, 동서선 통틀어 17편성 운행중[* 4개 편성은 퇴역] || 가와사키 CSR 칭다오 쓰팡 [[싱가포르 MRT C151A형 전동차|C151A 차량]] - 남북선, 동서선 통틀어 35편성 운행중.|| || [[파일:C151BEWL.jpg|width=500%]] || [[파일:NSLC151C.jpg|width=500%]] || || 가와사키 CSR 칭다오 쓰팡 [[싱가포르 MRT C151B형 전동차|C151B 차량]] 남북선, 동서선 통틀어 45편성 운행중. || 가와사키 CSR 칭다오 쓰팡 [[싱가포르 MRT C151C형 전동차|C151C 차량]] 남북선에 12편성 운행중[* 향후 동서선에서도 운행 가능성이 있으나 동서선의 신호체계가 수선되면 예정]|| || [[파일:R151.jpg|width=500%]] || || || 봉바르디에제 [[싱가포르 MRT R151형 전동차|R151형 차량]] 106편성 제조[* C151,C651,C751B형 전동차 전 편성을 2020년대 말 2030년대 초까지 대체 할 예정이다.] || || === 동북선 === || [[파일:C751A-stock-photo-1024x683.jpg|width=100%]] || [[파일:c751c-exterior.jpg|width=100%]] || || [[알스톰]] 메트로폴리스 [[싱가포르 MRT C751A형 전동차|C751A형 차량]] , 동북선에 25 편성 운행 중 || 알스톰제 [[싱가포르 MRT C751C형 전동차|상하이 알스톰 메트로폴리 C751C형 차량]] ,동북선에 18 편성 운행 중 || || [[파일:c851en-bg.jpg|width=100%]] || || || 알스톰졔 [[싱가포르 MRT C851E형 전동차|C851E형 차량]] 동북선형 6 편성 제조 || || === 서클선 === || [[파일:51210813929_07771358d6_b.jpg|width=500%]] || [[파일:c830c-exterior.jpg|width=500%]] || || [[싱가포르 MRT C830형 전동차|C830 차량]] 서클선에 40편성 운행 중 || [[싱가포르 MRT C830C형 전동차|C830C 차량]] 서클선에 24편성 운행 중 || || [[파일:srd2022-6.jpg|width=100%]] || || || [[싱가포르 MRT C851E형 전동차|C851E형 차량]] 23개 편성 제조 || || === 다운타운 선 === || [[파일:C951A.jpg|width=100%]] || || [[봄바르디어]]제 [[싱가포르 MRT C951/C951A형 전동차| 무비아 C951형 전동차]], 다운타운선에 92편성 운행중 || === 톰슨 이스트 코스트 선 === || [[파일:CT251-Exterior-LTA-1.jpg|width=500%]] || || 가와사키 중공업제 [[싱가포르 MRT CT251형 전동차|CT251형 차량]] , 톰슨 이스트 코스트 선 91편성 중 29 편성 운행 중 || == 노선 목록 == [[파일:SG_MRT_map.png]] [[http://www.lta.gov.sg/content/ltaweb/en/public-transport/mrt-and-lrt-trains/train-system-map.html|노선도]]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저기 저 노선의]] [[1기 지하철 계획|선형이 이상하다?]]--[* 실제로 저 이상한 선형덕분에 직선거리 300m밖에 안떨어진 역이 전철로 '''9정거장'''이 걸린다. ] === 운영중인 노선 === || 노선명 || 개통연도 || 기점역 || 종점역 || 총 길이 (km) || 역 수 || 비고 || ||'''{{{#!html NSL}}}''' [[싱가포르 MRT 남북선|남북선]] || 1987년 || || || 45.0 km || 26 || || ||'''{{{#!html EWL}}}''' [[싱가포르 MRT 동서선|동서선]] || 1987년 || || || 57.2 km || 35 || || ||'''{{{#!html NEL}}}''' [[싱가포르 MRT 동북선|동북선]] || 2003년 || || || 20.0 km || 16 || || ||'''{{{#!html CCL}}}''' [[싱가포르 MRT 서클선|서클선]] || 2009년 || || || 35.7 km || 30 || || ||'''{{{#!html DTL}}}'''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다운타운선]] || 2013년 || || || 41.9 km || 34 || || ||'''{{{#!html TEL}}}'''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톰슨-이스트코스트선]] || 2020년 || || || 30.4 km || 20 || || === 건설/계획중인 노선 === || 노선명 || 기점역 || 종점역 || 총 길이 (km) || 역 수 || 개통 예정일 || 비고 || ||'''{{{#!html DTL}}}'''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다운타운선]] || || || || || 2024년 || [* 3+단계 건설중) (3+단계: 2024년)] || ||'''{{{#!html TEL}}}'''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톰슨-이스트코스트선]] || || || || || 2024년 || [* (4~5단계 건설중) (1단계: 2020년 1월 30일 개통, 2단계: 2021년 8월 28일 개통, 3단계: 2022년 11월 13일 개통, 4단계: 2023년, 5단계: 2024년)] || ||--'''{{{#!html JRL}}}''' [[싱가포르 MRT 주롱 지역선|주롱 지역선]]-- (건설중) || || || 24 km || || 2026년 || || ||--'''{{{#!html CRL}}}''' [[싱가포르 MRT 크로스 아일랜드선|크로스 아일랜드선]]-- (건설중) || || || 58 km || || 2030년 || || == 문제점 == [[2017년]] 7월 경에는 열차가 고장나는 경우가 굉장히 잦았다.[* 특히 구형 차량들] [[텔레그램]]에 고장 알림 채널이 생길 정도. 웬만하면 정부 비판을 안 하는 [[싱가포르인]]들이 교통부 장관은 사퇴하라고 항의하기 시작했다. 결국 SMRT 사장이 물러나고 임원들이 물갈이됐다. 물론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모양 같아 보였지만 노후 열차가 교체되자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C151, C651 그리고 일부 C751B] 한국이나 일본, 홍콩의 도시철도 전동차들과 달리 창문 개폐가 불가능하다. 이런 구조에서는 화재나 가스 누출이 발생했을 때 상당히 위험할 수 있는데, 정부도 이걸 모르는 건 아니여서 가스나 인화성 물질을 들고 타는 걸 금하고 있다. 아울러 1980~90년대에 도입된 열차들도 불연재라, 불이 나더라도 번지거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뉴턴,부킷 판장,탬피니스 같은 운영사가 다른 노선 끼리 직접 환승은 안되며 다시 찍고 나와야 된다. 그나마 추가 요금이 안나가지만 뉴턴을 제외하면 저 둘은 환승하기 매우 힘든 편. == 관련 문서 == * [[싱가포르]] * [[도시철도]] * [[싱가포르 LRT]] [각주] [[분류:싱가포르 M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