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쌀미꾸리}}}[br]Eightbarbel loach}}}'''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쌀미꾸리.jpg|width=100%]][br][* 사진에서 아래쪽이 쌀미꾸리다. 위쪽은 [[참종개]].]}}} || || [[학명|{{{#000 '''학명'''}}}]] || ''' ''Lefua costata'' '''[br]Kessler, 187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잉어목(Cyprin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종개과(Nemacheil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쌀미꾸리속(''Lefu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쌀미꾸리(''L. costata'')''' || [[파일:쌀미꾸리 수컷.jpg|width=500]] 수컷 [[파일:쌀미꾸리 암컷.jpg|width=500]] 암컷 한반도와 산동, 요서, 만주 일대에 서식하는 잉어목 종개과 민물[[어류]]이다. [[미꾸리]]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미꾸리과가 아니라 종개과 미꾸리와는 달리 땅 속을 파고들지 않는다. 이전에는 종개과로 분류했었다. 크기는 5-7 cm로 작을뿐더러 생김새가 귀엽고 성격도 활발하여 관상용으로 아주 적합한 민물고기이다. 하지만 다른 물고기들과 합사는 신중히 하자. 왜매치, 버들매치 등 체형이 비슷하면서 생활반경이 겹치는 몇몇 물고기들의 얼굴 옆에 딱 달라붙어 집요하게 따라다니며 괴롭히곤 한다. 심지어 덩치가 몇 배나 더 큰 [[쉬리]] 성어도 공격할 정도.[* 원래 쉬리는 성격이 온순하고 느긋해서 공격적인 어류들에게 만만한 괴롭힘 대상이 되곤 한다.] 주로 물이 얕고 흐름이 느린 소하천이나 물이 맑은 계곡형 농수로에서 사는데, 머리는 납작하고 배 부분은 통통하며 꼬리로 갈수록 얇아진다. 소형 절지동물이나 실지렁이 따위를 주로 먹는데, 입 주위에 있는 감각 수염 5쌍을 이용해 먹이를 찾는다. 산란시기는 5월 무렵이다. 수컷은 옆구리에 진한 점으로 이어진 줄무늬가 있지만 암컷은 없거나 흐릿하게 있다. 강원도에선 쌀미꾸리를 식용한다. [[분류:쌀미꾸리속]][[분류:담수관상어]][[분류:생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