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명일방주)] [include(틀:명일방주/등장인물)] ||<-3> {{{#ffffff {{{+1 '''쎄루에르차''' [br] '''Zeruertza''' }}}}}} || ||<-4> [[파일:logo_zeruertza.png|width=100%]] || ||<-4> {{{#ffffff '''국장'''}}} || ||<-2> {{{#ffffff '''언어별 표기'''}}}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际崖城[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ゼルウェルツァ || ||<-3> {{{#ffffff '''지리'''}}} || ||<-3> {{{#ffffff '''인문 환경'''}}} || ||<-2> {{{#ffffff '''인구'''}}} ||불명 || ||<-2> {{{#ffffff '''주요 종족'''}}} ||두린 || ||<-2> {{{#ffffff '''공용어'''}}} ||<-2>불명[* 언어에 대한 묘사가 딱히 나오지 않는다. 일단 외부와 고립되어 있고, [[파죰카]]의 오퍼레이터 기록에서 의사소통 문제로 만년필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한 걸 석궁으로 잘못 알아들었다고 언급되는 것을 보면 두린 사이의 고유 언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처음 만난 외지인들과 문제없이 소통하는 것으로 보아 고성능 [[번역기]]를 사용할지도 모르는 일.] || ||<-2> {{{#ffffff '''화폐'''}}} ||<-2>--기담괴론--[* 두린족들이 좋아하는 지상세계에 대한 [[가십]] 잡지로, 훈장 플레이버 텍스트에서 이게 돈이 된다는 것을 깨달은 이남이 너무 많이 가져온 탓에, 두린족들 사이에서 기담괴론을 화폐로 삼자고 투표를 하려다가 불발되었다는 이야기가 등장한다.] || ||<-2> {{{#ffffff '''군대'''}}} ||<-2>없음 || ||<-3> {{{#ffffff '''정치'''}}} || ||<-2> {{{#ffffff '''정치 체제'''}}} ||[[연맹왕국|도시국가 연합]][* 두린족으로 구성된 지하 도시들의 연합. 이상적인 도시에서 도시간 통로가 막혀버렸긴 하지만 옆 도시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br][[직접민주주의]][* 대소사를 막론하고 중대한 일이건 사소한 일이건 [[주민투표|주민들의 거수투표]]로 결정하며, [[이상적인 도시]] 시점에서 한 분기에 40건에 가까운 투표가 치뤄졌다.] || ||<|3> {{{#ffffff '''정부[br]요인'''}}} || {{{#fff '''상업 대표'''}}}[br]{{{-2 {{{#fff ''''''}}}}}} ||크로크 다이아몬드페이스 || || {{{#fff '''기술 대표'''}}}[br]{{{-2 {{{#fff ''''''}}}}}} ||디컬처 실버민트 || || {{{#fff '''수석 설계사'''}}}[br]{{{-2 {{{#fff ''''''}}}}}} ||--핀치 캔버스--[br]--캐치 라이트레이스--[br][[스티치 캔버스]] || ||<-3> {{{#ffffff '''역사'''}}} || ||<-2> {{{#ffffff '''성립'''}}} ||두린족의 지하도시 확장 || ||<-2> {{{#ffffff '''멸망'''}}} ||1099년 여름 오리지늄 광맥 폭발로 멸망. 유민들은 [[사르곤(명일방주)#아카후알라 지역|아카후알라]]에 귀화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logo_zeruertza.png|width=100%]][br]{{{+3 '''{{{#white 쎄루에르차}}}'''}}}[br]'''{{{+1 {{{#ffffff,#dddddd Zeruertza}}} }}}''' || [[파일:30_i01.png]] 아카후알라 지하에 있는 두린[* 지하 도시들의 연합으로 구성된 국가의 이름이면서, 구성원들의 종족명이기도 하다.]의 도시. 거대한 돔으로 이루어져 있고 디스플레이로 마감을 해 지하인데도 마치 하늘이 보이는 것처럼 되어 있으며, 인공광원이 있어 밤낮도 존재한다. 묘사에 따르면 거의 [[와칸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와칸다]] 수준으로 기술이 고도로 발전한 도시이다. 과거 지각변동으로 돔에 구멍이 뚫려 도시 한 가운데에 지하수가 줄줄 새고 있지만 주민들은 이를 '''워터 파크'''(...)로 개조해 끝나지 않는 여름을 즐기는 화끈한 도시이기도 하다. 이들의 대화에서 아마 여름이 질리면 다음은 겨울로 할지도 모른다는 말이 나오는 걸 보아 돔 내부의 기후도 마음대로 조절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은 대부분 매우 낙천적이고 쾌활한 성격이다. 낯선 사람이 와도 거의 경계하지 않고 같이 놀 생각 뿐. 인게임 전투 역시 술에 취해서, 또는 기계가 오작동을 일으켜서 개판이 되는 바람에 벌어지는 경우가 대다수다. 사실 바로 위의 아카후알라 역시 문명과 단절되었지만 반대급부로 상당히 순수한 편이라, 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교류가 있었음에도 거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고 서로의 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도 않았다. 만일 쎄루에르차 지상에 라이타니엔이나 우르수스같이 목적을 위해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국가가 있었다면 아브도티야의 우려가 현실이 되었을 수도 있었다. 돔의 설계는 스티치의 스승인 핀치 캔버스가 했다고 하나 현재는 행방불명된 상태이다. 이외에 현 설계 대표인 캐치는 워터 슬라이드의 철거 이후 돔의 디스플레이를 스테인드 글라스(...)형상으로 바꾸고자 했으나 이를 들은 스티치는 스승의 작품이 모욕되는 걸 막고자 방금 전까지의 태도를 싹 바꾸고 캐치의 의견을 반대하기로 한다. [[이상적인 도시: 엔드리스 카니발]] 이벤트 후반부에 터널 공사 중 발견된 순오리지늄 광맥으로 인해 도시 전체가 폭발해 사라졌지만, 다행히 가비알과 아브도티야, 스티치 등이 두린족을 전원 지상으로 대피시키는 데에 성공한다. 이후에는 쎄루에르차를 재건하던 와중에 티아카우들과 합심해서 두린족이 아카후알라의 문화를 받아들이거나 폭포에 워터파크 2호(...)를 만들거나 티아카우들과 두린족이 탱크를 만들어 누구 대포가 더 크고 아름다운지(...) 대결하는 모습이 [[안젤리나(명일방주)|안젤리나]]의 유랑기 사르곤 편에서 등장하기도 한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ypergryph&no=1373971|#]] 티아카우들은 농사나 벌목 작업등을 하고 두린족들은 기술 제공을 하면서 거의 완벽하게 공존하고 있지만 가끔 술이나 기계 취향 차이로 싸움도 나는 모양. 안젤리나가 보내준 술 때문에 싸움이 나서 부족이 티아카우와 두린족으로 두쪽이 나버린 유타 부족도 등장하는데, 티아카우는 고급 기술을 이해할 능력이 부족해 원시적인 삶으로 퇴화하고, 두린족은 지상의 삶에 적응하지 못해 식량이 부족해지자 금주령을 내린 탓에 알콜 금단현상으로 굶어죽기 직전까지 갈 뻔했기에 결국 안젤리나가 서로 시음대회를 주선하는 것으로 부족을 화해시키기도 한다. 한편 [[가비알 디 인빈서블]]의 오퍼레이터 기록에서도 이남이 잠시 사르곤 궁정에 밀린 일을 처리하러 자리를 비웠을때 쎄루에르차를 재건하기 위해 잠시나마 자기들끼리 금주령을 통과시켰지만, 몇일 가지도 않아서 다시 술을 찾기 시작했다. 결국 이들은 유일하게 이남에게 위치를 들은 가비알에게서 주조 장비를 숨긴 곳을 알아내려 갖은 수를 썼고, 이에 지친 가비알은 결국 자기랑 싸워 이기면 알려주겠다는 사실상 안 알려주겠다는 선언을 했다. 하지만 눈이 돌아간 두린족들은 거대하고 못생긴 것의 후계기를 만들어 진짜로 가비알과 한 판 붙으려 했다. 이후 두린족들은 시험사격을 위해 동굴 하나를 폭파시키려 했는데 하필 거기가 주조장비를 숨겨둔 동굴이였으며 가비알은 시험사격 중 끼어들어서 해당 로봇과 싸워 겨우 쓰러뜨림으로써 주조장비를 지키고, 사정을 안 두린족들도 결국 단념하고 로봇을 자폭시키는 것으로 항복 의사를 표한 뒤, 술을 참기로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후계기를 만드는 과정이 제법 재미있었는지 두린족들은 결국 술보다 로봇 배틀(...)에 빠져들었다. 덤으로 이 과정에서 나온 수많은 실패작 로봇들은 건설용 장비로 개조되어, 도시 재건에 착실하게 도움이 되기는 했다. --돌아온 이남은 사정을 듣고는 모두를 깠다-- [[이상적인 도시]] 이벤트 시점에는 도시가 건재했기에 별도의 로고를 사용하나, 엔딩 시점에서 멸망하고 아카후알라에 귀의했기 때문에, 이후에 나오는 [[미니멀리스트|쎄루에르차 출신 두린족]]들은 [[사르곤(명일방주)|사르곤]] 소속으로 등장한다. == 관련 자료 == === <놀라운 이야기> 창간호 발간 축하 메시지 === >""<놀라운 이야기> 창간호 발간을 축하하며…"" > >""오직 자신의 본연의 생각과 감정에 솔직하게 집중해야 합니다."" >""작품을 마무리 짓지 못하면 인생이 무의미해지는 것 아니냐고요?"" {{{#!folding <놀라운 이야기> 창간호 발간을 축하하며 [펼치기 • 접기] [[파일:놀라운이야기.jpg]] }}} == 등장인물 == === 디컬쳐 실버민트 === [[파일:디컬쳐실버민트.jpg|width=45%]] 쎄루에르차의 기술 대표로 도시 내의 로봇 생산,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그 동안 도구로서만 생각하던 로봇들에게 인간적으로 다가가는 유넥티스를 흥미롭게 보며 자신은 원리도 모른채 사용했을뿐이라며 자신도 유넥티스처럼 로봇들을 친구로서 대하는듯 싶었으나... 어투만 조금 바뀐채 '''부탁'''하는 걸로 바뀌었을 뿐 이전과 전혀 달라지지 않아 가비알이 이꼴을 보곤 직접 하라며 태클을 건다. 스티치와 다소 묘한 관계다. 설계에 부담을 느껴 도주한 스티치를 위해 로봇들을 보내기도 했다. === 크로크 다이아몬드페이스 === [[파일:크로크다이아몬드페이스.jpg|width=45%]] 쎄루에르차의 상업 대표. 첫 등장땐 상업 대표라 지상에 대해 나름 빠삭한 모습을 보여주는가 싶었지만 실은 수십년전 발행된 '기담괴론'이라는 찌라시 잡지로만 지식을 알고 있던 탓에 완전 엉터리였다는게 바로 밝혀진다. 이에 이남이 가져온 도솔레스 챔피언십 영상을 보자 연신 감탄하며--일 중이라 안마신다던 술을 들이키며-- 거래를 흔쾌히 채결한다. [[파죰카]]가 로도스 아일랜드로 오게 된 원인으로 이남과 술을 마시던 중 술김에 그녀가 로도스 아일랜드로 왕래할 것이라고 약속해 버린 것이 발단이다. 이남과 사업 이야기를 하던 중 사업 대상으로 로도스 아일랜드를 소개받게 되었는데, 크로크 자신이 가야 했지만 지상에 대해 잘 몰라서 가기 꺼려졌음에도 사업이 너무 하고 싶었던지라 지상에 대해 아는 파죰카가 자기 대신 가는 것으로 말해버린 것. 이에 파죰카에게 엄청 미안해하긴 했지만 결국 보내긴 보냈다.(...) 안젤리나의 유랑일기 사르곤 편에서는 유타 부족의 두린족 대표로 등장. 스피리츠 팬클럽 회원들도 부족민들로 데려간 것으로 보인다. 아래 캐치와 마찬가지로 성별에 관해서 이야기가 자주 되는 편. 이쪽은 '''여자'''다. === 캐치 라이트레이스 === [[파일:캐치라이트레이스.png|width=45%]] 현 쎄루에르차의 설계 대표로 호수 한 가운데의 워터 슬라이드의 설계자이다. 스티치와는 돔의 설계방향을 두고 공모전에서 경쟁하던 사이였으며 스티치는 캐치를 일방적으로 싫어하지만 캐치는 계속 스스럼없이 대하는 악우 관계이다. [[모더니즘]]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이는 스티치와 달리 외관상 굉장히 화려한 스타일을 추구한다. 워터 슬라이드의 철거 이후 돔의 디스플레이를 스테인드 글라스 형상으로 바꾸자는 의견을 피력했다가 스티치와 언쟁하기도 했다. 스토리 내에선 처음 보는 지상인들에게도 친근히 대하고 주변인들과도 사이가 두루두루 좋은 인싸의 표본을 보여주지만 두린들 사이에서 괴식 취급 받는 '베리 토마토주'를 좋아해 다들 이것만은 진짜 못봐주겠다는 반응을 보인다.[* 두린족의 반응을 보면 거의 [[솔의 눈]] 수준의 괴식 취급인 듯하다.] 이후 쎄루에르차의 멸망을 앞두고 자신감을 잃고 틀어박힌 스티치를 위해 설계 대표를 사임하고 그에게 맡긴다고 말하며 어딘가로 떠난 핀치 캔버스를 찾기로 한다. 아마 핀치는 스티치의 광석병 치료법을 찾기 위해 떠난 것 같으며 운이 좋다면 로도스 아일랜드로 갔을 수도 있다는 말을 가비알 일행에게 듣고는 목표를 잡고 지상으로 향하게 된다. 곱상한 외견탓에 헷갈리는 유저도 많으나 '''남성'''이다. 커뮤니티 등지에선 이를 알고 충격받는 유저도 종종 등장한다. === [[미니멀리스트|스티치 캔버스]] === [[파일:스티치캔버스.png|width=45%]] 쎄루에르차의 건축 설계사. 과거 사고로 오리지늄에 감염된 감염자이다. 자신의 도시가 위기에 처했다며 지상으로 올라와 도움을 청한 것이 [[이상적인 도시: 엔드리스 카니발]]의 발단이다. === 엣지 어스하트 === [[파일:엣지어스하트.png|width=45%]] 스타치 캔버스를 돕고 있는 두린족 어른. 동시에 오리지늄 분석 기기가 망가진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던 인물이다. 그 우려는 결국 근처 오리지늄 광맥이 폭발하기 직전이라는 사실로 현실화되었다. === [[파죰카|아브도티야 라조르펜]] === [[파일:아브도티야.png|width=45%]] 루포인데도 두린족의 도시인 쎄루에르차에 거주하고 있는 문학가. 우르수스 귀족 출신으로, 본명은 아브도티야 니콜라예브나 이바노바.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사르곤(명일방주), version=392)] [[분류:명일방주/등장인물|쎄루에르차]][[분류:명일방주/세력 및 단체|쎄루에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