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융합(유희왕))] [[파일:シンクロ・フュージョニス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싱크로 퓨저니스트, 일어판 명칭=シンクロ・フュージョニスト, 영어판 명칭=Synchro Fusionist, 레벨=2,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600, 효과1=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에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융합" 마법 카드 또는 "퓨전"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듀얼리스트의 혁명]]에 등장한 몬스터 카드. 과거의 테마인 융합을 살리기 위해 새로이 추가된 "싱크로 몬스터의 융합"이라는 테마를 위해서 등장한 카드. [[인스턴트 퓨전]]처럼 융합이라고 적고 퓨전이라는 루비가 달린 카드도 물론 가능하다. 다만 싱크로 / 융합 소환을 병용해서 덱을 짜는게 쉽지가 않기 때문에 사용하려면 머리를 많이 쥐어 싸매야 할 것이다. 패 사고도 나기 쉽고, 엑스트라 덱의 공간도 15장이라서 넉넉하지 않으며, 어중간한 공격력 / 수비력 / 레벨 때문에 싱크로 소환의 대세가 되고 있는 튜너 몬스터들 중 상당수와 궁합이 나쁘다. 공격력이 800이라 [[데브리 드래곤]]으로 소환할 수도 없고, [[좀비 캐리어]]나 [[그로우업 벌브]]로는 마땅히 소환할 만한 싱크로 몬스터가 적다. 그나마 좀 상성이 맞는 건 [[퀵 싱크론]] 정도? 일단 마법사족이기에 마법사족 중에 싱크로 몬스터가 들어간 융합 몬스터 패마도사 [[아캐나이트 매지션]]과 상성이 좋으며, 특히 '''[[인스턴트 퓨전]]'''을 쓰는 싱크로 소환 덱이라면 그냥 채용해도 후회는 안 한다. [[음악의 제왕]], [[카오스 위저드]]를 쓰는 마법사족 싱크로 소환 덱이라면 더 채용이 쉽다. [[매지컬 컨덕터]]로 소생이나 [[견습 마술사]]로 리크루트도 가능. 융합 / 싱크로 소환을 동시에 이용하는 [[나츄르]] 덱에서도 상성이 괜찮을... 것 같지만 이쪽은 나츄르 싱크로 몬스터가 전부 땅 속성 몬스터를 소재로 요구하기 때문에 불가능. 일단은 범용성이 높은 튜너인 [[정크 싱크론]]의 대상이 되며 묘지에서 발동하는 거라서 효과도 쓸 수 있기에, 향후 어떤 융합 몬스터가 등장하냐에 따라 취급이 달라질 것 같다. 굳이 융합 몬스터와 싱크로 몬스터를 동시에 운용해야 되는 덱을 구축하겠다면 [[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 및 [[겁화의 뱃사공 고스트 카론]] 등을 병용할 수 있긴 하다. 또 이 카드의 지나치게 낮은 레벨을 보완할 카드로 [[유니좀비]]가 존재한다. 문제는 파동룡기사나 겁화의 뱃사공은 모두 드래곤족 관련이고, 이 카드는 드래곤족 전용 융합 카드인 용의 거울을 서치하지 못한다. 금지 카드라서 상관없지만 [[차원 융합]]도 서치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용의 거울]], [[파워 본드]]는 융합 / 퓨전에 해당 사항이 없다. 행여나 루비를 기대하는 유저들도 기대는 하지 말자. 루비는 '드래곤즈 미러'. 어느 쪽이든 융합 / 퓨전이라는 글자는 없다. [[현자의 돌 - 사바티엘]]이 나오기 전까지 [[미러클 퓨전]], [[미래융합-퓨처 퓨전]], [[초융합]]이 전부 서치가 되는 유일한 카드였기 때문에 [[엘리멘틀 히어로]] 덱과의 상성이 기대되었지만 마법사족인데다 싱크로 소환의 소재가 되어야만 서치가 가능했던 점 때문에 묻혔다. ~~[[날개 크리보]] 같은 걸 덱에다 집어넣어야 하는 사바티엘도 마찬가지 신세~~ [[히어로 비트]] 덱에 들어가는 [[튜너 몬스터]]는 기껏해야 데브리 드래곤과 그로우업 벌브, [[이펙트 뵐러]] 정도가 한계이기 때문이다. 한때 만능 튜너라고 불리던 [[좀비 캐리어]]나 [[BF-질풍의 게일]]조차 안 들어갈 정도로 싱크로 채용률이 낮다. 거기다 이제는 그로우업 벌브 금지, 데브리 드래곤 제한으로 사실상 사용되는 건 이펙트 뵐러뿐인데 얘랑 이펙트 뵐러를 합쳐서 도대체 어떤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을까? ~~[[하조 클라우솔라스]]~~ 영어판 효과엔 '[[확산하는 파동]]을 제외한'이라는 문구가 있다.이는 확산하는 파동의 영어명이 Dif'''fusion''' Wave-Motion이어서 일본판 문구로는 확산하는 파동을 서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자의 돌 - 사바티엘]]도 같은 텍스트다. 하여튼 범용성은 엄청 낮은 카드. 그래도 "융합"이나 "퓨전"만 들어가 있다면 어떤 마법이든 가져올 수 있으니 쓸 수 있는 덱에서는 꽤 강력하다. 한국에서는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초반에 이걸 이용해서 섀도르 퓨전을 가져오는 [[정크(유희왕)|정크]] [[섀도르]] 덱이 우승까지 한 경력이 있다. 그 외에 싱크로 / 융합 소환을 동시에 사용하는 [[크툴루(유희왕)|크툴루]] 덱에서 [[좀비 캐리어]]와 함께 [[고신 크투그아]]를 부르고 가져온 [[인스턴트 퓨전]]으로 [[구신 노덴]]을 부르는 방식으로 자주 사용한다. 또한, 재융합과 노덴을 사용하는 루프 덱에서는 루프의 주축으로 쓰인다. ~~[[끔살|그리고 이 루프를 적절히 끊지 못하면...]]~~ 구신 노덴이 금지 먹고 나서는 뭐... 여담으로, 이 카드의 일러스트의 몬스터는 [[융합(마법 카드)]]에 등장하는 악마 모양 몬스터와 아주 똑같다. 오랜 시간이 흘러, [[유희왕 ARC-V/코믹스]]에선 [[시운인 소라]]의 "퍼니멀 퓨저니스트"로 귀엽게 외모가 바뀌어서 새롭게 등장했다. 후에 OCG화될 수도 있을 듯?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리스트의 혁명]] || DREV-KR035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 DREV-JP035 ||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 DREV-EN035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각주]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