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TroubledAndMelodicQuince#557, 합의사항1=문서를 존치하고 합의안에 따라 서술하기, 토론주소2=TheSparklingAndDirtyBody#69, 합의사항2=개요를 다음으로 수정:성관계 후 여성이 임신하면 모른 척 하고 도망가는 남성을 벌레에 비유하는 멸칭이다. 피임을 하지 않거나 양육 책임을 지지 않는 남성을 비하할 때에 쓰인다., 토론주소3=TheSparklingAndDirtyBody#69, 합의사항3=바뀐 개요에 따라 문서 내에서 미혼모 및 양육 책임 회피에 대한 문제가 해당 용어의 전파와 쓰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서술 허용, 토론주소4=EtherealFairGoofyHot, 합의사항4=용어의 문제점 문단의 도를 넘은 생명경시와 별개의 문제를 삭제하기)] [목차] == 개요 == 성관계 후 여성이 임신하면 모른 척 하고 도망가는, 줄여서 '''싸'''고 '''튀'''는 남성을 벌레에 비유하는 멸칭이다. 피임을 하지 않거나 양육 책임을 지지 않는 남성을 비하할 때에 쓰인다. == 용어의 배경 == 피임은 남녀 모두 책임이 있고 둘 다 선택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혼자만 관계해서 임신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성의 임신에는 남성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논리이다. 여자에게 이 단어를 붙이는 경우가 없는 이유는 사정하는(속된 말로 싸는) 쪽이 남성이기 때문이다. [[코피노]] 문제와 [[혼외자]]에 대한 양육 책임이 여성에게만 가중되는 사회 현실에 대한 대중들의 분노가 용어가 퍼지는 데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미혼모]] 문서 참조. '싸튀충'이라는 단어 자체는 메갈리아 이전에도 있었지만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2&no=8000591|#]],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extra&no=3599713|#]] 지금의 용례는 2016년 [[메갈리아]]의 등장 이후 만들어졌다. [[https://femiwiki.com/w/%EC%8B%B8%ED%8A%80%EC%B6%A9|페미위키]]의 문서를 보면 '낙태충'에 대한 [[미러링(신조어)|미러링]] 단어라고 설명되어 있다. '낙태충'이라는 용어가 부득이한 이유로([[성폭력]] 피해자, 산모의 극심한 건강 악화, 법적으로 낙태가 허용되는 [[유전병]]과 기형 등.) 정당하게 [[낙태]]를 한 여성에게도 책임을 묻는 용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항하기 위해 가해자를 공격하는 단어를 만들어 낸 것으로 보인다. [[https://librewiki.net/wiki/%EB%82%99%ED%83%9C%EC%B6%A9|리브레 위키의 낙태충 문서]]. == 용어의 비판 == === 피임의 필요성 === 자신과 관계한 여성이 임신했는데 책임을 포기하고 도주한 남성의 잘못은 물론 매우 크다. 하지만 '싸튀충'이라는 단어에는 여성이 이러한 합의 및 책임에서 빠져있는 수동적인 존재라는 뉘앙스를 갖게 한다. 아래와 같은 예시가 아닌 이상. * [[강간]], [[윤간]]처럼 여성을 무력으로 꺾어 강제적으로 임신을 시키는 경우 * '저 남자와 가정을 꾸려도 되겠다.' 식으로 생각하도록 적극적으로 기만하는 [[혼인빙자간음죄]] 및 [[사기]]의 경우와 같이 여성의 피임 의지를 꺾고는 뒤통수치는 [[범죄]] * 정상적인 가정이 될거라 생각하여 피임없이 관계를 맺었다 임신을 했는데, 남성이 뒤통수를 치고 도망가는 경우 그러니 피임은 꼭 하도록 하자. [[피임]]은 남녀 모두의 의무이자 권리이다. 피임은 남녀 모두가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이 피임 도구를 사용하든 상관이 없다. 둘 중 한명이라도 아이를 갖기 원하지 않는다면 피임 도구를 쓰거나, 상대방에게 피임 도구를 사용하도록 요구해야 한다. 어쩌다보니 이미 일이 일어나버렸다면 [[사후피임약]]이라는 방법이 있다. 몸에 좋지 않은 건 맞으나 적어도 [[낙태]]보다는 신체적으로나 윤리적으로나 더 낫다. 만약 서로 아이를 갖기를 원치 않는데도 상대방이 피임 도구 사용을 거부한다면, 자신이 피임 도구를 쓰거나 애초에 성관계시 삽입을 하지 말아야 한다. 구체적인 미래 계획도 세우지 않고 무턱대고 피임 없이 관계를 맺는 건 절대 안 된다. 또한 성관계 시 상대방의 피임 의사를 받아들이지 않고 피임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삽입을 강요해서도 안 된다. === 일반화의 문제점 === 모든 혐오 용어가 그렇듯이, 이 용어가 문제가 되는 가장 큰 이유이다. 극단적인 남혐사상을 갖는 집단에서는 '[[잠재적 가해자]]' 와 비슷한 맥락으로 이 단어를 모든 대한민국 남성들에게 써서 일반화하는 오류도 보이고 있다. 관련 내용은 [[잠재적 가해자]] 문서를 참고할 것. == 여담 == [include(틀:토론 합의, this=문단, 토론주소1=NostalgicWrathfulVerdantDesign, 합의사항1=OECD 혼외자 출산 비율 자료를 링크로 소개하고 이로부터 대한민국의 싸튀충 비율이 매우 낮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는 서술을 존치하기)] * [[https://www.oecd.org/els/family/SF_2_4_Share_births_outside_marriage.pdf|2018년 기준 OECD 조사 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혼외자 출산 비율은 2.2% 정도에 불과하므로, 싸튀충의 비율 또한 매우 낮을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미혼모에 대해 매우 보수적인 한국의 현실상 임신 사실이 알려지면 조금이라도 책임감이 있는 남성들은 해당 여성과 결혼을 택하거나, 결국 남자에게 버림받은 여성들의 경우 어쩔 수 없이 낙태를 해버려서 '혼외' '출산'에 이르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해외입양되는 아이의 절대다수가 미혼모 자녀인 것이 지금의 현실이니까.[[https://news.v.daum.net/v/20201113164014113|#]]] * [[낙태죄 존폐 논란|낙태죄 폐지]]시위 구호에 자주 사용되는 속어이다. * 본 문서에서 다루는 멸칭은 해외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해외에서도 출산 이후 양육비를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https://www.thebalancesmb.com/failure-to-pay-child-support-penalties-2997972|미국에서도 43.5%의 아동만이 양육비를 전부 지급받는다]]는 것으로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해당 링크에서 볼 수 있듯 양육비 지급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사람에게 운전면허 정지부터 봉급 압류, 심지어는 쇠고랑까지 찰 수 있도록 하다 보니 양육 의무를 나 몰라라 하는 책임회피 현상으로 인한 사회 문제가 훨씬 덜한 것으로 보인다. * [[레루리리]]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인 [[성창폭렬 보이]]는 관계 후 여자친구가 임신하게 되자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며 [[책임전가]]를 하는 내용의 곡으로, 정확히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일치한다. * 합의하에 맺은 관계는 형사적 책임은 없으나 출산 후에는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다. * 남성이 임신시킨 후 잠적하였지만 혼인신고를 하지 않아 처벌받을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 당시엔 [[낙태죄]]가 폐지되기 전이라 낙태를 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22/0003302977|2018년]] == 창작물에서 == [[막장 부모]]와 겹치는 경우도 있는데, 오다 에이치로의 소년만화 <원피스>에 나오는 골 D. 로저와 [[야솝]]이 주로 이 논란에 연루된다. 그러나 이마저도 팬덤 간에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있다. --원피스 말고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아동애니]]에서도 그런 논란이 [[자그드 스톤|등장하기도 한다]]-- 창작물에서는 불우한 가정사를 가진 캐릭터에게 주로 부여되는 서사로 남편이 자신이 임신하자 떠나버리거나, 아버지가 어머니를 임신시키고 떠났다는 [[막장 드라마]]스러운 설정이 붙기도 한다. [[속도위반]], [[야반도주]]와 겹치는 경우가 많은 편. == 관련 문서 == * [[잠재적 가해자]] * [[싱글맘]] * [[미혼모]] / [[미혼부]] * [[인지(친족법)|인지]] * [[피임]], [[낙태]], [[낙태죄 존폐 논란]] * [[코피노 비즈니스]] / [[WLK 코피노 소송]] * [[배드파더스]][* 위의 코피노 소송을 주도했던 구본창씨가 운영하는 사이트. 1심 명예훼손 판결에서 무죄를 받고 [[스트라이샌드 효과]]로 더욱 유명해져버렸다. 2심에서는 유죄로 뒤집힘.] / [[양육비이행관리원]] * [[책임]] * [[원하지 않는 임신]] [[분류:XX충]][[분류:성별혐오/용어/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