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 || 쑨밍밍(孫明明, Sūn Míngmíng, 손명명) || || '''생년월일''' || [[1983년]] [[8월 23일]] ([age(1983-08-23)]세) || || '''국적'''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국]] || || '''출신지''' ||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 || '''신장''' || 236cm(7' 9")[* 맨발 기준 236cm(7' 9") / 착화 신장 239cm(7' 10.25")] || || '''체중''' || 168kg(371 Ibs) || || '''포지션''' || [[센터(농구)|센터]] || || '''드래프트''' || '''Undraft''' || || '''등번호''' || 79번 || || '''소속팀''' || 베이징 덕스(2009 ~ 2014) || || '''수상내역''' || CBA 파이널 우승(2012, 2014) || [목차] [clearfix] == 소개 == 중국 농구 역사상 최장신 선수.[* 1970~80년대 중국 국대 센터였던 무테추(목철주)의 키는 238cm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228cm다.] 레전드인 [[야오밍]]의 뒤를 이을 선수로서 많은 기대와 관심을 가졌던 선수였으나, 타고난 피지컬에 비해 야오밍에 한참 못 미치는 슈팅으로 [[NBA]]의 문턱을 밟지 못했다. 몽골계 중국인인 바오시순(236cm)과 함께 중국 역사상 공동 4위 장신이며[* 1위 [[쩡진롄]](248cm), 2위 첨세채(244cm), 3위 장 준카이(242cm).], 농구 선수 역사상 3위 장신이다.[* 1위 [[리비아]]의 쉴레이만 알리 나쉬누쉬(245cm), 2위 [[일본]]의 마츠자카 요시미츠(237cm).] == 경력 == 15세 전까진 농구는 커녕 운동도 안해본 청소년이었고 공부는 상당히 잘했다고 한다. 16세에 고등학교 농구부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농구를 시작했고 졸업후 [[캘리포니아]]로 유학을 가 벤츄라 대학에 입학하여 그곳에서 농구선수로 활약하게 되었다. 당시에도 부족한 점은 많았지만 워낙에 기동성도 출중하고 괴력도 어마어마했다. 2005년 말단비대증 수술을 받은 후에도 꾸준히 훈련에 임하며 [[NBA]]의 문을 두드려봤지만 결국 실패하고 USBL 산하의 마이너리그에서 연습멤버를 전전했지만 이마저도 실패하였다. 2008년 일본의 하마마츠 피닉스로 영입되어 2008년 ~ 2009년 두 시즌을 뛰면서 괜찮은 활약을 보여주었고, 본국인 중국으로 돌아가 CBA 리그의 베이징 덕스에서 센터로 활약하면서 미국에서 쌓아온 실력이 헛된것이 아니였음을 증명해보이며 2012년과 2014년 파이널 리그에서 우승하여 2015년 나름 명예롭게 은퇴하였다. == 여담 == * [[성룡]], [[크리스 터커]] 주연의 [[러시 아워 3]]에 단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원래 야오밍에게 출연을 제안했으나 거절했고, 대신 그가 출연하였는데 뛰어난 격투실력을 자랑하는 두 주인공을 어린애처럼 갖고 놀아버리는 코믹한 연기를 선보여 존재감을 어필했다. * 2013년 핸드볼 선수 출신의 쉬옌(徐艳)과 결혼했다. 이 둘은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부부로 기네스 1위에 등재되었다. 그전엔 야오밍 부부가 1위였으나, 야오밍이 227cm, 그의 부인 예리가 190cm로 둘의 키 합산이 417cm인데 비해 쑨밍밍이 236cm, 쉬옌이 187cm으로 합산 423cm인 쑨밍밍 부부가 5cm 차이로 1위가 되었다. * NBA에 입성하기 위해서 굉장히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한다. 원래 체중이 130킬로그램 정도였으나 꾸준한 식이요법과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체중과 근력을 향상 시켰고, 그외에 농구훈련도 남들 몇배로 연습하며 제2의 야오밍이 되기를 꿈꿨지만, 부족한 볼 핸들링 재능과 더불어 농구를 너무 늦게 시작한 것을 노력만으로 메꾸긴 불가능했다며 아쉬움을 밝힌 적이 있다. * WWE를 관람하고 더 락과 사진을 찍게 됐는데 WWE에 출연해보고 싶은 생각이 있냐고 묻자, 자이언트 곤잘레스 같은 기믹을 해보고 싶다고 한 적이 있다. * 현재 은퇴 후 중국농구협회 이사 겸 코치로 근무하고 있다. 방송에도 자주 출연 중이고 영화에도 간간히 출연하는 중이다. [[분류:중국의 남자 농구 선수]][[분류:하얼빈시 출신 인물]][[분류:1983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2015년 은퇴]][[분류:센터(농구)]]